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9

부활하는 신들을 통해 알아본 신화의 의미

부활하는 신들을 통해 알아본 신화의 의미. 영어영문학과 2008610001 강선 우. 북유럽 신화 : 발데 르. 유대교 신화 : 예수 그리스도.

kato
Download Presentation

부활하는 신들을 통해 알아본 신화의 의미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부활하는 신들을 통해 알아본 신화의 의미 영어영문학과 2008610001 강선우

  2. 북유럽 신화: 발데르 유대교 신화:예수 그리스도 발데르(Balder)는 오딘과프리그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태양의 신이다. 발드르'(Baldr), '발두르'(Baldur)로도 알려져 있다. 그는 잘생기고 현명하고 상냥했다. 부인은 바니르신족이며 식물의 여신인 난나이고, 슬하에 1남(포르세티)을 두었다. 사신(邪神) 로키는 어린 기생목(寄生木) 한 그루가 명령에서 제외된 사실을 알고, 소경의 신 호드르를시켜, 그 가지를 꺾어 던지게하려발데르를 죽이고 ,(그 충격으로 난나도 너무 슬퍼한 나머지 심장이 터져죽는다.) 라그나로크 이후에 저승에서 돌아온다. 게쎄마니에서 잡힌 예수는 로마의 총독 빌라도 앞에서 십자가에 못박힐 것을 선고받고, 이튿날 아침 십자가를 지고 온갖 조롱과 멸시·천대를 받으며 골고타 언덕길을 올라가 거기서 강도들과 함께 신을 모독하였다는 중죄인으로서 십자가 나무틀에 못박혀 죽었다. 일요일 아침, 예수가 묻힌 무덤은 비어 있었다. 예수는 생전에 자신이 예언한 바와 같이 부활하였고, 마리아와 다른 제자들은 그후 여러 곳에서 부활한 예수를 만났다. 복음서들은 그 사실과 함께 그가 올리브산 에서 승천하였음을 전하고 있다.

  3. 그리스 신화 디오니시스 이집트 신화 오시리스 오시리스는 대지의 신 게브와 하늘의 여신 트의 아들로, 이집트왕으로서 선정을 베푸는데, 아우인 죽음의 신(邪神) 세트에게 속아서 살해되며, 토막당해서 버려진다. 그러나 누이이며 아내인 이시스의 손으로 신체를 연결하여 미이라로 부활해서 신들의 법정에서 세트를 단죄, 장자 호루스를 이집트 왕으로 하고, 자신은 영생을 얻어서 명계의 왕이 된다 그가 어렸을 때, 티탄족들은 그가 좋아하던 거울과 회향풀을 이용해서 그를 꼬여 냈다. 그리고는 칼로 디오니소스의 몸을 일곱 조각으로 찢었다. 티탄들은 살 조각을 커다란 솥에 집어넣고 끓여 버렸다. 그때 물에 끓이지 않은 것은 심장뿐이었고, 여전히 살아서 뛰던 심장을 아테나 여신이 구해 내서 새로운 디오니소스를 탄생시켰다.

  4. 신들의 유사점(예수와 오시리스, 디오니소스) • 예수는 인류의 구원자이며 인간이 된 신이고 하나님의 아들이며 아버지와 동격인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또한 그렇다 • 예수는 12월 25일 혹인 1월 6일경에 태어나는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또한 그렇다 • 예수의 탄생은 한 별에 의해 예고되는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또한 그렇다 • 예수는 베들레햄에서 태어나는데 그곳은 오시리스-디오니소스에게 신성하게 여기진 작은 숲속에 감쳐줘 있는 곳이었다 • 예수는 마기의(동방박사) 방문을 받는데 마기는 오시리스-디오니소스를 섬긴 사제였다. • 마기는 예수에게 황금과 유향과 몰약을 예물로 바치는데 그것은 BC 6세기의 이교도가 신을 숭배하는 방법이었다. • 예수에게 물로 세례를 준 성스러운 인간(세례 요한)은 예수는 세례를 받는데 세례는 미스테리아 의식에서 수세기 동안 행해져 왔던 것이다. • 이교도의 물의 신과 이름이 같으며, 이교도들이 물의 축제를 벌인 하지에 태어난다. • 예수는 물을 포도주로 바꾸는데 마찬가지로 결혼식 때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또한 물을 포도주로 바꾸었다. • 예수는 12사도들에게 둘러싸여 있는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또한 그렇다. • 예수는 위선자들의 공격을 받고 폭군 앞에 불려가고 기꺼이 죽음을 향해 나아가며 사흘 만에 다시 살아날 거라고 예언하는데 이교도의 성자들 또한 그랬다. • 예수는 무리들이 나뭇가지를 흔드는 동안 나귀를 타고 성으로 입성하는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또한 그렇다. • 예수가 죽어서 부활했다는 날은 오시리스-디오니소스가 죽어서 부활했다는 날과 정확히 일치한다. • 예수의 빈 무덤에 3명의 여신도가 찾아오는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또한 3명의 여신도가 빈 무덤을 찾는다.

  5. 공통되는 이야기 구조 1.예수, 오시리스, 디오니소스, 발데르는 신의 속성이 빛이거나 풍요와 관련이 있는 신이다. 2.그들은 사고나 질병이 아닌 주변인의 음모와 모함으로 죽게 된다. 3.하지만 결국 그들은 부활하여 더한 권위를 획득하게 된다. 인간은 사후를 알 수가 없다. 하지만 신화 속에선 신들은 사후를 경험하고 알게된다. 예수는 부활함으로서 그의 신앙을 증명하였고 오시리스는 명계의 심판관이 되고 발데르는 신들의 황혼이 끝난 뒤 새로운 세상의 주신이 된다. 디오니소스 또한 위기를 거치며 헤라의 음모에서 벗어나 신이 되어간다.

  6. 신화들의 유사점과 그 의미 Q: 어째서 각 신화들은 유사한 걸까? A1:역사적으로오시리스와 디오니소스의 신화는 문화교류를 통해 그리스 로마와 이집트라는 서로의 영향을 주었으며 유대교 신화도 시대적으로 약간 뒤에 위치하지만 그 영향권에 속해있었다. A2: 신화는 사람의 삶을 반영하고 그 문화권은 다르지만 권선징악이나 사후세계 에 대한 궁금증등은 인류의 공통점이다. A3: 각 지역의 신화의 시작에 있는 홍수신화와 같이 집단무의식에 영향일수 있다.

  7. 집단무의식(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 집단무의식이란? 개인 무의식:어떤 개인이 어릴 때부터 쌓아온 의식적인 경험이 무의식 속에 억압됨으로써 그 사람의 생각, 감정,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 집단 무의식: 옛 조상이 경험했던 의식이 쌓인 것으로서 모든 사람들에게 공통된 정신의 바탕이며 경향'이라는 것이다. 옛사람들의 의식적 경험은 상징을 통해 집단 무의식으로 전승된다. 집단으로 전승되는 신화·전설·민담을 집단무의식의 '원형(archetypes)‘이며여기에는 여러 민족의 신화·전설·민담이 있으며 녹아들어 있는 지혜의 보고(寶庫)로 여겨진다.

  8. 신화가 없는 현대사회 보이는 것을 중요시하고 보이지 않는 것을등한시 하는 사회 But 우리가 안다고 생각하는 모든 보이는 것들은 원래는 우리가 모른다고 생각한 보이지 않는 것들이었다. 현대사회: 1.과학주의: 과학을 인간에 있어서 최고의 인식형태로 간주하고 원리적으로는 모든 문제가 과학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태도 2.합리주의: 비합리적 ·우연적인 것을 배척하고, 이성적(理性的) ·논리적 ·필연적인 것을 중시하는 태도. 합리론 ·이성론 ·이성주의라고도 한다. 3.물질주의: 돈을 삶의 가장 중요한 가치로 여겨 모든 것을 돈과 연관시켜 생각하고, 돈이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돈 제일주의를 일컫는다. 또한 신화란 집단적 꿈이고 집단의식이며 한 사회를 통합하는 상징적인세계였다. 오늘날 전통 가치가 사라지고 가치관이 혼동된다는 말은 즉, 공동체가 붕괴된다는 것은 전통신화가 사라져가고 있다는 말과 같다.

  9. 신화의 의미 • 신화란 단순히 옛날이야기나 환상이 아니다. 그 자체로서 개인에게는 정서적 배경과존재의 의미를 설명해주며 집단적으로 통합을 도와준다 .ex단군신화 • [꿈은 인격화된 신화고 신화는 보편화된 꿈이며, 꿈과 신화는 상징적이되, 정신 역학의 동일한 일반적 시각에서 보아 그렇다. 그러나 신화에서는 문제와 해결책이 모든 인류에게 직접 뚜렷이 제시되는 데 견주어, 꿈속에서는 꿈꾸는 사람이 안고 있는 문제에 따라 내용이 달라진다.] -Joseph Campbell from The Hero with a Thousand Faces- [신화는 외적 세게에 대한 내적 자아의 자기 해석이다. 신화는 우리의 사회가 통합되는 이야기이다. 신화는 우리의 영혼을 생동케 하고, 때로는 힘들고 의미 없는 세계에서 의미를 제공하는 과정에 필수적인 것이다.] –Rollo May from Cry for Myth-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