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 likes | 513 Views
9 조. 긴급. 주 재진. < 한국 인삼공사 기업전략에서 바라본 마케팅 >. KGC 송덕호 부사장님. 피터 드러커. 기업의 사명 : 고객의 창조. 핵심기능 : 마케팅 ( 큰 의미의 ) 이노베이션. 고객창조의 의미. 고객 욕구의 선행 : 핸드폰이 나오기 전엔 그 필요성을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음. 고객 잉여의 창출 : 고객의 ( 주관적 ) 가치를 높인다. - 고객관점. 마케팅의 의미. - 제반 기능의 alignment. - 기업 모든 기능의 전제조건
E N D
9조 긴급 주 재진
<한국 인삼공사 기업전략에서 바라본 마케팅> KGC 송덕호 부사장님
피터 드러커 기업의 사명 : 고객의 창조 핵심기능 : 마케팅 (큰 의미의) 이노베이션 고객창조의 의미 고객 욕구의 선행 : 핸드폰이 나오기 전엔 그 필요성을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음 고객 잉여의 창출 : 고객의 (주관적) 가치를 높인다.
-고객관점 마케팅의 의미 -제반 기능의 alignment -기업 모든 기능의 전제조건 -> 자본주의 경제는 거래를 기본으로 -> 거래는 가치를 제공하고 보상을 받는 것 -> 가치평가는 제공받는 사람의 관점
기업전략 경쟁전략 Business Model 수립의 문제 Business Model 운용의 문제
*마케팅 : 4P를 기본으로 한 여러 이론들 *지식과 Solution의 관계 -지식은 최소한 -Solution 까지 가기위해선 많은 과정이 필요 =>특히 생각의 힘. (절박하게, 포기하지않고 생각하면 반드시 답이 나온다.) “세헤라자데” *생각을 통해 Solution에 도달하는 것은 상당한 기술적인 면이 요구된다. =>이는 학교보다는 사회에서 배우게 된다.
<어디서 듣지 못할 마케팅 강의> CJ푸드빌 오진욱 팀장님
호랑이는 가죽을, 사람은 이름을, 마케터는 브랜드를 남긴다. 1등 브랜드의 조건 Story,선두주자,유통체계,… => “Brand Concept”
Brand Concept 브랜드 의미 소비자에게제공할 수 있는 ‘차별화 된 Benefit’ 을 제시하는 것이 좋은 컨셉. (명확한 타겟 + 차별화된 Benefit) ex* ‘고향의 맛’ 다시다 ‘엄마가 해주신 밥’ 햇반
브랜드 컨셉 도출사례 (뚜레쥬르) ‘맛있고 건강한 정통 유러피안 베이커리 Tous Les Jours’ => 이런빵은 신이나 만들 수 있다. 3가지 초점이 존재하는 좋지않은컨셉도출의 예(3가지 초점有=초점無) ?
뚜레쥬르 파리바게트 Core Differentiator 건강한 베이커리 선도적이고 맛있는 베이커리 Association 심리적-편안,건강,친근 기능적-자주굽는 담백함 심리적-선도적, 맛, 세련, 신뢰, 활기 기능적-다양한 맛, 화려한 데코, 자극적인 맛, 많은 점포 Reason (Attribute) 좋은재료, 민트그린 브랜드컬러, 과거comm.자산, … 다양한 제품구색, 브랜드네임, 블루 브랜드 컬러
Tous Les Jours : 건강, 신선 Ideal Bread : 갓구워 신선한 재료 그대로의 맛 ‘재료부터 다른 건강한 베이커리’
브랜드 컨셉 도출사례 (A Twosome Place) -Competitor Review- Caffebene: 커피보다는 공간을 소비. “커피화 함께 다양한 메뉴를 즐길 수 있는 편안한 공간” Starbucks: 전통, 모던, 대표적, 맛 “Authentic & Premium Coffee Experience” A Twosome place : 디저트, 케이크, 작지만 자신만의 영역 확고 “Premium Dessert Caffe”
해외사례 Miller Lite : 여성을 대상으로 한 저칼로리 맥주이나 시장사이즈의 한계를 깨닫고 “Great Taste, Less Feeling” 이라는 컨셉으로 맛있고 덜배부른 맥주를 표방하며 Lite맥주 후발주자임에도 최고의 자리 등극. Avis : “Avis is only No.2. But we don’t want your sympathy” 라는 슬로건으로 2등이기에 더욱 열심히 한다는 컨셉 구축.
해외사례 7up 탄산음료 : 펩시->크리스탈 펩시 / 콜라->옐로우 콜라 차별화 자체보다는 중요한 차별화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펩시나 콜라는 검은색이어야 한다는 컨셉을 버리려 하였으므로 두가지 제품은 시장에서 곧 퇴출 됨.) 반면, 7up은 “Un-cola” 라는 슬로건을 통해 “콜라와 같은 소프드 드링크지만콜라와는 다른 차별화된 음료이다.” 라는 컨셉을 도출하는 차별화 전략을 통해 성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