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 likes | 293 Views
중국의 주요 통상관계 1. 국제통상관계론 2013. 1. 중국의 무역현황 –61 쪽 ( 단위 : 달러 ) 2012 년 무역총액 전년비 6 .2% 증가에 그침. 2. 지역별 무역현황 (2012) < 수출 > < 수입 > * ( ) 는 2011 년 미국 18.6%(17.1%) 일본 9.8%(11.2%)
E N D
중국의주요 통상관계 1 국제통상관계론 2013
1. 중국의 무역현황 –61쪽 (단위:달러) 2012년 무역총액 전년비 6.2% 증가에 그침.
2. 지역별 무역현황(2012) <수출> <수입> * ( )는 2011년 미국 18.6%(17.1%) 일본 9.8%(11.2%) 홍콩 15.8(14.1) 한국 9.3(9.3) 일본 7.4(7.8) 대만 7.3(7.2) 한국 4.3(4.4) 미국7.3(7.0) 독일 3.4(4.0) 독일 5.1(5.3) 네덜란드 2.9(3.1) 호주 4.7(4.7) 인도 2.3(2.7) 말레시아3.2(3.6) 영국 2.3(2.3) 브라질 2.9(3.0) 러시아 2.2(2.0) 러시아 2.4(2.3) 싱가포르 2.0(1.9) 태국 2.1(2.2)
★미국이 최대 수출지역, 2위 EU 3340억달러, 3위 홍콩 4위 ASEAN 5위 일본 ★기업형태별: -외자계1조227억달러49.9% -민영기업 7190억달러35.1% -국유기업 2563억달러12.5% ★품목: 기계 및 전기기계 전년비 8.7% 증가한 1조 1794억달러. 수출전체의 57.6%
3. 대내직접투자...p.62 (1)중국계 국가의 비중 고 62 홍콩>타이완>싱가포르>일본>한국 (2)2012년 전년비 10.1% 감소 (3)원인은 세계적경기 감속.중국의 경기감속,투자가 ASEAN 등으로 이동.
4.대외직접투자--p.63 (1)업종 (2)금액추이 (3)국별 (4)주요안건
5.FTA정책--p.63, 80 -중-ASEAN FTA -한중FTA -한중일FTA -RCEP…p.86 *TPP
★화교경제권 • 중국과 홍콩-대만-싱가포르-ASEAN-미국 등에 거주 화교 자본,기업으로 형성된 경제관계. • 중국과 이들 국가 및 지역과의 무역, 투자관계, 인적관계 등에 주목할 필요. • 해외의 대중 직접투자중1위 홍콩,2위 타이완,4위 싱가포르 등. -홍콩의 역할: 1980년대 해외투자의 80% 홍콩에서.현재는 홍콩의 금융시장, 관광시장을 활용. 중국경제의 국제화에 활용. -ASEAN의 화교, 아세안경제와의 관계확대. 2010년 ASEAN과 FTA발효. 중-동남아간 고속철도 사업 등 추진. 특히 미얀마, 캄보디아 등 구 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지원, 투자를 확대. 미얀마에 대한 외국인 투자는 중국이 1위. 캄보디아에도 고위층 방문 등 관계확대 추진. 일본, 미국의 ASEAN진출에 대한 대항.
★중-미관계 ★중국의대규모 대미무역흑자: • 2009년 2269억달러, • 2010년 2730억달러, • 2011년 2954억달러 흑자 ★중국은 세계 최고 미국채권 보유 국가: 2012년 1조1155억달러. (2012년 일본 1조1300억달러,하락추세) ★중국의 해외진출 확대와 미국의 이익과의 충돌: • 중국이 G2로 부상, 미국을 빠르게 추격 • 미국의 대아시아 중시정책: 일본, ASEAN, 한국 등 • 미국의 주요 동맹국인 일본과의 충돌
★오바마 대통령의 TPP추진은 중국이 FTA체결등 을 통해 ASEAN과 경제협력 강화를 추진하는데 대해 중국을 견제 성격. • ★미국은 석유, 천연가스가 풍부한 남지나해를 안전보장, 경제의 전략적인 지역으로 설정. 이 지역에서 중국 위상 강화를 견제. • ★그러나 미국의 동아시아에서 가장 중요한 양자관계로 중국이 대두되고, 가장 큰 무역상대, 미국의 현안경제문제 해결에 중국의 협력이 불가피함. • ★미중전략경제대화, 미중합동상업무역위원회 등의 정기회의 이외에 양국 고위급 각료 및 정상간 교류를 통해 긴밀한 의견교환을 추진. • ★환율정책,인권문제 등에서는 평행선. USTR은 지적재산권보호에 관한 스페셜301조 보고서에서도 중국을 8년 연속 우선감시국으로 지정.
★ GDP규모를 기준으로 중국의 미국추월에 관한 전망이 나오고 있으나 종합적인 국력에서 중국이 미국을 능가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됨. - 중국이 미국의 GDP를 추월하지만 미국이 재차 중국을 추월할 것으로 전망함. 그 이유는 시스템의 유연성, 대학의 힘, 국토(경작가능 면적)의 크기, 인구증가(중국은 12억으로 감소, 미국은 4억으로 증가)등에서 볼 때 2050년에는 미국이 최대의 경제대국을 유지하며, 군사력에서도 미국이 최고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 동남아, 호주 등 많은 아시아 국가들이 미국을 지지하나, 중국과의 경제관계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미중간 우호관계 유지를 강하게 희망함.
★ 중일경제관계 (1)무역금액--p.69 한일비교--69 (2)일본비중--일본의 수출입에서 중국이 1위, 중국의 수출에서 미국, 홍콩,일본의 순. 수입에서는 일본이 1위 차지. …p.70-71 (3)무역상품...90년대까지. 중국의 WTO가입 이후…p.72 (4)직접투자...p.74-75 (5)일중 영토마찰에 대한 일본의 대응...p.83,84-85 -영토문제 발생경위 -중국투자 축소 및 중국경제에 부정적 영향 가능성 큼. -ASEAN과의 협력,투자확대 *일본의 ASEAN경제 평가: 생산시장,소비시장,ASEAN의 전략적 중요성 (6)향후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