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4

17. 요하지통

17. 요하지통. 전공의 2 년 노지성. 1. 요부의 해부. 1) 골. 요부의 해부. 2) 관절 3 관절 복합체 : 각 척추 상하 연결 전방에서 한 개의 추간판으로 후방에서 2 개의 후관절 추간판 수핵 섬유륜 종판. 1. 요부의 해부. 3) 인대 전종인대 후종인대 Capsular lig. Ligament flavum: 경막외강의 경계 Interspinous lig., Supraspinous lig., intertransverse lig Iliolumbar lig.

kineta
Download Presentation

17. 요하지통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17.요하지통 전공의 2년 노지성

  2. 1.요부의 해부 1)골

  3. 요부의 해부 • 2)관절 • 3관절 복합체: • 각 척추 상하 연결 • 전방에서 한 개의 추간판으로 후방에서 2개의 후관절 • 추간판 • 수핵 • 섬유륜 • 종판

  4. 1.요부의 해부 • 3)인대 • 전종인대 • 후종인대 • Capsular lig. • Ligament flavum: 경막외강의 경계 • Interspinous lig., Supraspinous lig., intertransverse lig • Iliolumbar lig. • L5와 천골의 안정성 유지 • 하요통의 m/c 호발부위, • 약해지면 동측의 서혜부쪽으로 연관통 호소 • Sacroiliac lig.

  5. 1.요부의 해부 • 4)근육 • 신장군-표층군,중간층군,심층군 • 굴곡군 • 측굴곡군 • 회전근군-신장근,측굴곡군 • 5)혈관 • 동맥 • 정맥

  6. 1.요부의 해부 • 6)신경 • 척추의 신경계는 척수,척추신경,교감신경계로 구성 • 척수 L1~L2 • 척추 신경 –전방부위, 후방부위 나누어 신경지배 • Sino-vertebral nerve (교감신경과 척추 신경근에 의해 형성됨) • 전방 부위에 분포 • 경막의 전방부위,전종인대, 후종인대, 추간판의 섬유륜, 전방부위에 분포하는 혈관들, 추체 • 후방부위 구조물들의 신경분포 • Posterior primary ramus에서 유래 • 이는 내측지, 중간지 , 외측지를 낸다. • 통증의사에게 가장 중요시되는 내측지는 errector spinal muscle에 이르므로 후내측지 차단술에서 중요한 기준이 된다. • 신경근이 나오는 척추분절은 상응하는 추체보다 한 분절 위에 존재하나 실제로는 한 분절 아래의 추간공을 통과한다. 그림 17-8

  7. 2.병태생리 • 척추의 역할은 신경요소보호, 체중부하에 대한 지지, 3관절 복합체에 대한 전 후방 및 회전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것. • 요추는 체중의 쇼크흡수제 역할을 한다.(전방70,후방30) • L2에서 L5요추 사이에서는 후종인대가 얇기 때문에 자주 추간판 탈출이 일어난다. • 일상생활의 자세 • 추간판이 원인인 경우: 앉아있을 때, 앞으로 구부릴 때 통증이 심해진다. • 후관절 이상일 경우 허리를 뒤로 젖힐 때 •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변화와 가끔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 Spinal nerve root는 좌골신경통(sciatica)의 주된 발생원이다. • 신경근이 자극되어 있는 경우 • Na 통로의 변화(accumulation)로 인하여 추간판으로부터 화학물질 유리 • 중추신경감작(즉 spinal hyperexcitability)이 되면 A-b섬유에서도 통증 전달 • Dorsal root ganglia도 sciatica의 또 다른 발생원이다.

  8. 2.병태생리 • 요통의 병태생리를 이해하려면 다음의 상호관계를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 • 정서적 요인 • 정서장애가 있거나 미세한 외상은 자율신경을 자극하여 근육의 혈관을 국소적으로 수축시켜 근육경련을 일으키고, 지속적인 근수축은 후관절에도 자극을 주어 추간판의 섬유륜도 파열시켜 3관절 복합체에 병태를 야기시킨다. • 근육들의 변화 • 요추의 다열근은 회전근이며 불수의근이므로 이 근육의 수축은 후관절과 추간판에 torsional injury를 주게되어 후관절 증후군을 야기시킨다. • 손상에는 회전손상, 압박굴곡손상이 있고 후자는 L5S1에서 추간판 탈출증의 주된 원인이 된다. • 후관절 및 추간판의 변화 • 어떤 압력이나 스트레스는 3관절 모두 손상을 주는 결과가 된다. • 척추간의 관절에서 퇴행성 진행은 기능장애기, 불안정기, 안정기로 나뉜다. • 추간판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지면 추간판은 속에서 파열되어 추간판 탈출이 일어난다. • 추간판 탈출은 protrusion, extrusion, sequestration의 3 유형이 있다. • 추간파의 퇴행성 진행이 심해지면 추간판 내용물이 소실되는 반면 추체는 경화되어 추간판 흡수를 일으켜 골강직이 된다.

  9. 3. 환자의 평가 및 진단 • 병력 • 요통의 상태 • 과거 통증에 대해서도 알아야 하며 • 자연적 발생인지 외상 후인지 • 간헐적인지 지속적인지 • 더 심해지는지 • 언제 (안정시, 육체활동후 , 밤에 누웠을때) 통증의 변화(완화 및 심화)가 있는지 • 방산통(radicular pain) • 요추나 천추 신경을 자극할 때 나타나는 통증을 말한다. • Shooting pain, 쑤시는 듯한 성질, 띠 모양으로 국한 • Sciatica가 이에 속함 • 연관통(referred pain) • 실제적으로 통증이 일어나는 부위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나타나는 통증 • 후관절 증후군시 허리 통증도 존재하나, 둔부, 대퇴부, 하지 ,족부 까지 통증호소 • 신경학적으로 다른 부위를 지배하는 신경에 의해 통증이 발생되는 것 • 특징은 심부에 분포되어 있어서 애매모호한 욱신거리는 (vague aching) 통증이다. • 운동장애- 통증과 쇠약을 구별하는 게 힘들다 • 감각장애 • 괄약근 장애 • 병력 • 진성방산통과 근인대에서 유래된 통증의 비교

  10. 3. 환자의 평가 및 진단 • 이학적 검사 -15분내 검사 • 시진 • 걸음걸이-앞뒤로 걷게 하면서 움직임의 정도를 본다 • 기동성-세워놓고 요추부위에 양손을 올려놓고 앞,뒤, 옆으로 구부려보게 함으로써 요추 주위의 근육들의 경직 정도를 알 수 있다. • 구부리기-무릎과 둔부를 완전히 구부리게 한다. • 반사작용 –앉은 자세에서 슬개 반사(L3L4),ankle jerk(S1) • 다리길이의 측정 • 감각 • 운동력 • 하지직거상법 • 고관절 회전 • 척추압박-엎드리게하여 요추의 spinous proc.를 압박하면 자극증상이 있는 경우 그 주위를 눌러보면 sciatica를 호소함 • 맥박촉지 –방산통 의심시 서혜부, 슬와부, 족배부 맥박의 촉지하여 폐쇄성 혈관질환과 구별한다.

  11. 3. 환자의 평가 및 진단 • 방사선과적 소견 • 단순방사선 촬영 • 진단 가능한 질환 골절, 탈구, 감염, 종양, 대사성질환, 전이 척추,척추 이분증, 요추 전만증, 측만증, 부위 결핍증, 추간판공 협착증, 비대칭성 요천추 관절증, 골관절염, 척추전방전위증 등 • 척수조영술(myelography) • 적응증-수술을 고려중인 수핵 탈출증이 의심, 신경근 압박으로 인한 심한 운동장애가 있는 경우, 대증적인 치료에 효과가 없는 만성 요통환자, 종양의 진단 • 합병증-시술 중 통증, 시술 후 척수 신경근염, 경막 천자에 의한 두통, 뇌막자극 증상, 세균성 뇌막염, 조영 물질에 의한 자극 증상 및 과민반응, 요추천자 실패 • 추간판 조영술 • 추간판 자체만 검사하므로 임상증상과 추간판 조영술을 시행할 때의 통증이 거의 일치 • 경막 외 정맥 조영술 • 척수조영술 만큼 정확하며, 천자침으로 인한 신경근 손상 방지 ,유착성 지주막염 감소, 중추신경계의 합병증을 줄 일 수 있으며, 기립성 두통을 피할 수 있다. • 컴퓨터 단층촬영 • 비침습적, 조직학적으로도 세세함, 신체조직의 서로 다른 밀도를 쉽게 구별 • 자기공명영상 • 장점-연부 조직상태 판단하는데 매우 유용, 다평면 영상 구성 능력, 조직 대비 능력이 월등히 우수, 척수 조영술이 필요 없이 T2영상 가능, • 단점-비싸고 협력이 되어야 함, 자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술을 받은 환자 (예 뇌동맥류, 심장조율기를 거치한자) , 폐쇄공포증 환자는 금기

  12. 3. 환자의 평가 및 진단 • 근전도 검사 • 요추 신경근의 후분지 손상 시 척추 주위 근육에 , 그리고 전분지 손상 시 말초 신경계에 변화가 있다. • 이처럼 신경 전도가 현저히 감소한 병변 부위를 더욱 정확하게 규명하기 위해 필요함 • 치료적 진단법 • 신경근 블록이나 천장골 관절주위 신경 블록이나 후관절 블록, 국소마취제 주입 등으로 증상이 개선된다면 이 자체가 진단이며, 치료가 된다.

  13. 4.요통의 원인 • 대부분 근골근계의 역학적인 요인 • 표 17-1

  14. 4.요통의 원인 • 요통을 일으키는 주된 질환들 • 급성 요부 염좌 • 근골격계의 일부 파열로 수 주일 이내 증상이 좋아짐 • 별 외상 없이도 가능 • 증상이지 병명이 아니다. • 감별하는 것이 중요 표 17-2 • 병력 및 증상을 보면 대개 진단 가능하고 경막외 차단을 시행 • 추간판 내장증(internal disc derangement) • 오래 앉아 있거나 전방 굴곡 시 더욱 심해짐 • 추간판 조영술 상 확실한 섬유륜 파열이 나타남 • 치료목적으로 국소마취제 및 스테로이드를 추간판 내에 주입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 추간판 탈출증(disc herniation ,HIVD) • 근 위축, 감각이상 , 요통, 연관통, 동측 하지의 방산통 동반 ,건반사 저하, ,SLRT에서 이상소견 • 추간판 내장증과 후관절 증후군도 이와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 • L45, LS1에서 호발 • 경막 외 차단은 확실한 효과

  15. 4.요통의 원인 • 후관절 증후군(facet joint syndrome) • 일종의 퇴행성 척추증으로서 요통과 하지 연관통 호소 • 허리 뒤로 젖히면 더 심하며, 앉아있으면 편하다. 허리가 편측으로 아플 수 있다. • 증상은 아침에 일어날 때 허리가 뻣뻣하나 움직이면 차차 호전된다. Facet block으로 통증이 없어지면 확실한 진단 • 요추의 oblique X선으로 추간관절 부위의 이상 –관절 간격이 좁아지고 경화된 소견이 가끔 보임 • 치료는 facet block이 매우 유용한 수단이다. • 척추 협착증 • 척수관이 좁아져서 신경근이 압박되어 증상이 나타난다. • 주증상은 둔부에서 하지에 저린 통증과 신경성 간헐성 파행 • X선 소견상 추체 부근의 골주 형성과 추간공의 협소, 후관절의 변화와 경화, CT,MRI등으로 진단이 매우 용이 • 치료는 경막 외 블록이나 신경근 블록 효과는 의문. 신경근 증상이 경감되지 않으면 선택적 신경근 조영후 국소마취제와 스테로이드를 주입하여 신경근 차단 • 골다공증 • 여성에서 많고 흉 요추 이행부에 압박골절이 많다. • 치료의 기본은 골량 감소를 방지하고 골절을 예방하고 골절에 의한 통증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16. 4.요통의 원인 • 척추 수술 후 증후군 •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술의 절대 적응증을 제외하고는 보존적 치료를 철저히 시행한다. • 수술부위의 연조직의 유착이 매우 심하여 요추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입이 매우 힘들며 섬유화가 되어 스테로이드의 항염작용이 거의 없다. • 경막 외 내시경을 시행하여 좋은 효과 보이고 신경근 블록으로 도움이 되기도 한다. • 척추증(spondylosis) • 협부형은 척추후궁협부분리증(spondylolysis)에 의한 불안정성으로 전방 전위되는 것으로 정상인의 6%에서 나타나고 L5에 많다. • 퇴행성은 추간판 높이가 낮아지고 후관절의 아탈구 등이 나타나면서 3관절 복합체의 불안정성으로 전방전위가 생기며 중년이상의 여성에 많다. • 수술의 절대 적응증이 된다. • 근성요통(근근막통증증후군) • 나쁜 자세, 다리 길이의 차이, 피로,스트레스,외상, 수술 후, 내장질환과의 연관통은 요부근육의 지속적 긴장을 가져오게 된다. • Erector spine muscles에 잘 발생한다. • 요방형근은 허리의 회전 및 옆으로 굽히기에 관여하므로 근근막 통증증후군에 걸리기 쉽다. • 진단은 촉지가 매우 간단하고 유용하며 쉽게 trigger point를 찾을 수 있다. 국소마취제를 통증 유발점에 주사하면 만족할 만한 효과가 있다. • 고관절의 이상 • 고관절 및 대퇴 골두 괴사 • 대퇴부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은 faber test, patrick sign등을 통하여 고관절에 의한 원인을 배제해야 한다.

  17. 5. 치료 • 환자 자신도 치료계획에 동참하여야 한다. • 목적은 통증을 완전히 없애 주는데 있다. • 만성 통증의 치료 목적 • 통증의 강도와 빈도수를 줄이고 • 사용하는 약의 양을 줄이며, 어느정도 필요한 운동을 시키고 • 투약시간을 통증기준이 아닌 일정한 시간을 기준으로 할 것이며, 육체적 정신적으로 통찰력을 갖게하는것이다.

  18. 5. 치료 • 보존적 요법 • 투약 • NSAIDs가 흔히 쓰임 • 항불안제나 항우울제를 겸용하면 효과 증대 • 근이완제도 도움이 된다. • 침상 안정 2일정도 • 물리치료(냉온요법 및 마사지) • 견인요법 • 경피적 전기 신경자극 • 레이저 치료 • 신경블록요법-장애된 신경에 직접 작용하여 악순환을 끊음으로써 요하지통의 원인치료도 될 수 있다. • 경막외 차단 및 스테로이드 주입

  19. 5. 치료 • 경막외 차단 및 스테로이드 주입-진단적 가치는 매우 높다. • 신경근에 미치는 압박만이 HIVD나 spinal stenosis 환자에서의 방산통의 원인은 아닐 수 있다. • 염증반응은 • 염증조직 내에 있는 nociceptive endings의 triggering에 의해서 • 이전에는 통증 자극 때도 통증을 유발하지 않던 수용체 종말을 감작함으로써 • 통증 발생원을 직간접적으로 영속시키는 TXA, leukotriens, PG등의 염증매개물질들의 유리를 촉진함으로써 통증을 일으키게 된다. • Corticosteroids는 PLA2의 활동을 억제함으로써 arachidonic acid의 생성을 막아 그 대사물질인 PG, TX, leukotriens의 생성을 막고, lymphokines의 활동을 방해하며, 염증과정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IL-1을 억제한다.

  20. 5. 치료 8) 경막외 차단 및 스테로이드 주입 • 섬유륜 감작 • 추간판 섬유륜바깥 층에 있는 미세한 신경섬유는 PLL의 두측, 미측으로 가는 섬유총을 분지하는데 , 이를 자극하면 연관통을 유발한다. • 섬유륜 손상 시 손상부위에 육아조직이 생겨 섬유륜의 더 깊숙한 부위로 신경종말을 내게 된다. • 또한 통증과 연관된 신경펩티드를 내어, 섬유륜에 있던 미세신경들, 주위의 신경근과 DRG 가 감작  요통과 방산통을 동시에 나타내게 된다. • 경막외강 접근법으로 interlaminar, caudal 이 흔히 사용되나 transforaminal approach도 사용되고 있다. • 경추간공 접근법은 한쪽에 국한된 방산통에 유용 • 경막외강의 전방부위에 신경근이 존재하므로 아주 적은 양으로도 좋은 효과를 볼 수 있고, • 국소마취제와 스테로이드가 경막 외강의 전방부위에 접근할 기회가 훨씬 좋기 때문이다. • 방사통 증상이 오직 한 개의 신경근 때문인지 아닌지를 진단하려면 단지 한 부위에 아주 적은 양을 주입함으로써 순수한 진단적 가치를 얻는 데도 확실한 방법이다. • 바늘은 끝이 날카롭지 않고 뭉뚝하여야 한다. • 반드시 x 선 투시하 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 적응증- large disc herniation, foraminal stenosis, lateral disc herniation

  21. 5. 치료 8) 경막외 차단 및 스테로이드 주입 • 시술중 환자와의 대화는 매우 중요하다. • 국소마취제와 steroid를 겸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 경막외강 천자 및 약물 주입 방법 • 저항 소실법으로 경막외강 확인 • 22G이하 천자침 사용 • 국소마취제와 steroid 혼합액으로 1~2ml 주입 후 약 5분간 혈압,맥박,운동,감각 소실 등을 보며 이상이 없으면 나머지 양을 모두 주입 후 10분 정도 기다린다. • 침상에서 내려오기 전 운동장애, 기립성 저혈압 여부를 확인 • 주입 간격, 횟수 • 첫 주입 후 효과가 없었다면 1,2회 추가주입 권장 • 첫 주입 후 증상이 완전히 나아졌다면 추가주입은 해서는 안됨 • 부분적 호전이 있었다면 6개월 내에 3회를 넘지 않을 것 • 2주 간격으로 3회 이상 추가 주입해서는 안됨-Choi 등의 정책 • 통증이 심한 환자는 입원시켜 지속적 견인 요법과 함께 경막외 카테터를 거치하여 스테로이드 없이 국소마취제를 주입하든가 일회용량으로 하루에 수 차례 주입가능

  22. 5. 치료 8) 경막외 차단 및 스테로이드 주입 • 합병증 • 두통 및 감염 ,안구내 출혈 • 실패하는 것이 경막을 뚫는 것보다 나음. • 약제로 인한 합병증 • steroids는 시상하부 -뇌하수체 축의 억제로 혈중 코티솔 저하, 혈당치 변화 , 수분저류로 인한 심부전 • polyethylene glycol로 인한 신경 독성으로 하지 마비가 0.02% 영구적으로 올 수 있다.그 외 경련, 발진, 권태, 발열, 소화장애 등이 있다. • 스테로이드 장기간 사용으로 AVN 이 발생할 수 있어 사전에 투약력, 병력 등을 확인하여야 한다. • 경막외강내 국소마취제 및 스테로이드 주입의 적응증 • 급성요부 염좌 • 추간판 탈출 및 그로 인한 신경근 압박에 의한 방사통 • 만성 퇴행성 추간판 질환, 척추 전방 전위증, 척추 협착증 등에서는 일시적인 호전만을 기대 • 금기증 • 출혈경향, 항응고제 사용자, 당뇨병, 천자부위에 감염

  23. 5. 치료 • 수술요법 • 전체 환자의 10%이내 • 적응증 • 신경압박이 심하여 방광 및 괄약근 마비로 대소변 조절이 자의로 되지 않을 때, • 하지 마비 및 위축이 지속적으로 진행될 때, • 견딜 수 없는 통증이 있을 때, • 확인된 악성종양이 있을 때 • 6~12주 정도의 보존적 요법에서 효과가 없을 때 • Percutaneous procedure(통증 치료실에서도 시행) • Surgical discectomy, decompression, spinal fusion, instrumentation

  24. 결론 • Steroids는 방산통이 있는 환자에게는 어느 정도 효과가 인정되기는 하나 그 기간이 한정되고 장기간 효과를 입증하기 힘들다. • 그러나 steroids는 회복의 속도를 빠르게 하며, 투약의 횟수와 양을 줄이고 자연 회복을 기다리는 동안 활동력을 증가시킨다. • 그러므로 조기 통증 치료는 사회 활동을 조속히 회복시켜 줄 수 있다. • 경막 외강내 steroids주입의 타당성은 생화학적, 신경생리학적, 기초과학적, 근거 중심의학적 바탕이 되어야 하며 반드시 환자의 승낙서를 받은 후 경력이 풍부한 전문가가 시행하여야 한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