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3

공리주의 : 행복의 극대화

공리주의 : 행복의 극대화. 제러미 벤담 Jeremy Bentham. 벤담의 공리주의. 1. 쾌락이라는 이름의 ‘ 행복 극대화 ’ 2. 계량화할 수 있는 쾌락과 고통 도달하는 결론 :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 최대쾌락 ). 쾌락과 고통의 서열짓기.

keaira
Download Presentation

공리주의 : 행복의 극대화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공리주의 : 행복의 극대화 제러미 벤담 Jeremy Bentham

  2. 벤담의 공리주의 1. 쾌락이라는 이름의 ‘행복 극대화’ 2. 계량화할 수 있는 쾌락과 고통 도달하는 결론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최대쾌락)

  3. 쾌락과 고통의 서열짓기 과연 쾌락과 고통의 서열짓기는 어디까지 가능하며, 어디에서 불가능한 한계를 가지는가? 이 서열짓기는 명백하게 누구에게나, 언제나 동일한 인정을 받을 수 있는가? 사람마다 다른 기호와 상황은 어떻게 동일하게 서열화되어 사회적 공리가 될 수 있는가?

  4. 7원칙 • 벤담은 쾌락의 양을 계산할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쾌락 계산법의 척도로 강도, 지속성, 확실성, 근접성, 다산성, 순수성, 범위라는 7가지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는 이기준을 제시하면서 강도는 크고 오래 지속되며 확실하고 가까우며 다른 쾌락을 낳을수 있고 순수하며(고통의 양이 가급적 적으며) 파급범위가 넘은 쾌락이 좋은 쾌락이라고 보아싿. 그는 이러한 계산법에 따라 사람들이 보다 많은 쾌락을 얻도록 행동하는 것이 도덕적 행동이라고 하였다.

  5. 쾌락의 계산? • 쾌락의 강도 • 쾌락의 지속성 • 쾌락의확실성 • 쾌락의 근접성 • 쾌락의 풍요성 • 쾌락의 순수성 • 쾌락의 파급범위

  6. 쾌락의 강도(intensity) • 좋은, 즉 훌륭한 쾌락의 그 쾌락의 강도가 그렇지 못한 쾌락보다 훨씬 강하고 세다. • 어떤 쾌락은 은은한 반면에 어떤 쾌락은 강렬할 수 있다. 어떤 고통은 무디고 약한 반면에 어떤 고통은 극심할 수 있다.

  7. 쾌락의 지속성(duration) • 좋은 쾌락은 그렇지 못한 쾌락보다 그 쾌락의 지속성 면에서 비교가 될 정도로 차이가 날 것이다. • 그것들 중의 하나는 단순히 다른 것보다 더 오래 지속될 수 있다.

  8. 쾌락의 확실성(certainty) • 쾌락은 그것이 쾌락인지 아닌지 혹은 보다 나은 쾌락인지 아닌지가 애매하게 오는게 아니라 확실하게 우리에게 인지되어진다. • 어떤 행위는 절대적으로 확실하게 고통을 가져올 수 있는 반면에(예를 들면 마취제 없이 치아를 뽑는 경우), 어떤 행위는 그 점에서 확실히 말하기 어려울 경우가 있다.

  9. 쾌락의 근접성(propinquity) • 어떤 쾌락은 그 쾌락이 바로 알 수 있거나 느껴지게 하는 반면에 어떤 쾌락은 언제 올지 혹은 한참 뒤에 올지 오리무중인 경우도 있다.

  10. 쾌락의 파급효과(extent) • 각 행위에 대한 쾌락 및 고통의 계산 결과는 그 행위의 결과로 모든 사람이 경험하는 쾌락 및 고통의 양에 따르는 수치이다.

  11. 쾌락의 다산성 • 숙제를 할 때의 은은한 쾌락에 이어, 좋은 점수를 얻음으로써 느끼는 다른 쾌락이 따라 나올 수 있다. 숙취의 고통에 이어 다른 고통이 따를 수 있다. 숙취상태에서 시험을 보면 그 결과 좋지 않은 점수를 받을 수 있듯이. 이처럼 쾌락과 고통은 소위 다산성(fecundity), 즉 똑 같은 종류의 감각이 따를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가능성’을 측정하고 그것에 숫자를 할당할 수 있다.

  12. 쾌락의 순수성 • 마찬가지로 쾌락과 고통을 보고, 그 반대의 감각이 수반되지 않을 가능성을 결정할 수 있다. 어떤 쾌락은 그 이후 고통을 낳지 않을 가능성이 대단히 큰 반면, 어떤 쾌락은 고통을 낳은 가능성이 아주 크다.(예를 들면 흥청망청 술을 마실 경우의 쾌락)

  13. http://aboutdream.tistory.com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