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0 likes | 635 Views
음성장애. 음성장애의 종류. 음도장애 강도장애 음질장애 유동성장애. 음도장애. 높은 음도 낮은 음도 음도 일탈 이중 음성. 높은 음도. 후두의 내부 및 외부근육은 정서적 스트레스에 매우 민감 근골격 긴장 - 목 주변 긴장 변환 실성증 - 기질적인 장애는 없지만 정서적 문제로 발생 매우 높은 음도로 끽끽거리거나 속삭이는 음성을 산출 변환부전실성증 - 심리적 문제로 완전히 실성한 경우는 아니지만 음성에 문제를 보이는 경우 , 고음도의 가성일탈 , 억압되고 거칠면서 기식화된 음성 산출
E N D
음성장애의 종류 • 음도장애 • 강도장애 • 음질장애 • 유동성장애
음도장애 • 높은 음도 • 낮은 음도 • 음도 일탈 • 이중 음성
높은 음도 • 후두의 내부 및 외부근육은 정서적 스트레스에 매우 민감 • 근골격 긴장-목 주변 긴장 • 변환 실성증-기질적인 장애는 없지만 정서적 문제로 발생 • 매우 높은 음도로 끽끽거리거나 속삭이는 음성을 산출 • 변환부전실성증-심리적 문제로 완전히 실성한 경우는 아니지만 음성에 문제를 보이는 경우, 고음도의 가성일탈, 억압되고 거칠면서 기식화된 음성 산출 • 무변성-변성기를 거친 남성들이 여전히 유아식 발성을 하는 경우 • 미숙한 정서 • 내분비계 장애 • 심한 청각장애
낮은 음도 • 갑상선 기능 감퇴증-갑상선이 티록신 분비가 부족할 때 • 점액수종 발생, 기운이 없으며, 추위를 견디지 못함 • 점액 종양물질이 성대에 점착함으로 목쉰 소리, 지나친 낮은 음도산출 • 남성화-여성들에게 남성호르몬의 과다분비로 여성후두의 크기가 정상보다 커지거나 성대가 정상보다 무겁고 두꺼워짐으로써 발생 • 선단비대증-성장호르몬의 과다분비로 초래되는 증상 • 뼈, 연골, 연조직 등이 정상보다 크고 성대와 후두연골 역시 정상보다 커서 지나치게 낮은 음도와 목쉰 소리가 산출 • 접촉성 궤양-성대 혹은 피열연골이 과다하게 접촉하여 그 접촉부위에 궤양이 발생한 것, 40대 운동코치 • 발생부위: 성대의 뒤쪽 1/3영역, 피열연골간 부분, 성대돌기 부분
음도일탈 • 음도가 한 옥타브 가량 위쪽으로 일탈되거나 한 옥타브 가량 아래쪽으로 일탈되는 현상으로 무변성, 근골격긴장, 변환음성장애, 운동실조형 마비성 구어장애에서 주로 발생 • 이중음성 • 성대가 서로 각기 다른 긴장도를 가지고 있을 경우 발생 • 한 목소리에 2개의 음도가 공존하는(화음과 같이) 현상 생김 • 건강한 성대는 정상 진동, 폴립성대는 낮은 진동
강도장애 • 큰 음성 • 청각장애의 경우 피드백의 문제에 의해 발생 • 운동실조형의 마비성 구어장애는 지나치게 큰 음성을 산출함 • 정신적인 문제로 정상보다 지나치게 큰 목소리를 내는 경우 • 작은 음성 • 결핵, 암, 폐렴 등이 낮은 강도 산출 • 쉽게 신체를 피로하게 하는 병이나 우울증 • 구개열 혹은 구순열이 있는 사람
음성강도 척도 • 수준1, 2 : 성격적인 특성이나 우울증과 같이 정서적인 요소가 관계 • 수준3 : 정상음성 • 수준 4, 5 : 성대에 병변이 초래 될 가능성이 많음 • 척도 체크 방법 • 나의 음성크기가 다른 사람들의 음성크기와 유사한가? 3 • 나의 음성크기가 다른 사람들의 음성크기보다 작은가? 2 • 나의 음성크기가 다른 사람들의 음성크기보다 큰가? 4
음질장애 • 음질 : 얼마나 소리가 맑고 유쾌한가를 지칭하는 용어 • 목쉰소리 • 음질장애 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증상 • 감기를 앓고 난 후 내는 음성 혹은 운동경기 관람 시 고함 지른 후 • ‘허스키’하다는 것과 동일한 개념 • 일본식 용어로 ‘애성’이라고도 함 • 목쉰소리는 성대의 조그만 병변을 가진 경우도 발생 • 성대결정이 대표적임-성대를 많이 사용함으로써 성대에 혹이나 굳은 살이 생긴 것 • 남성보다는 여성, 성인보다는 아동, 일반인 보다 가수나 교사 빈번
기식화된 소리 • 원인 : 성대에 생긴 기질적인 병변이나 기능적인 이유로 성대의 내전이 견고하지 못하여 두 성대 사이에 벌어진 틈 사이로 기류가 누출되면서 발생 • 발성 시 성대 사이로 공기가 새어 나오기 때문에 발생 • 후두폴립 : 물집 형태를 띰 • 보통 직격이 6mm이상인 경우가 많이 성대결절보다 큼 • 편측성 • 무작위적으로 발생 • 성대결절은 오랜 시간 동안의 성대 오용이나 남용에 의해 발생 • 반면 성대폴립은 단 하루의 성대오용이나 남용에 의해서 발생
거친 소리 • 거친 소리에 대한 정의 학자에 따라 다름 • 목쉰 소리+기식화된 소리 • 목쉰 소리가 한층 심해진 상태로 힘없이 허스키한 것이 아니라 불쾌하고 호전적인 느낌을 동반하는 것 • 후두암이 많이 진행된 환자의 음성이나 라인케씨 부종이 심한 경우 • 성대구조-5개 층 • 상피조직 • 고유판 표층-라인케 공간이라 부르며, 느슨한 섬유질로 형성 • 고유판의 중간층 • 고유판의 심층 • 성대근
기타 음질장애 • 음성의 떨림 • 억압된 음성 • 심한 성대접촉 • 성대 프라이 • 가성대 발성 • 과대비성
유동성 장애 • 음성의 음도나 강도를 자유자재로 자연스럽게 변화시키지 못함 • 파킨슨씨 병-강도가 작아지고 음도가 단일 • 자폐증상-책을 읽듯이 말함 • 기타 유동성 장애 • 외국인이 한국말을 할 때 또박 또박 발음해도 정확지 않은 경우
음성평가 • 정말로 음성문제가 있는가? • 만일 음성문제가 있다면 얼마나 심한가? • 어떠한 음성 기능이 손상되었는가? • 음성장애를 유발하는 처음 요인은 무엇이며, 그것을 계속 유지시키는 요인은 무엇인가? • 아동이 갖고 있는 음성치료에 대한 동기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음성평가2 • 청각을 통한 음성평가 • 일본 음성언어의학회 GRBAS평정법 • G(grade): 음성에 대한 종합적 평가항목 • R(rough): 거친 정도 • B(breathy): 숨이 새어 나오는 정도 • A(asthenic): 가냘픈 정도 • S(strained): 쥐어짜는 정도 • 각 항목은 0, 1, 2, 3, 4로 평정 • 0은 해당 항목의 특성이 없는 경우 • 3은매우 많은 경우
음성평가3 • 측정기기에 의한 음성평가(MDVP-정상의 예)
음성의 위생적 관리를 통한 치료 • 준수사항 • 충분한 수분을 섭취한다 • 입으로 수증기를 들어마시는 습윤치료를 한다 • 가습기를 사용한다 • 음성증폭기를 사용한다 • 충분한 휴식을 취한다 • 건강한 식이요법을 실행한다 • 위산역류현상이 있는 경우, 제산제 처방을 받는 등의 내과치료를 병행한다
음성위생관리2 • 금기사항 • 흡연을 하지 않는다 • 음주하지 않는다 • 카페인 섭취를 줄인다 • 우유나 치즈 등의 유제품 섭취를 줄인다 • 소리를 지르지 않는다 • 헛기침을 하거나 목청을 자주 가다듬지 않는다 • 심한 운동을 하면서 동시에 말하지 않는다 • 소음이 심한 환경에서 말하지 않는다 • 취침3시간 전에는 음식물을 섭취하지 않는다 • 직장생활이나 대인관계에서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증후적 음성치료 • Boone의 음성치료 촉진기법 25가지 • 혀위치변경법, 생체 피드백, 강도변화 • 노래조로 말하기, 저작하기 접근법, 손가락 조작법 • 청능훈련법, 남용의 제거, 심한 성대접촉의 제거 • 새로운 음도 확립, 문제의 설명, 피드백 • 함수접근법, 계층적분석, 흡기발성 • 차폐, 부적실행, 구강개방접근법 • 음도억양, 음성배치,밀기접근법 • 이완, 호흡훈련,음성휴식, 하품-한숨접근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