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2

중국의 주요 통상관계 1

중국의 주요 통상관계 1. 국제통상관계론 2013. 1. 중국의 무역현황 –61 쪽 ( 단위 : 달러 )  2012 년 무역총액 전년비 6 .2% 증가에 그침. 2. 지역별 무역현황 (2012) < 수출 > < 수입 > * ( ) 는 2011 년 미국 18.6%(17.1%) 일본 9.8%(11.2%)

Download Presentation

중국의 주요 통상관계 1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중국의주요 통상관계 1 국제통상관계론 2013

  2. 1. 중국의 무역현황 –61쪽 (단위:달러) 2012년 무역총액 전년비 6.2% 증가에 그침.

  3. 2. 지역별 무역현황(2012) <수출> <수입> * ( )는 2011년 미국 18.6%(17.1%) 일본 9.8%(11.2%) 홍콩 15.8(14.1) 한국 9.3(9.3) 일본 7.4(7.8) 대만 7.3(7.2) 한국 4.3(4.4) 미국7.3(7.0) 독일 3.4(4.0) 독일 5.1(5.3) 네덜란드 2.9(3.1) 호주 4.7(4.7) 인도 2.3(2.7) 말레시아3.2(3.6) 영국 2.3(2.3) 브라질 2.9(3.0) 러시아 2.2(2.0) 러시아 2.4(2.3) 싱가포르 2.0(1.9) 태국 2.1(2.2)

  4. ★미국이 최대 수출지역, 2위 EU 3340억달러, 3위 홍콩 4위 ASEAN 5위 일본 ★기업형태별: -외자계1조227억달러49.9% -민영기업 7190억달러35.1% -국유기업 2563억달러12.5% ★품목: 기계 및 전기기계 전년비 8.7% 증가한 1조 1794억달러. 수출전체의 57.6%

  5. 3. 대내직접투자...p.62 (1)중국계 국가의 비중 고 62 홍콩>타이완>싱가포르>일본>한국 (2)2012년 전년비 10.1% 감소 (3)원인은 세계적경기 감속.중국의 경기감속,투자가 ASEAN 등으로 이동.

  6. 4.대외직접투자--p.63 (1)업종 (2)금액추이 (3)국별 (4)주요안건

  7. 5.FTA정책--p.63, 80 -중-ASEAN FTA -한중FTA -한중일FTA -RCEP…p.86 *TPP

  8. ★화교경제권 • 중국과 홍콩-대만-싱가포르-ASEAN-미국 등에 거주 화교 자본,기업으로 형성된 경제관계. • 중국과 이들 국가 및 지역과의 무역, 투자관계, 인적관계 등에 주목할 필요. • 해외의 대중 직접투자중1위 홍콩,2위 타이완,4위 싱가포르 등. -홍콩의 역할: 1980년대 해외투자의 80% 홍콩에서.현재는 홍콩의 금융시장, 관광시장을 활용. 중국경제의 국제화에 활용. -ASEAN의 화교, 아세안경제와의 관계확대. 2010년 ASEAN과 FTA발효. 중-동남아간 고속철도 사업 등 추진. 특히 미얀마, 캄보디아 등 구 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지원, 투자를 확대. 미얀마에 대한 외국인 투자는 중국이 1위. 캄보디아에도 고위층 방문 등 관계확대 추진. 일본, 미국의 ASEAN진출에 대한 대항.

  9. ★중-미관계 ★중국의대규모 대미무역흑자: • 2009년 2269억달러, • 2010년 2730억달러, • 2011년 2954억달러 흑자 ★중국은 세계 최고 미국채권 보유 국가: 2012년 1조1155억달러. (2012년 일본 1조1300억달러,하락추세) ★중국의 해외진출 확대와 미국의 이익과의 충돌: • 중국이 G2로 부상, 미국을 빠르게 추격 • 미국의 대아시아 중시정책: 일본, ASEAN, 한국 등 • 미국의 주요 동맹국인 일본과의 충돌

  10. ★오바마 대통령의 TPP추진은 중국이 FTA체결등 을 통해 ASEAN과 경제협력 강화를 추진하는데 대해 중국을 견제 성격. • ★미국은 석유, 천연가스가 풍부한 남지나해를 안전보장, 경제의 전략적인 지역으로 설정. 이 지역에서 중국 위상 강화를 견제. • ★그러나 미국의 동아시아에서 가장 중요한 양자관계로 중국이 대두되고, 가장 큰 무역상대, 미국의 현안경제문제 해결에 중국의 협력이 불가피함. • ★미중전략경제대화, 미중합동상업무역위원회 등의 정기회의 이외에 양국 고위급 각료 및 정상간 교류를 통해 긴밀한 의견교환을 추진. • ★환율정책,인권문제 등에서는 평행선. USTR은 지적재산권보호에 관한 스페셜301조 보고서에서도 중국을 8년 연속 우선감시국으로 지정.

  11. ★ GDP규모를 기준으로 중국의 미국추월에 관한 전망이 나오고 있으나 종합적인 국력에서 중국이 미국을 능가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됨. - 중국이 미국의 GDP를 추월하지만 미국이 재차 중국을 추월할 것으로 전망함. 그 이유는 시스템의 유연성, 대학의 힘, 국토(경작가능 면적)의 크기, 인구증가(중국은 12억으로 감소, 미국은 4억으로 증가)등에서 볼 때 2050년에는 미국이 최대의 경제대국을 유지하며, 군사력에서도 미국이 최고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 동남아, 호주 등 많은 아시아 국가들이 미국을 지지하나, 중국과의 경제관계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미중간 우호관계 유지를 강하게 희망함.

  12. ★ 중일경제관계 (1)무역금액--p.69 한일비교--69 (2)일본비중--일본의 수출입에서 중국이 1위, 중국의 수출에서 미국, 홍콩,일본의 순. 수입에서는 일본이 1위 차지. …p.70-71 (3)무역상품...90년대까지. 중국의 WTO가입 이후…p.72 (4)직접투자...p.74-75 (5)일중 영토마찰에 대한 일본의 대응...p.83,84-85 -영토문제 발생경위 -중국투자 축소 및 중국경제에 부정적 영향 가능성 큼. -ASEAN과의 협력,투자확대 *일본의 ASEAN경제 평가: 생산시장,소비시장,ASEAN의 전략적 중요성 (6)향후 전망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