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 likes | 550 Views
환경과 인간. 친환경 도시 프라이부르크. 프라이부르크와 서울. 프라이부르크 란 ? 1992 년 독일 환경수도로 선정 효율적 기후 와 환경정책 재생에너지원 사용. 프라이부르크와 서울. 도시 모습 어떤 다른 도시보다 더 많은 숲 , 포도 재배지가 있으며 , 또 흑림의 거친 고지에서부터 라인강의 저지숲이 있음. 도시 전경. 프라이부르크와 서울. 도시 이력 정책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적인 측면에서도 독일에서 가장 푸르른 “ 녹색 ” 도시 유럽 지역 공공교통상
E N D
환경과 인간 친환경 도시 프라이부르크
프라이부르크와 서울 • 프라이부르크 란? • 1992년 독일 환경수도로 선정 • 효율적 기후와 환경정책 • 재생에너지원 사용
프라이부르크와 서울 • 도시 모습 • 어떤 다른 도시보다 더 많은 숲, 포도 재배지가 있으며, • 또 흑림의 거친 고지에서부터 라인강의 저지숲이 있음 도시 전경
프라이부르크와 서울 • 도시 이력 • 정책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적인 측면에서도 • 독일에서 가장 푸르른“녹색”도시 • 유럽 지역 공공교통상 • 미래지향적인 공동체상 • 독일 솔라상 자연생태 공원
프라이부르크와 서울 • MOU 협정 • 현재 프라이부르크와 서울은 MOU 협정을 통해 온실가스 • 배출 감축, 기후변화대응, 태양광, 신재생 에너지, 자전거 • 및 대중교통 이용활성화 정책 등에 대해 상호협력을 함
환경 정책 • 환경 정책 • 1986년에 시 의회는 핵에너지 사용 반대를 통한 • 솔라 에너지를 새로운 주요 에너지원으로 하는데 합의 프라이부르크 박람회장 건물의 솔라지붕
환경 정책 • 1. 재생에너지 사용 • 바데노바 축구경기장, 시청, 학교와 교회 그리고 개인건물의 지붕이나 전면 혹은 외벽에 설치된 솔라시설물 바데노바 축구 경기장
환경 정책 • 2. 솔라에너지 네트워크 • 태양에너지 학회 (ISES), 그리고 Solar-factory, • Concentrix Solar GmbH, SolarMarkt AG 등의 기업과 • 하청업체들과 서비스업체들이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 Solar info center
환경 정책 • 3. CO2감소방안 • 2010년까지 CO2방출량 25% 감소 계획 • 이어서, 2030년까지 CO2방출량 40% 감소 추진 Solar factory
환경 정책 • 4. 폐기물 관리 • “처리보다는 분리, 분리보다는 방지”전략 사용 • 까다로운 환경 기준 하 폐기물을 소각 처리와 동시에 • 이만 오천 가구에 에너지를 공급 유해물질 수거차량 현대화된 쓰레기 수거차량 재활용품 적하장
환경 정책 • 5. 친환경 교통 정책 • 가능한 짧은 거리에서 잘 연계된 효과적인 복합도시를 형성 • 시주민의 65%가 전차 역에 닿을 수 있는 곳에 거주 • 전장 500km의 자전거 도로와 이용자의 편의시설개선 드라이잠 강변 자전거 도로
환경 정책 • 6. 자연보호 구역 • 프라이부르크 면적의 46% 인 7,016헥타르가 경관보호구역 • 이 중에 662헥타르는 자연보호구역이고 3,502헥타르는 유럽 보호구역네트워크“NATURA 2000”지침에 따라 보호
환경 정책 • 7. 산림 관리 • 시 면적의 43%에 이르는 6,398 헥타르가 숲으로 구성 • 숲은 가장 중요한 CO2흡수공간 기후보호에 있어서 핵심 흑림과 풍력발전기
환경 정책 • 8. 대기·하천오염 방지 • 공기청정도 유지계획(LRP)을 넘어 미세먼지 감소계획 구상 • 경사식 댐으로 수력발전과 동시에 물고기들은 경사로를 거쳐 • 하천 상류로 이동할 수 있다 호수 공원
성공요인과 시사점 • 성공 요인 • 프라이부르크가 환경생태도시로 부각되기까지 주민운동과 • 주민의 공동체적 의식과 참여가 중요
성공요인과 시사점 • 성공 요인 • 유치원 초등학교부터 시작되는 다양한 환경교육 • 생태학습관 설립과 각종행사를 통한 환경의 중요성 인지
성공요인과 시사점 • 시사점 • 프라이부르크의 경우는 도시브랜드의 창조에 성공했으며 • 우리의 혁신도시들도 개발초기에 도시 브랜드를 창출하여 • 혁신도시간 경쟁 필요 • 예) 교육, 과학, 환경, 역사, 금융 등의 도시 브랜드 필요 호수 공원 생태마을 슐리어베르크에 위치한 상가
성공요인과 시사점 • 시사점 • 프라이부르크를 세계에 알리고 독일의 환경수도를 만들기 • 위해 도시내 특정지역을 집중적으로 가꿔서 주민이 주도하고 • 적극 참여하는 방식을 도입, 성공 • 예) 보봉마을을 시범마을로 육성 보봉 주택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