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1 시간 동안 25 ℃ 까지 Cooling 후 1 시간 유지

Serpentine. 원탄. 구분. 성분. wt%. 성분. wt%. 공업분석. 수분. 0.31. 고유수분. 10.35. 휘발분. 11.90. 휘발분. 11.05. 회분. 87.79. 회분. 42.73. 고정탄소. 0.00. 고정탄소. 35.87. 원소분석. 탄소 (C). 0.08. 탄소 (C). 59.96. 수소 (H). 1.33. 수소 (H). 4.66. 질소 (N). 0.00. 질소 (N). 0.74. 황 (S). 0.00. 황 (S). 0.05.

kanoa
Download Presentation

1 시간 동안 25 ℃ 까지 Cooling 후 1 시간 유지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Serpentine 원탄 구분 성분 wt% 성분 wt% 공업분석 수분 0.31 고유수분 10.35 휘발분 11.90 휘발분 11.05 회분 87.79 회분 42.73 고정탄소 0.00 고정탄소 35.87 원소분석 탄소(C) 0.08 탄소(C) 59.96 수소(H) 1.33 수소(H) 4.66 질소(N) 0.00 질소(N) 0.74 황(S) 0.00 황(S) 0.05 공업분석기 : TGA-601(Leco) 산소(O) 21.92 원소분석기 : CHNS-932(Leco) 사용 회분 12.67 시료 TGA조건 Reactor 조건 Pretreatment 조건 FACTOR 압력조건 온도조건 주입기체 압력조건 온도조건 온도조건 Reactor 316-Stainless Steel Serpentine 1 atm 150 ℃ Humid CO2 200 atm 200 ℃ 150 ℃ Reactor Size 30 ml Limestone 5 atm 350 ℃ 350 ℃ Pressure 115~185 atm Brucite 10 atm 550 ℃ Dry CO2 550 ℃ Temperature 155℃~220℃ 원탄 - 750 ℃ 750 ℃ Particle Size 37ꋯ70 micron TGA Heating 조건 2 ℃ /min 으로 승온시켜 Heating 후 2시간 유지 Particle Amount 4g particle TGA Cooling 조건 1시간 동안 25 ℃ 까지 Cooling 후 1 시간 유지 Solution Amount 16ml distilled water Reaction Time 1~3 hour Pilot-scale 광물이용 CO2 처리설비 기본설계 협동기관 : 아주대학교 에너지학과, 연구책임자 : 김 형 택 2003. 4. 2. 주요연구내용 3. 추진전략 1. 과제개요 및 연구목표 연구추진 세부 전략(시장상황) 핵심애로기술 및 극복방안 과제개요 • 최종적으로 개발된 기술의 시장진입을 위한 시장상황 • 국내 시장의 경우, 이에 대한 정보 및 자료가 전무한 상태. • -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가 실시 될 경우, 예상 파급효과가 큼. • 국외시장의 경우, 중국 및 동남아 시장을 중심으로 엔지니어링 자료를 바탕으로 Plant 설계 및 제작이 가능 • - 기술 수출이 예상. • 광물질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Carbonate화 기술은 각 적용 대상공정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 시스템을 구축. • - 현 시장을 확보하여 국내 및 국외로의 기술이전 및 수출도 가능. • - 투자 경제성은 상당히 높을 것으로 전망. 사문석, 석회석, 석탄회 등의 광물질을 이용. 이산화탄소를 광물질과 반응처리하여 안정된 물질로 만드는 이산화탄소 고정화 기술 CO2  +  H2O   H2CO3 H+  +  HCO3- Mg3Si2O4(OH)4  +  6H+ 3Mg2+  +  2SiO2  +  5H2O Mg2+  +  HCO3-   MgCO3  +  H+ 핵심 : 반응성 향상 methodology • 광물질과 이산화탄소의 carbonate화 반응은 자연적으로 일어나고 상당히 느림. 온도의 제한. ⇒ 반응 파라미터의 최적화 및 반응촉진 첨가제를 개발 필요. • 광물고정화 방법의 경우 발열 반응 시 발생되는 열의 회수를 통해 전체 효율을 향상.⇒저온 열에너지로 회수 방법상의 기술 개발이 필요. • 본 기술의 상용화 시, 광물질을 대규모로 이용. ⇒채광 및 전처리 과정과 관련된 환경 문제 검토. 4.활용방안 5. 반응성연구 5. 반응성연구 Pressure and Temperature 활용방안 Extent of Carbonation and Dehydroxylation vs. CO2 Pressure 1 2 Pressure Temperature • 기술적 측면 • - 대규모 CO2배출원에서 광물질을 이용한 CO2의 Carbonate화 공정 설계 기술 확보 • - 반응변수 변화를 통한 공정의 최적화 결정 • - 타 공정에 대한 적용 확대 및 각 기술들에 대한 효율 비교 가능 • 경제․산업적 측면 • - CO2의 제거 및 분리 시 소요되는 에너지소비량의 저감기대 • - 에너지 소비가 많은 단위 공정이나 대규모의 CO2배출분야인 전력, 화학 공정 • 등에 적용가능 • - 공정 최적화를 이룩함으로써 에너지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 석탄회 등의 폐기물의 이용으로 폐기물 감량 ② 실험압력이 115atm 이며 높은 온도(220 ℃이상)가 된 후에는 Solution안에서의 CO2의 활성도가 감소하여 반응 감소. Cost또한 경제적으로 비효율적 ① 실험온도가 155℃ 일 때 압력의 증가 시 Carbonation 반응 향상 그러나, 높은 압력(220 atm)에서는 반응 감소 0.64M NaHCO3 /1M NaCl 3hr 0.64M NaHCO3 /1M NaCl 155℃ 5. 반응성연구 5. 반응성연구 5. 반응성연구 Chemical Solution Low Pressure and Time Carbonation of Partially Dehydroxylated Nanocrystalline Mgx+yOx(OH)2y Psedomorphs in Humid* and Dry CO2 1 1 2 2 Low Pressure Time ① 낮은 Acid와 높은 Alkaline에서는 낮은 반응률을 보임. ② 실험에 필요한 bicarbonate (HCO32-)의 이온을 확보하기 위한 최적농도는 1M NaCl과 0.64M NaHCO3 ① 낮은 압력에서 시간 변화에 따른 반응률은 40%로 낮은 양상을 나타냄 ② 높은 압력에서는 반응률이 향상. 그러나 높은 고압(220atm)에서는 오히려 반응률이 떨어지는 현상 발생, 이러한 비교는 cost와도 밀접한 연관. 115 atm CO2 185℃ 115 atm CO2 185℃, 3hr 0.64M NaHCO3 /1M NaCl 155 ℃ 0.64M NaHCO3 /1M NaCl 155 ℃ 6. 분석자료 8. XRD 분석자료 7. 입도분석그래프 Relative Intensity [ I ] Antigorite(3MgO 2SiO2 2H2O) MgFe2O4 50 100 0 50 90 0 2θ (Serpentine) 2θ (Limestone C) 10.Microreactor design 11. 향후 실험추진계획 9. Microreactor diagram 아주대학교 에너지학과 에너지공정연구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