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 likes | 397 Views
현대 기술은 모두 첨단 기술인가 ?. 현대 기술과 공학의 철학 제 15 주 2010 년 12 월 10 일 정동욱. G-ABKZ DH PussMoth and camel, desert, Palestine (2008). 기술 = 발명과 혁신 ?. … 비행 (1903), 핵발전 (1945), 인터넷 (1965) … 기술의 역사를 발명의 연대기로 축약 혁신 중심의 역사는 오늘날 중요하다고 여기는 몇몇 기술이 발명되고 개발되던 초기 단계에만 초점 그 기술들의 중요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 부족
E N D
현대 기술은 모두 첨단 기술인가? 현대 기술과 공학의 철학 제15주 2010년 12월 10일 정동욱
기술 = 발명과 혁신? • … 비행(1903), 핵발전(1945), 인터넷(1965) … • 기술의 역사를 발명의 연대기로 축약 • 혁신 중심의 역사는 오늘날 중요하다고 여기는 몇몇 기술이 발명되고 개발되던 초기 단계에만 초점 • 그 기술들의 중요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 부족 • 가난한 나라의 기술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 • 과연 20세기 가장 중요한 기술은 무엇이었는가?
사용 중인 기술들에 대한 주목 • 옛 것과 새 것의 공존으로서의 현대 • 20세기에 사용된 기술에는 전기, 자동차, 우주선, 핵발전, 인터넷, 피임약뿐 아니라, 인력거, 콘돔, 말, 재봉틀, 물레, 초경합금공구, 자전거, 골함석, 시멘트, 석면, DDT, 전기톱 등도 포함되어 있음 • 현대 기술의 다양한 모습을 간직한 가난한 지역 • 가난한 나라의 도시의 현재 모습은 부유한 도시의 과거와도 현재와도 같지 않음.
기술의 확산과 보급의 역설 • 새로운 기술이 등장했다고 옛 기술이 금방 사라지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증가할 수도 있음 • 새로운 기술은 혁신이 일어난 직후 매우 금방 세계 곳곳에 나타나는 반면, 새로운 기술의 보급률은 지역별 소득에 의해 결정 • 시간에 따른 경제 개발은 과거 서구가 사용했던 기술을 복제할 수 있도록 해주긴 하지만, 같은 경제 수준이 같은 기술의 사용을 보장하지는 않음 • 서구의 예전 경제수준에 도달한 지역들이 서구의 과거 모습을 복제하고 있지는 않음!
말이 가장 많이 사용된 시대는? • 수송을 위한 말의 사용은 20세기 초에 정점 • 경제개발과 도시화는 더 많은 수의 마차 필요 • 철도와 운하의 교차점에 지어진 수많은 마구간 • 농업을 위한 말의 사용은 20세기 초중반에 정점 • 핀란드의 말 개체수는 1950년대에 정점 • 20세기 초 영미 경작지의 1/3은 말 유지용 • 1,2차 세계 대전에서 말의 사용은 꾸준히 증가 • 현대전에 필요한 엄청난 양의 물량 수송용 • 특히 철도의 종점에서 전선까지 운반하는 데 이용
가난한 도시의 판자촌 • 2000년경 세계 최대의 도시는 대부분 가난 • 브라질 상파울루, 멕시코시티, 필리핀 마닐라, 인도 뭄바이, 인도 델리, 파키스탄 카라치,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나이지리아 라고스, 방글라데시 다카 등 • “말의 도시도, 기차나 방적기의 도시도아니며, 거대 전기나 화학 산업의 도시도 아닌” 거대 도시 • 급속한 도시화의 동력은 다양한 판자촌의 성장 • 파벨라, 아센타미엔토, 푸에블로 요벤스 • 비참하지만 엄청난 규모의 유지능력을 갖춘 곳
판자촌의재료들 • 재료의 이름을 딴 판자촌 • 모로코의 비돈빌 • 아랍의 무둔 사피 • 더반의 이미존돌로스 • 20세기 전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했던 재료는? • 함석(아연도금철판), 양철(주석도금철판), 석면 시멘트(슬레이트) : 값쌈, 가벼움, 간편함, 긴 수명, 좋은 단열 성능(석면)
크리올 기술(creol technology) • 판자촌, 인력거, 자전거-인력거, 오토력거, 긴꼬리보트, (자동차 굴대와 핸들을 이용한) 당나귀 수레, 중국의 ‘뒷마당 철강’ • 자전거, 인력거, 자동차의 발명 시기는 거의 비슷 • 자전거의 사용 증가는 20세기 중반 이후의 현상 • 부유한 세계의 기술보다 시간상 뒤쳐진 기술 아님
크리올 기술과 근대화의 문제 • 크리올 기술 • 대규모 산업의 생산품들(자동차 엔진과 굴대, 자전거, 시멘트, 골함석 등)과 지역의 소규모 산업 결합 • 가난한 도시의 성장은 부유한 세계에서 온 이 (외관상)‘구식’ 기술 사용의 증가와 궤를 같이 함 • 시간적으로 뒤쳐진 지역이 이미 근대를 달성한 서구를 추격하는 것으로서의 ‘근대화’ 개념 성립하기 어려움! • 한국의 ‘근대화’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