360 likes | 682 Views
제 7 장. 생산비용. 문제 : 붕어빵 사업. 정 붕어씨는 강대 후문 앞에서 붕어빵 사업을 하고 있다 . 그의 목적은 이윤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 그는 어떻게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을까 ? 이윤이란 ? 그는 무엇들을 결정해야 할까 ? 경쟁자가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서 그의 행동이 달라질까 ?. 비용의 측정 : 어떤 비용이 문제가 되는가 ?. 총비용은 다음과 같이 나누어질 수 있다 : 고정비용 생산량의 변화와 관계없이 변하지 않는 비용 변동비용 생산량의 변화와 함께 변하는 비용.
E N D
제 7 장 생산비용
문제: 붕어빵 사업 • 정 붕어씨는 강대 후문 앞에서 붕어빵 사업을 하고 있다. 그의 목적은 이윤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 그는 어떻게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을까? • 이윤이란? • 그는 무엇들을 결정해야 할까? • 경쟁자가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서 그의 행동이 달라질까? Chapter 7
비용의 측정:어떤 비용이 문제가 되는가? • 총비용은 다음과 같이 나누어질 수 있다: • 고정비용 • 생산량의 변화와 관계없이 변하지 않는 비용 • 변동비용 • 생산량의 변화와 함께 변하는 비용 Chapter 7
고정비용과 변동비용 • 총생산량은 변동투입량과 고정투입량의 함수이다 • 따라서, 총비용은 고정비용과 변동비용의 합이다 Chapter 7
한계비용과 평균비용 • 비용에 대한 설명을 마무리하기 위하여 한계비용과 평균비용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자 • 평균비용 • 한계비용 Chapter 7
비용의 측정 • 한계비용(MC): • 생산량을 한 단위 더 증가시킬 때 발생하는 총비용의 증가분 • 고정비용은 한계비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한계비용은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Chapter 7
비용의 측정 • 평균총비용(ATC) • 총비용을 생산량으로 나눈 것 • 평균고정비용(AFC)과 평균변동비용(AVC)의 합 Chapter 7
한 기업의 연간 단기비용들 Chapter 7
TC 비용 ($ 연간) 400 VC 300 200 100 FC 50 생산량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한 기업의 비용곡선들 총비용은 고정비용과 변동비용의 수직의 합이다 변동비용은 생산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고 비율은 증감한다 고정비용은 생산량과 관계없이 일정하다 Chapter 7
MC ATC AVC AFC 비용곡선 Chapter 7
비용곡선 • MC이 AVC보다 낮을 때, AVC는 하락한다 • MC이 AVC보다 높을 때, AVC는 상승한다 • MC이 ATC보다 낮을 때, ATC은 하락한다 • MC이 ATC보다 높을 때, ATC는 상승한다 • 따라서, MC는 AVC와 ATC의 최저점에서 교차한다 • 평균치-한계치의 관계 Chapter 7
원점에서 변동비용곡선까지를 이은 선: 기울기는 AVC와 같다 VC나 TC상의 기울기는 MC와 같다 따라서, 7단위의 생산량에서 MC = AVC (A점) TC 비용 400 VC 300 200 A 100 FC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생산량 한 기업의 비용곡선들 Chapter 7
장기에서의 비용 • 장기에서는 기업은 모든 투입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Chapter 7
장기에서의 비용 • 등비용선 • 동일한 총생산비용으로 구입할 수 있는 노동과 자본의 모든 배합들을 나타내는 선 • 총생산비용은 노동의 비용과 자본의 비용의 합이다 C = wL + rK Chapter 7
장기에서의 비용 • 위의 식을 직선을 나타내는 식으로 바꾸면 아래와 같다: • K = C/r - (w/r)L • 등비용선의 기울기: • -w/r – 임금과 자본의 임대료 간의 비율 Chapter 7
생산요소의 선택 • 등비용선과 등량곡선을 이용하여 주어진 산출량에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 생산할 산출량을 선택하면 비용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알기 원한다 • 등량곡선은 생산하기를 원하는 수량을 나타낸다 • 등비용선은 비용을 결정하는 노동과 자본의 배합을 나타낸다 Chapter 7
자본 (연간) K2 A K1 Q1 K3 C0 C1 C2 노동(연간) L3 L2 L1 주어진 생산량을 최소의 비용으로 생산하기 Q1은 등량곡선. 세 개의 등비용선이 있고 두 개는 Q1을 생산하기 위해 가능하다 등비용선C2는 K2L2or K3L3. 의 조합에서 Q1이 생산 가능하다 그러나 비용이K1L1.에 비해 높다 Chapter 7
생산요소의 가격이 변할 때 생산요소의 대체 • 노동의 가격이 변하면 등비용선의 기울기가 변화한다, w/r • 생산량을 생산하는 노동과 자본의 양이 변화한다 • 자본의 가격에 비해 노동의 가격이 상승하면, 자본은 노동으로 대체된다 Chapter 7
B K2 A K1 Q1 C2 C1 L1 L2 생산요소의 가격이 변할 때 생산요소의 대체 자본량 (연간) 노동의 가격이 상승하면, 등비용선의 기울기가 더 가파르게 된다-(w/L). 노동과 자본의 새로운 조합이Q1.를 생산하고 B조합이 A조합 대신에 사용된다 노동(연간) Chapter 7
장기에서의 비용 • 등비용선이 기업의 생산과정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Chapter 7
장기에서의 비용 • 생산량이 변할 때의 비용최소화 • 기업의 확장선은 각각의 산출량 수준에서 노동과 자본의 조합이 비용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보여준다 Chapter 7
자본 (연간) $3000 150 확장선 $2000 100 C 75 B 50 300 단위 A 25 200 단위 노동(연간) 100 150 200 300 한 기업의 확장선 확장선은 장기에서 각각의 산출량수준에서 비용을 최소화하는 노동과 자본의 조합들을 나타내고 있다 50 Chapter 7
비용 (연간) 장기총비용곡선 F 3000 E 2000 D 1000 생산량(연간) 100 200 300 한 기업의 장기총비용곡선 Chapter 7
장기비용곡선과 단기비용곡선 • 단기에 어떤 비용은 고정되어 있다 • 장기에 기업은 공장의 규모를 비롯한 모든 것을 변화시킬 수 있다 • 단기에서보다 장기에서는 낮은 평균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다 • 노동과 자본은 둘 다 유연하다 • 자본이 단기에는 고정되어 있고 장기에는 유연하다는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Chapter 7
E C 장기확장선 A K2 단기확장선 P K1 Q2 Q1 L1 L2 L3 B D F 단기에서의 생산의 비유연성 자본 (연간) 자본은 K1으로 고정되어 있다 Q1을 생산하기 위해, 최소의 비용은 K1,L1이다 Q2로 생산량을 증가시키면, 단기에 최소비용은K1, L3이 된다 장기에는 자본을 변화시킬 수 있고, 최소비용은 K2, L2가 된다 노동(연간) Chapter 7
장기비용곡선과 단기비용곡선 • 장기평균비용곡선(LAC) • 자본을 포함하여 모든 생산요소들의 투입량을 변화시킬 수 있을 때 나타나는 생산량과 평균생산비용의 관계를 보여주는 곡선 • 규모에 대한 수확불변 • 투입량이 두 배가 되면, 산출량은 두 배가 된다 • 평균비용은 모든 산출량 수준에서 일정하다 Chapter 7
장기비용곡선과 단기비용곡선 • 규모에 대한 수확증가 • 투입량이 두 배가 되면, 산출량은 두 배 이상이 된다 • 모든 수준의 산출량에서 평균비용이 감소한다 • 규모에 대한 수확감소 • 투입량이 두 배가 되면, 산출량은 두 배 이하가 된다 • 모든 수준의 산출량에서 평균비용이 증가한다 Chapter 7
장기비용곡선과 단기비용곡선 • 장기에는: • 기업은 규모에 대학 수확증가와 감소를 겪기 때문에 장기평균비용곡선은 “U”자 형태를 띄게 된다 • 장기한계비용곡선은 산출량이 1단위 증가할 때 장기총비용의 변화를 나타낸다 Chapter 7
LMC LAC A 장기평균비용곡선과 장기한계비용곡선 비용 (생산물 단위당) 생산량 Chapter 7
장기비용 • 투입량의 비율이 변하면, 기업의 확장선은 더 이상 직선이 아니게 된다 • 규모에 대한 수확이라는 개념이 더 이상 적용되지 않는다 • 규모의 경제는 생산량과 투입량의 변화 와의 관계를 나타내준다 Chapter 7
규모의 경제와 규모의 비경제 • 규모의 경제 • 투입량의 증가보다 생산량의 증가가 더 큰 경우 • 규모의 비경제 • 투입량의 증가보다 생산량의 증가가 더 작은 경우 • U자 형태의 장기평균비용곡선은 기업이 상대적으로 적은 생산량에서는 규모의 경제를 가지며 보다 많은 생산량에서는 규모의 비경제를 가지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Chapter 7
장기비용 • 규모에 대한 수확증가 • 모든 생산요소의 투입량을 두 배로 증가시킬 때 생산량은 두 배 이상 증가한다 • 규모의 경제 • 생산량을 두 배로 증가시키더라도 생산비용은 두 배보다 적게 증가한다 Chapter 7
장기비용곡선과 단기비용곡선 • 3개의 다른 공장규모에 대한 단기평균비용곡선을 보자 • 공장이 한 번 건설되면, 당분간은 규모를 바꿀 수 없으므로 중요한 의사결정이다 Chapter 7
규모에 대한 수확불변인 장기비용 • 공장의 최적규모는 기대생산량에 따라 다르다 • q0을 생산한다면, 가장 작은 규모의 공장을 건설한다: AC = $8 • q1을 생산한다면, AC는 상승한다 • q2을 생산한다면, 중간 규모가 최적이다 • q3을 생산한다면, 가장 큰 규모가 최적이다 Chapter 7
규모의 경제와 규모의 비경제를 갖는 장기비용곡선 Chapter 7
규모에 대한 수확불변인 장기비용 • 장기평균비용곡선은 단기평균비용곡선을 감싸고 있다 • 장기평균비용곡선은 처음에는 규모의 경제를 보여주지만 생산량이 높아지면 규모의 비경제를 보여준다 Chapt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