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 likes | 811 Views
천식의 폐기능. 천식의 폐기능. Spirometry 검사. 기류 제한. 가역성. FEV1/FVC ( normally > 0.75~0.80). FEV1 - ≥ 12% (and ≥ 200 ml) from the pre-bronchodilator value. Obstructive pattern. Volume – time. flow – volume. ① 기도 저항 증가 ② VC, FEV1, PEFR, FEF25%-75% 감소 ③ RV, FRC, TLC 증가. 가역성.
E N D
천식의 폐기능 Spirometry 검사 기류 제한 가역성 FEV1/FVC ( normally > 0.75~0.80) FEV1 - ≥ 12% (and ≥ 200 ml) from the pre-bronchodilator value
Obstructive pattern Volume – time flow – volume ① 기도 저항 증가 ② VC, FEV1, PEFR, FEF25%-75% 감소 ③ RV, FRC, TLC 증가
가역성 기관지 확장제사용후 (속효성 기관지 확장제 Salbutamol를 400㎍(=4번) 흡입하고 15~20분 후 폐활량측정법을 다시 시행 FEV1이 12% 이상 상승하고 동시에 절대치가 200 mL 증가 가역성이 있다고 판정 기관지확장제의 투여로 효과를 볼 수 있음
기도 과민성 검사 기도 과민성 검사 비특이적 유발검사 특이적 유발 검사 천식에서 특정 알레르겐을 찾음 직업성 천식의 진단 알레르겐에 의한 천식 반응의 기전과 화학매개 물질의 역할을 규명 정상이거나 거의 정상인 폐기능 을 가진 기관지 천식이 의심되는 환자
비특이적 유발 검사 폐기능 검사를 시행하여 FEV1이 예상치의 70%이상 생리식염수를 흡입-폐기능이10%이상 감소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를 기저치로 간주 (10%이상 감소시 검사 연기 ) 이후 메타콜린과 히스타민의 농도를 저농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투여하여 FEV1이 20%감소할 때까지 농도를 두 배씩 올리면서 폐기능을 측정
비특이적 유발검사 Positive: 20% or greater fall in FEV1 after inhalation of a concentration up to 25 mg/ml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bronchodilators, cromolyn sodium, antihistamine, steroids , viral infection, vaccinations 매우 민감도가 높은 검사이나 특이성이 낮은 검사 음성일 경우 천식을 배제하는데 유용하나, 양성일 경우 천식을 항상 의미하는 것은 아님 -알레르기비염, 낭성섬유화증, 기관지확장증,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도 양성 반응 가능
airway responsiveness • 천식 증상이 있으나 폐기능이 정상인 사람 • methacholine, histamine, mannitol excercise challenge를 통해 확인 PC20 (Provocative concentration): FEV1 의 기저치를 20% 이상 감소시키는 Methacholine 농도 측정
airway responsiveness 메타콜린 흡입 후 일초간 강제 호기량 감소 유발검사에서 현재 증상이 나타나는 천식환자(현증 천식환자)는 거의 100% 양성 반응
특이적 유발검사 기저치폐기능을 측정한 후, 희석액(원인 항원추출액) 만을 흡입하고 10분 후에 폐기능검사를 시행 폐기능의 감소가 없으면 검사를 진행, 이때의 농도가 기준치 기준치에 비하여 폐기능을 유의하게 (FEV1의 경우에는 20% 감소) 감소시킨 알레르겐의누적용량으로 (provocative cumulative dose,PD20) 표시
최대 호기 유속 • 최대흡입 후 강제최대호기(Forced maximal flow)에 나타나는 유속 • 진단, 감시에 이용 20% 이상의 일중 변동은 천식의 진단을 고려하고, 변동율의 크기는 중증도와 대략 비례 경증 간헐성 천식 , 중증 난치성 천식: 최대호기유속의 변동율은 없거나 사라질 수 있다.
수술에 따른 폐기능의 변화 • 폐용적 감소(Decreased lung volume) • 횡격막 부전(Diaphragm dysfunction) • 가스교환 장애(Impaired gas exchange) • 호흡억제(Respiratory depression) • 폐방어기전 손상(Impaired defense mechanism)
FRC > CC FRC+VT > CC FRC < CC [정상 폐] [저환기-관류 부위] [폐허탈] • 기능적잔기량이 폐쇄용량(closing capacity, CC) • 이하가 되면 환기-관류불균형 및 무기폐가 생김
일반(폐절제술 아닌) 수술에서의 폐합병증 위험도 기준 • FEV1< 60-70 % predicted • FVC < 70-80 % predicted • FEV1/FVC < 65 % • PaCO2> 45 mm Hg “FEV1” 2 L보다 크면 수술위험도는 평상 수준 1 L 미만이면 위험도가 현저히 증가
폐절제술 전의 폐기능 평가 • 1단계 폐활량, 폐용적, 폐확산능, 동맥혈가스분석검사 • 2단계 bronchospirometry, lateral position test, unilateral PA occlusion test, quantitative lung scan • 3단계 운동검사(exercise testing)
폐절제술시 예후가 좋지 않을 경우 • Vital capacity가 예측치의 50%이하인 경우 • FEV1이 2L미만이거나 예측치의 50% 미만인 경우 • Hypoxemia나 hypercapnia가 있는 경우 • 수술 후에 기대되는 FEV1이 0.8L미만이거나 예측치의 40%미만인 경우
폐기능 검사 및 해석 문유선 J Korean Acad Fam Med Vol. 29, No. 11, Suppl. November 기관지 유발 검사 Ho Joo Yoon, M.D. journals.lungkore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