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 likes | 213 Views
제 4 장 관리도. Statistical Quality Control. 4.1 관리도의 용도와 종류 4.2 계량치의 관리도 작성법 4.2.1 평균치 및 범위관리도 4.2.2 개개치 관리도 4.3 계수치 관리도 작성법 4 .3.1 불량률 관리도 4.3.2 불량개수 관리도 4.3.3 단위당 결점수 관리도 4.3.4 결점수 관리도 4. 4 관리도 해석. - 2 -. 제 4 장 관리도. Statistical Quality Control. 4.1 관리도의 용도와 종류
E N D
제4장 관리도 Statistical Quality Control 4.1 관리도의 용도와 종류 4.2 계량치의 관리도 작성법 4.2.1 평균치 및 범위관리도 4.2.2 개개치 관리도 4.3 계수치 관리도 작성법 4.3.1 불량률 관리도 4.3.2 불량개수 관리도 4.3.3 단위당 결점수 관리도 4.3.4 결점수 관리도 4. 4 관리도 해석 - 2 -
제4장 관리도 Statistical Quality Control • 4.1 관리도의 용도와 종류 • 관리도는 1924년 미국의 Shewhart에 의해 고안되었다. • 관리도의 작성목적 : 공정을 안정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 관리도의 역할 : 공정에 있어서 자명종과 같은 역할 • 우연원인(Chance Cause)과 이상원인(Assignable Cause) • 3시그마법 적용 • 제1종과오( ) : 공정이 안정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과오 : 0.27% • 제2종과오( ) : 공정이 불안정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안정상태라고 판단할 과오 • 사용되는 분포 : 정규분포 (u) • 관리도공식의 ABC : 추정공식을 연상 • 해석용 관리도와 관리용 관리도 - 2 -
제4장 관리도 Statistical Quality Control • 4.1.2 관리도의 종류 • . - 2 -
제4장 관리도 Statistical Quality Control • 4.2 계량치 관리도 작성법 • .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