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 likes | 606 Views
제주도에 대해서. 6-5 윤세화. 목차. 쇠소깍 돌하르방 올레길 우도봉 우도 성산일출봉 주변 숙박시설 주변 박물관 및 미술관. 쇠소깍. 쇠소깍의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하효동 140 쇠소깍은 제주 현무암 지하를 흐르는 물이 분출하여 바닷물과 만나 깊은 웅덩이를 형성한 곳이다 쇠소깍은‘소가 누워 있는 모습의 연못’이라는 뜻의 ‘쇠소’에 마지막을 의미하는 ‘깍’이 더해진 제주 방언이다‘소가 누워 있는 모습의 연못’이라는 뜻의 ‘쇠소’에 마지막을 의미하는 ‘깍’이 더해진 제주 방언이다.
E N D
제주도에 대해서 6-5 윤세화
목차 • 쇠소깍 • 돌하르방 • 올레길 • 우도봉 • 우도 성산일출봉 • 주변 숙박시설 • 주변 박물관 및 미술관
쇠소깍 • 쇠소깍의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하효동 140 • 쇠소깍은 제주 현무암 지하를 흐르는 물이 분출하여 바닷물과 만나 깊은 웅덩이를 형성한 곳이다 • 쇠소깍은‘소가 누워 있는 모습의 연못’이라는 뜻의 ‘쇠소’에 마지막을 의미하는 ‘깍’이 더해진 제주 방언이다‘소가 누워 있는 모습의 연못’이라는 뜻의 ‘쇠소’에 마지막을 의미하는 ‘깍’이 더해진 제주 방언이다
돌하르방 • 돌하르방은 1971년 8월 25일 지방민속자료 제2호로 지정되었다. • 전체 키는 181.6cm 이고, 머리길이는 89.0cm,머리둘레는 149.1cm이며,가슴둘레는 196.6cm , 기석높이는42.2이고 기석둘레는 322.6cm 이다 • 대체로 돌하르방은 성문 앞에 서서 성안 관아의 위용을 보이고, 성문 앞이라는 경계표지 및 금표로서의구실을 하였을 뿐 아니라, 성문의 수호신으로서 성안의 안전을 지키는 종교적 기능을 담당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올레길 • 올레의 원뜻은 ‘집 대문에서 마을 길까지 이어지는 아주 좁은 골목’. 이처럼 제주도만의 독특한 길들을 엮어 만든 고유의 트레일이 제주 올레길이다. • 제주 올레길은 2012년 5월까지 20코스까지 개장되었다. 각 코스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15km 이내이며, 평균 소요시간이 5-6시간 정도이다
우도봉 • 우도봉은 제주도 동쪽 끝에 있는 우도(牛島)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다 • 우도봉은높이 132.5m, 폭 1,156m, 둘레 3,307m, 면적 65만 3,979㎡로, 남~남동사면은 높이 100m의 해안단애를 이루며 바다로 내리지르고, 북사면은 용암유출에 의해 파괴된 형태로 완만한 용암 대지로 이어져 있다.
우도성산일출봉 • 우도 성산일출봉은 제주도 동쪽 바닷가에 솟아 있는 해발 182m의 화산채로, 5천여 년 전 제주에서 생겨난 수성화산이다 • 성산일출봉은 뜨거운 용암이 바닷물과 섞이며 일으킨 폭발로 90m 높이의 봉우리가 뾰족하게 솟아 있으며 가운데는 2.64㎢ 규모의 분화구가 자리 잡고 있다 • 성산일출봉의 정상에 서면 장엄한 모습의 아흔아홉 봉우리가 코앞에 다가서며 드넓은 억새밭이 장관을 이루고 있고 우도가손에 잡힐 듯 바라다보인다
주변 숙박시설 및 박물관 -돌하르방(064-738-3391제주 서귀포시 색달동2082) -가산토방(064-732-2096제주 서귀포시 토평동3077) -중문빌리지(064-738-3151제주 서귀포시 하예동141) -자유도시(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색달동1901-1) -바닷가에서(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보목동437-5) -박물관은 살아있다(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색달동2629 /064-805-0888 ) -테디베어뮤지엄(064-738-7600제주 서귀포시 색달동28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