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8

인터넷방송

인터넷방송. 인터넷방송이란?. 인터넷 환경을 통해서 비디오 혹은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새로운 방식의 미디어. 인터넷을 통해 비디오, 오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 InterCast(Internet + Broadcast) Webcast(Web + Broadcast)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벗어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방송을 청취할 수 있도록 서비스되고 있음. 서비스 종류 VOD(Video On Demand)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 요구에 따라 필요할 때 데이터를 제공.

keziah
Download Presentation

인터넷방송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인터넷방송

  2. 인터넷방송이란? • 인터넷 환경을 통해서 비디오 혹은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새로운 방식의 미디어. • 인터넷을 통해 비디오, 오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 • InterCast(Internet + Broadcast) • Webcast(Web + Broadcast) •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벗어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방송을 청취할 수 있도록 서비스되고 있음. • 서비스 종류 • VOD(Video On Demand) •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 요구에 따라 필요할 때 데이터를 제공. • 라이브(Live) • 생중계처럼 실제 일어나는 상황에서 직접 인터넷을 통해서 동화상을 서비스.

  3. 인터넷방송의 시작과 현재

  4. 인터넷방송 구현은 어떻게? • 라이브 스트리밍(Live Streaming) 방식 • 온 디멘드(On-Demand) 방식 • 푸시(Push) 서비스 • 인터캐스트(Intercast) 방식

  5. 라이브 스트리밍(Live Streaming 방식) • 인터넷상에서 실제 공연되는 세미나, 콘서트, 연극, 스포츠, 전시회 등을 직접 현장에서 촬영한 뒤 인코딩 작업을 거쳐 서버로 전달한 후 사용자들이 인터넷으로 실황을 볼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방식이다. • 과정 • 현장 촬영 장비를 이용한 현장 촬영 •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 Encoder(인코더)에 의한 변환 및 서버 전달 • 인터넷 서버에서 각 클라이언트에게 라이브 컨텐츠 전달

  6. 온 디멘드(On-Demand)방식 • 기존 방송은 선보일 수 없는 인터넷 방송만의 장점을 극대화 시켜 보여줌. •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가능 • 시청자가 자신이 원하는 시간대에 골라서 봄. • 일반적으로 VOD(Video On Demand)라고 함. • 압축기술과 전송망 기술. • Pay-Per-View(PPV) • 스크램블(암호화) 처리한 컨텐츠를 지정된 시간에 전송하며 컨텐츠를 구입한 시청자에 한하여 예정된 시간에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 • Enhanced PPV/Near Video-On-Demand(N-VOD) • 스크램블 처리된 컨텐츠를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 번 전송하므로 편리한 시간에 이용 가능한 서비스. • 일시정지/재시청 기능제공. • True Video-On-Demand(TVOD) •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전송해 주는 서비스. • Enhanced Video-On-Demand(EVOD) • 주문형 비디오 대여점과 같은 방식으로 True VOD 서비스에서 특별 사용자 프로그램이 서버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자체적으로 자동녹화해서 편리한 시기에 보는 서비스.

  7. 푸시(Push) 서비스 • 인터넷 서버 혹은 중앙 컴퓨터에서 사용자의 컴퓨터로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 •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대신 찾아내 서버에 저장해두었다가 전달해주는 서비스.

  8. 인터캐스트(Intercast) 방식 • PC를 TV 겸용으로 쓸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신기술. • 기존 공중파 TV 신호의 VBI(Vertical Blanking Interval) 대역 10개 라인을 이용한 것으로 PC, TV 수신카드, 모뎀, 인터캐스트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지상파나 위성을 통해 제공하는 아날로그 TV방송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

  9. 인터넷 방송의 특징 • 인터넷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 • 기존 방송국에서는 볼 수 없었던 차별화 된 컨텐츠들을 제공. • 일방적인 방송이 아닌 시청자가 매니아 및 동호회 등 여러 형태로참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 •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시청할 수 있음. • 인터넷을 근간으로 하는 다양한 기술적 시도들이 계속적으로 시도되고 있음.

  10. 인터넷방송과 디지털 • 디지털 비디오 • 비디오 포맷 표준 • 비디오 디지털화 • 오디오 디지털화

  11. 디지털 비디오 • 여러 개의 디지털 이미지들이 빠른 속도로 랜더링 되면서 마치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 것. • 프레임 : 각각의 정지영상 • 각 프레임은 500개 이상의 수평선으로 이루어짐.

  12. 비디오 포맷 • 비디오 포맷은 각 나라마다 조금씩 차이가 남. • NTSC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 미국에서 개발. 흑백을 기본으로 한 구성 요소에 두 개의 색상 차이 신호를 추가한 방식. NTSC 포맷은 프레임 당 525 라인을 사용하고 초당 30 프레임의 비율로 업데이트 함. • PAL(Phase Alternation Line) • 유럽, 아프리카, 중국, 남미, 중동 등 사용. 포맷은 비디오 프레임 당 625라인을 사용하고 초당 25프레임 속도로 업데이트 함. • SECAM(Sequential Couleur memoir, 혹은 Sequential Color with Memory) • 프랑스 개발. 색차 신호를 주파수 변조 (FM : Frequency Modulation) 방식으로 라인을 번갈아 가면서 전송. 819라인을 사용하며 초당 25프레임 속도록 업데이트 함.

  13. 비디오 디지털화 기존 아날로그 비디오를 디지털 비디오로 변환하려면 캡처 카드가 있어야 함. 해상도 : 이미지의 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단위 디지털비디오의 데이터전송 비트 수

  14. 오디오 디지털화 • 비디오와 마찬가지로 오디오도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게 하려면 아날로그 형태를 디지털 포맷으로 바꾸어야 함. 초당 샘플수 = 트랙수(스테레오인 경우 2) * 초당 샘플수 (CD 경우 44,100) 비트율 = 초당 샘플수 * 오디오 비트수(비트심도, CD오디오인 경우 16)

  15. 오디오와 비디오 압축 기술 • 손실 없는 압축 • 데이터를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음질은 높지만 압축률은 낮음.1. 엔트로피(Entropy) 인코딩 : 압축양 제한2. Statistical(통계적) 인코딩 : 코드북을 사용 • 손실 압축 • 데이터 크기를 많이 줄이는 반면 인간이 느낄 수 없는 오디오와 비디오 부분을 과감히 제거함.1. 변환(Transfer) 인코딩 : 다른 데이터 유형으로 변형2. 서브 밴드(Sub-band) 인코딩 : 낮은 비트율로 인코딩3. 차등(Differential) 인코딩 : 컨텐츠 부분별 차이를 바탕.4. 벡터 양자화(VQ; Vector Quantization) : 특수한 패턴 대체방식으로 데이터 샘플들을 벡터로 나누는 방법.

  16. 인터넷 방송 기술 • Windows Media Technology(WMT) • 리얼 미디어(Real Media) • 퀵타임(Quick Time)

  17. Windows Media Technology(WMT) 기술 •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제공하는 동영상기술 중 하나 • NT를 기반으로 하는 동영상 지원 서버인 윈도우 미디어(Windows Media)에서 MPEG 4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ASF 파일을 사용자에게 전송하면, 사용자는 WMT 플레이어를 이용해 동영상 컨텐츠를 볼 수 있게 해주는 기술. • ASF(Advance Streaming Format) 파일 : 윈도우 미디어 컨텐츠를 정의하는 데이터 구조로 ASF는 네트워크에서 오디오, 비디오, 등을 스트리밍하는데 사용되는 파일 형태.

  18. Windows Media Technology(WMT) 기술 • WMT 주요구성 • 서버용 프로그램 • 윈도우 미디어 서버(Windows Media Server) • 컨텐츠 제작용 프로그램 : • On-Demand Producer • Windows Media Tools • Windows Media Encoder • Windows Media Author • Windows Media ASF Indexer • 사용자(클라이언트) 프로그램 •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Windows Media Player)

  19. Window Media Server

  20. Window Media Server • 서버용 프로그램 • NT나 2000 서버에 인스톨 • WMT 파일을 서버경로(D://asfroot)에 저장해두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ASF 파일을 제공 • MMS(Microsoft Media Server)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데이터 교환하거나, • ASX 파일 같은 Meta 파일을 홈페이지에 링크시켜 줌.

  21. Window Media Server • 필요한 사양/특징 • 윈도우 NT 서버 4.0 혹은 2000 서버 • IIS 웹 서버 • MMS 환경 • Pentium III 이상의 컴퓨터, 랜 카드 등 • 별도의 라이센스 요금 없음. • 28.8Kbps로 서비스를 하면 약 9,000개의 동시 스트림을 지원

  22. On Demand Producer

  23. On Demand Producer • 오디오, 비디오 파일을 ASF와 같은 WMT 파일로 변경하는 기능 • 지원 가능한 파일은 WAV, AVI 등 • ASF 파일을 이용해 HTML 파일을 생성하는 기능 • 비디오 캡처 기능 • 요약 기능

  24. On Demand Producer • 사양 및 특징 • 윈도우 95/98/2000/NT • Pentium III이상, 랜카드, 비디오/오디오 캡처보드 • 별도의 라이센스 요금 없음.

  25. Window Media Encoder • On Demand Producer와는 달리 외부/내부 라이브 소스를 ASF파일로 만들어 줌. • ASF 파일을 만들어 주는 동시에 WMT 서버로 라이브 서비스를 위해 인코딩된 파일을 전달 • 비디오 캡처 및 오디오 입력 기능

  26. Window Media Author • 이미지 파일(JPG)과 음성 파일(WAV)을 합성하여 슬라이드 형태의 동영상 파일을 영상 파일을 만들어 줌.

  27. Window Media ASF Indexer • ASF 파일에 대한 인덱스 기능을 추가 • 미디어 정보 입력 기능 • Mark In/Out

  28. Windows Media Player • 클라이언트용 재생 프로그램 • WMT 서버로부터 ASF 파일을 스트리밍해 재생시켜 주는 기능

  29. WMT의 운영원리 • On Demand 방식 • 비디오 캡처를 통해서 AVI 파일을 생성하고 On Demand Producer로 ASF 파일을 생성 • Window Media Server의 asfroot에 ASF 파일을 복사 • 또는 ASX 메타 파일을 만들고 홈페이지에 링크 • Window Media Player를 이용해 ASX 파일을 선택하여 지정한 경로로 ASF 파일을 서비스 수신.

  30. WMT의 운영원리 • Live 방식 • Window Media Encoder를 이용해 라이브 소스를 캡처 보드로 수신하고 이를 ASF 파일 형태로 Encoding • Window Media Server의 관리기능을 이용해서 Server에서 수용할 인코더의 위치를 지정 • 지정한 인코더로 라이브 ASF 파일을 수신 • 또는 ASX 파일을 홈페이지에 링크 • Window Media Player로 ASX 파일을 선택해서 Play.

  31. Real Media 기술 • WMT 기술이 등장하기 전까지 대부분의 인터넷 방송이 이 기술을 이용 • 자체 인코딩 기술인 리얼 미디어 파일을 이용해 자체 리얼 미디어 서버 시스템에서 각 리얼 미디어 플레이어에게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해 주는 기술. • Splitting : 동시에 많은 시청이 가능하도록 해줌. • Multicasting • SureStream : 사용자의 대역폭에 맞게 하나의 인코딩 파일로 여러 개의 속도를 지원.

  32. Real Media 기술 • 서버용 프로그램 • 리얼 미디어 서버(Real Media Server) • 리얼 미디어 파일을 저장하고, VOD 방식으로 서비스 • PNA, RTSP 프로토콜을 이용해 RM 파일을 전송 • 가격 : $1,995 - $21,595 • 컨텐츠 제작용 프로그램 • 리얼 미디어 프로듀서(Real Media Producer) • 인코더의 신호를 받아 RM 파일을 생성 • 유료 • 사용자(클라이언트) 프로그램 • 리얼 미디어 플레이어(Real Media Player) • RM 파일을 재생 • 무료

  33. Quick Time 기술 • 멀티미디어 및 편집용으로 널리 알려진 매킨토시와 윈도우 사용자 모두에게 유용한 디지털 스트리밍 기술. • MOV 파일을 지원한다. • Quick Time 4.0 부터 인터넷 방송을 가능하게 해주는 스트리밍 기능을 갖추게 되었다.

  34. Quick Time 기술 • Quick Time 기술의 주요 구성 • 서버용 프로그램 • Darwin Streaming Server • MOV 파일을 저장하고 VOD 방식으로 서비스 • RTSP 프로토콜로 MOV 파일을 전달 • 무료 • 컨텐츠 제작용 프로그램 • Quick Time Player Pro •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MOV 파일을 제작 • $29.99 • 사용자(클라이어트)프로그램 • Quick Time Player

  35. 인터넷 방송을 위한 준비 • 인적 자원 • 웹 PD : 총 지휘 • 웹 아나운서 • 웹 디자이너 • 웹 프로그래머 • 컨텐츠 편집자 • 네트워크 관리자 • 기타

  36. 인터넷 방송을 위한 준비 • 주요 컨텐츠 준비 • 시스템 장비 준비 • Production System 하드웨어 • 촬영장비, 녹음장비, 편집용 컴퓨터 • 비디오 캡처 및 편집용 카드 • 모니터/비디오 플레이어 • 스위처 : 한대 이상의 비디오 카메라로 생방송을 하는 경우, 카메라 화면을 선택적으로 내보내기 위해 필요 • Production System 소프트웨어 • 편집용 소프트웨어 • Adobe Premiere, Ulead Media Studio, Adobe After Effect • 변환용 소프트웨어 • On Demand Producer, Real Producer 등

  37. 인터넷 방송을 위한 준비 • 서버 및 네트워크 관련 시스템 • 하드웨어 • 전용회선 • 서버용 컴퓨터 • 네트워크 장비(라우터, 허브) • 소프트웨어 • 서버용 프로그램 • Window Media Server, Real Media Server 등 • 관리용 프로그램 • 방송 스케줄 관리 및 대용량의 인터넷 방송용 파일을 관리

  38. 기존 방송국 http://www.kbs.co.kr http://www.mbc.co.kr http://www.sbs.co.kr http://www.cbs.co.kr http://www.ytn.co.kr 언론, 뉴스 매경증권 리얼페이퍼 대안 TV 벤처 TV … 음악전문 나인포유 Cast Bank 넷 M2B 인터넷 방송 지그 음악 인터넷방송 영화,비디오 아이씨비엔 비쥬얼21 컬트 케스트 비디오 가드 …. 인터넷 방송 베스트 사이트(예)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