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 likes | 398 Views
유가 급등 영향 분석. 2008. 0. 0. O O O O O. 01. 오일쇼크로 본 유가급등과 영향. 현재 국제유가 수준은 어떤가 ?. ( 단위 : $ / B ). 연도별 유가추이. 작년말 대비 50% 가까운 상승률 기록 中. 최근 유가 변동추이. 최근 주요기관 유가 전망. ( 단위 : $ / B ). 1) CGES : 세계에너지센터 , CERA : 케임브리지에너지연구소 , EIA : 美에너지 정보청 , PIRA : 석유산업연구소
E N D
유가 급등 영향 분석 2008. 0. 0 O O O O O
01. 오일쇼크로 본 유가급등과 영향
현재 국제유가 수준은 어떤가?
(단위: $ / B) 연도별 유가추이 작년말 대비 50% 가까운 상승률 기록中 최근 유가 변동추이
최근 주요기관 유가 전망 (단위: $ / B) 1) CGES :세계에너지센터, CERA : 케임브리지에너지연구소, EIA : 美에너지 정보청, PIRA : 석유산업연구소 2) 2008년 괄호 안 수치는 2007년 8월의 유가 전망치 자료 현재 주요기관 전망치를 웃도는 유가 상승
인플레이션 감안한 유가 명목상 유가 現 유가 vs 오일쇼크 유가 비교 (단위: $ / B) (단위: $ / B) 명목상 및 실제가격 추이 120~130 130 91.4 (FT,서울경제) 1차 오일 쇼크 수준을 넘어섰고 2차 오일쇼크 수준에 육박하는 수치 가격 수준만 보면 현 상황도 오일쇼크 $150 이상 경제충격 가시화, $200 이상 마이너스 성장
과거 오일쇼크의 영향과 파장은 무엇이었나?
발생원인 및 유가변동 (단위: $ / B) 현재 06년 $60수준에서 약2배 상승 중
오일쇼크의 파급 영향 ○ 유가급등 시 물가압력과 수요감소를 통해 세계 경기둔화의 가속화 불가피 ○ 물가압력으로 금리인상이 불가피 주가하락과 투자급감 초래, 경기침체를 유발 경기침체와 물가급등의 스태그플레이션 발생
오일쇼크의 파급 영향 국내 경제상황 1, 2차 오일쇼크 시기의 우리경제 484 484 484 660 397 환율 (₩) 21.9%↑ 36.4%↑ 1,2차 오일쇼크 : 소비자가 물가상승률 수직상승 수출증가율 둔화, 환율 급등 2차 오일쇼크 : 10.26사건과 80년 정치혼란이 겹치면서 경제개발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률 기록
세계 경제 파급 효과 오일쇼크時 세계 각국은 물가 상승 억제를 위해 금리인상 등 긴축적인 경제체제로 전환 이에 따라 세계 교역량이 크게 감소되는 등 수출환경 악화 유가 급등으로 3차오일 쇼크時 수출부진에 따른 경기 급랭 가능성↑
세계 경제 파급 효과 OECD 경제상황 1차 오일쇼크 - 세계경제에 스태그플레이션 현상 발생 2차 오일쇼크 –신축적 대응으로 1차 대비충격 완화 ※ 美,英 등 일부 선진국에서는 스태그플레이션 발생
오일쇼크 가능성 1,2차 오일쇼크 vs 최근 유가 급등 상황 차이점 1. 경제전반에 유가에 대한 내성이 강해짐 유가가 2차쇼크 수준 ($150) : 오일쇼크 수준 충격 가시화 시점 2. 과거에는 유가가 단기간에 급등하여 파급효과가 컸음. 1차 쇼크 : 1개월만에 4배 상승, 2차 쇼크 : 6개월만 2.3배 상승 지금은 3,4년간 꾸준히 상승되었음. 3. 급등원인 오일쇼크 : 공급축소 현재 : 수요증가 & 선물거래 (투기자금 유입) 4. 석유 의존도 과거보다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세계 경제의 석유의존도 $150 이상 경제충격 가시화, $200 이상 마이너스 성장 소비자가 물가상승, 수출증가율 둔화, 환율 급등, 경상수지 악화
향후 유가는 어떻게 될 것인가?
국제유가 거품논쟁 英 데일리텔레그래프 회견 “현재 유가는 거품 모양을 띠고 있다” OPEC 의장 “달러가치 하락으로 투기세력이 유입되면서 유가가 급등했다.” 뉴욕타임즈 칼럼니스트 “거품론은 유가가 2004년도 50달러때부터 줄기차게 제기됐던 주장” 하버드大 경제학자 “고유가 원인은 중국 인도 등 개도국의 폭발적인 원유 수요 에서 기인한다”
피크 오일 (peak oil) 논란 (단위 : 백만B/1일) 시몬스앤컴퍼니 매튜 시몬스 회장 “전 세계가 오래되고 점점 줄어드는, 몇 안되는 거대 유정에 목을 매고 있다” 석유시장 수석 분석가 더그 매켄타이어 “당분간 사용할 수 있는 석유량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며 생산량이 정점을 쳤다고 생각 하지 않는다” Peak oil : 세계 석유 생산량이 정점에 도달해 수급 불균형이 불가피 하다는 이론
상 승 추 세 안 정 추 세 향후 유가 전망 변수 종합 미국 경기 침체가 지속될 경우 에너지 수요가 줄어 유가 상승 속도가 떨어질 것이란 시각 중장기적으로 중국, 인도 등의 수요증가 달러 환율이 강세로 전환되면 유가 하락의 계기가 마련 이라크나 나이지리아의 정정불안 미-이란간 갈등 고조 같은 지정학적 불안 유가상승이 소비기반을 무너뜨려 급격한 유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OPEC이 증산에 나설 수 있음 조만간 OPEC 추가증산 가능성 없음 장기적으로 에너지의 석유 의존도를 줄이려는 노력 피크오일로 인한 공급 차질 하향 안정화 된다 하더라도 $100 이상 수준으로 고유가 유지 예상 중장기적인 고유가 시대 대비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