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0 likes | 858 Views
우리아이 건강하게 키우기. 안전한 먹을거리와 행복한 식생활 푸른생협 교육문화위원장 윤미희. 엄마의 힘으로 지키는 아이건강. 우리는 왜 생태적으로 살아야 하는가 아이의 건강을 위협하는 것들에 대하여 알아보기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우리는 왜 생태적으로 살아야 하는가. 아이의 건강을 위협하는 것들. 1. 환경호르몬 2. 정크푸드 3.GMO( 유전자조작식품 ) 4. 식품첨가물 ( 가공식품 ). 1. 환경호르몬. 정의 ‘ 외인성 내분비 교란 화학물질 ’
E N D
우리아이건강하게 키우기 안전한 먹을거리와 행복한 식생활 푸른생협 교육문화위원장 윤미희
엄마의 힘으로 지키는 아이건강 • 우리는 왜 생태적으로 살아야 하는가 • 아이의 건강을 위협하는 것들에 대하여 알아보기 •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아이의 건강을 위협하는 것들 1.환경호르몬 2.정크푸드 3.GMO(유전자조작식품) 4.식품첨가물(가공식품)
1.환경호르몬 • 정의 ‘외인성 내분비 교란 화학물질’ 환경에 노출된 화학물질이 우리몸속에들 어와 마치 ‘호르몬’처럼 행동하는 물질의 총칭.
환경호르몬 • 종류 • DDT – 살충제 • 다이옥신 ㅡ 쓰레기 소각장 • 농약 – 고엽제, 아트라진, 엔도살판 •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 식기 • 비스페놀A ㅡ 합성수지원료, 식품과 음료용 캔의 안쪽 코팅 • 계면활성제 ㅡ 세제류,치약,샴푸.
환경호르몬 • 특성 • 체내 호르몬은 우리 몸이 필요로 할 때 필요한 만큼만 작용하는 반면 환경호르몬은 필요하지 않을 때도 작용한다. • 엄마가 섭취하는 음식이 태아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 지방에 축적되어 생물에 농축되는 경우가 있다. 현재 안전기준의 백만분의1이라는 미량의 수준으로 작용한다. • 그 영향이 나타날 때까지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인체에 주는 영향 • 성장억제 • 생식이상 • 기억장애, 학습장애 • 주의력 결핍 및 행동과다 장애 • 발작
2.정크푸드(Junk Food) • 정의 ㅡ 열량은 높고 영양은 낮은 인스턴트 음식이나 패스트푸드,식품첨가물을 많이 포함한 건강에 좋지 않은 음식을 총칭하는 것. • 종류 ㅡ 탄산음료, 감자튀김, 햄버거, 가공식품 등 • 햄버거ㅡ590kcal, 감자튀김 ㅡ447kcal, 콜라 ㅡ40kcal
3.GMO (유전자조작식품) • GMO란 무엇인가? •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의 약자 •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한 생물의 유전자(DNA)를 떼어내 다른 생물의 유전자에 붙여 넣어 원하는 성질을 만들어 낸 생물체를 말한다. • 즉 자연적으로는 절대 일어날 수 없는 종(種)들 사이의 유전자가 바뀌어서 새로운 종(種)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GMO 왜 위험한가 • 인체와 가축에 대한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았다. • GMO의 장기간 재배시 생태계를 교란할 우려가 있다. • 생물 다양성이 파괴될 위험성이 있다. • 유전자 조작기술의 독점 및 다국적 기업의 식량시장 지배가능성이 있다.
인체안전성 침해 사례 • L-트립토판 사건(1989) • GM미생물로 만든 식품첨가제(일본 쇼와전공 제조)가 들어간 건강보조식품을 장기복용한 35명이 사망한 사건 • 브라질 너트 사건(1996) ㅡㅡ미국 • 세계적 종자기업인 파이오니어하이브리드사가 브라질너트 유전자를 삽입한 GM콩을 개발하였으나, 이를 먹은 사람들에게서 알레르기가 유발되어 제품개발을 중단함
인체안전성 침해사례 • 푸스타이 박사의 GM감자 실험(1998)ㅡㅡ영국 • 로웨트 연구소에서 GM감자를 쥐에게 먹이는 실험을 한 결과, • 쥐의 주요 장기가 손상되고 뇌의 크기가 줄어 들었으며 면역 기능이 크게 약화되었음을 발표. • 이틀 후 실험이 잘못되었다는 이유로 연구소에서 해고. • 2006년 13개국 22명의 과학자가 동일 실험을 통해 그의 연구가 사실이었음을 확인, 푸스타이 박사에 대한 공개적 지지를 선언. • 조직병리학자 스탠리에이윈이GM식품의 발암성을 경고 • (2002 .12.)ㅡ 스코틀랜드
인체안전성 침해 사례 • 일본-2003.6 • 기후대학의 나카사토히로야스가 연간 1,200명의 어린이를 진료한 결과 3년전부터 영구치가 부족한 어린이가 연간 7%로 증가함 • 주된 원인은 GM 작물 내에 잔류된 제초제 성분 글리포세이트로써, 이러한 GM식품의 섭취량이 증가한 결과라고 분석.
인체안전성 침해사례 • 캐나다 2003,6 • 온타리오 주의 구웰프 대학이 생명공학 기업의 의뢰에 의한 실험. • 바이엘크롭사이언스사가 개발한 GM옥수수를 수탉에게 42일간 섭취시킨 결과 섭취군은비섭취군에 비해 성장의 둔화와 2배의 사망률을 보임
인체안전성 침해사례 • 러시아,2005,10,10 • 생리학자 이리나 에르마코바는GM식품이 차세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에 관한 동물실험. • 미국 몬산토사의GM콩 분말을 먹인 쥐에서 태어난 쥐 45마리 중 25마리가 사산됨. • 출산된 쥐의 36%는 몸무게 20g이하의 매우 허약한 상태였으며 성장속도는 일반 콩을 먹인 쥐의 50%정도로 둔화.
생태안전성 침해사례 • 해충, 제초제 저항성 GMO가 갖고 있는 저항성유전자로 쉽게 생태계로 전이 • 수퍼 잡초와 수퍼 해충의 탄생 • 변종(돌연변이) 출현으로 생태계 교란 • 생물다양성의 파괴와 획일화 • 자연생태계의 순환구조 파괴
생태안전성 침해사례 • 미국, 1999.5.19 • 코넬대학 연구팀이 5년간 나비를 조사하여, 얼룩반점제왕나비의 개체수가 75%감소한 사실과 GM작물이 중요한 원인의 하나임을 밝힘 (네이쳐nature지에 게재) • GM옥수수를 비롯한 살충성GM작물의 Bt독소가 화분을 통해나비유충의 먹이인 작물에까지 확산되어 치명적 영향을 초래함 • 동일한 내용이 캐나다 겔프 대학, 일본의 농림부, 미국의 일리노이 대학의 실험연구에서도 증명됨
생태안전성 침해사례 • 미국, 2005,2,16. • 노스캐롤라이나대학의 식물학자 존 윌컷은GM작물의 선전문구인 [제초제살포회수의 감소, 사용량 감소로 경제성있다]에 의문을 제기함 • 이는 제초제내성 유전자가 화분에 의해 확산되어 제초제가 효과가 없는 [수퍼잡초]가 증가하였다는 사실을 그 근거로 제시 • 그 결과 선전과는 다르게 현실에서는 제초제의 사용량과 살포회수가 계속 증가 • (델타 팜 프레스지에 게재)
우리 식탁에 오르는 GMO • 콩 ㅡ간장, 된장, 두부,콩나물,식용유,마아가린, 마요네즈등 (국내에 유통되는 콩의 93%가 수입산) • 옥수수 ㅡ 옥수수통조림, 콘스낵, 옥수수유, 씨리얼, 물엿, 액상과당,전분당, 당면,(국내소비량의 99%가 수입산) • 유채 ㅡ카놀라유,샐러드드레싱,마가린 등 • 면화 ㅡ 식용 면실류(땅콩버터,스낵류,참치통조림 등) • 토마토 ㅡ케찹, 토마토 퓨레, 음료, 각종소스재료 • 감자 ㅡ감자스낵,감자튀김, 감자전분 • 기타 ㅡ 새싹채소,치즈(GMO효소) 빨간글씨는GMO표시 면제품목이었으나 2012년부터 표시대상에 포함
GMO표시제 • 1998년 EU가 모든 유전자조작식품에 대한 표시 의무화. ㅡ광우병이나 다이옥신 파동과 같은 식품문제가 제기되면서 식품의 안전성을 우려한 소비자들의 행동에서 비롯됨. • 2008년 10월 GMO표시제가 입안통과되어3년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2012년 전면 시행될 예정이다. • 실제로 개발 유통되고 있는 모든 유전자조작농산물과 그것을 원료로 하는가공식품 모두를 표시대상으로 함
GMO표시제 • 원산지를 확인한다 • GMO는 주로 미국, 아르헨티나, 캐나다 등 외국에서 수입되고 있다. 특히 미국산이면 GMO의 가능성이 높다 • 식용유와 간장의 겨우 거의 100% 수입콩 • 가공식품의 경우 제조.가공 후에 유전자재조합 DNA가 남아 있지 않더라도 원재료가 GMO이면 2012년 부터는 표시하여야 한다
4.식품첨가물 • 방부제 * 솔빈산,솔빈산 칼륨 ㅡ 어육제품,단무지 간장,케첩,유산균음료 * 데히드로초산,데히드로나트륨ㅡ 치즈,버터,마가린 * 안식향산나트륨ㅡ 간장 • 증상 *간장의 변화, 염색체 이상,간질병의 경련 유발
4.식품첨가물 • 인공 합성 감미료 * L-글루탐산,L-글루탐산나트륨ㅡ 모든 식품에 사용(현기증, 손발 저림, 두통, 어린이 입의 신경세포 파괴) * 아스파탐ㅡ 청량음료, 젤리, 츄잉껌, 아이스크림 (흰쥐에 경구 투여하면 뇌 등에 증상, 토끼에 경구 투여하면 골격이상 발견) * 사카린 ㅡ츄잉껌, 청량음료, 아이스크림, 과자류 (흰쥐의 자궁암, 방광암)
4.식품첨가물 • 착색제 * 타르색소 (황색4호, 5호 등) ㅡ치즈, 버터, 아이스크림, 과자, 사탕, 소시지, 통조림 고기, 푸딩 (간, 혈액, 콩팥 장애, 발암성) • 발색제 * 아질산나트륨ㅡ 햄, 소시지, 어육제품,야채, 과일 (헤모글로빈 빈혈증, 호흡기능 악화,급성구토, 간장암 유발)
5.식품첨가물 • 팽창제 • 탄산수소나트륨 ㅡ 빵, 케이크, 비스킷, 초콜릿 • (카드뮴, 납 등의 중금속 함량이 높음) • 산화방지제 • 에르솔빈산나트륨ㅡ 생선, 냉동식품, 주스, 버터, 치즈 • (염색체 이상) • 이 외에도 아황산계 표백제, 아염소산 나트륨 등 다수
우리는 어떻게 해야할까? • 정확한 정보 얻기 • 식품의약품안전청 • http://www.kfda.go.kr • 두레생협연합 • http://www.dure.coop • 지식경제부 • http://www.biosafety.or.kr
우리는 어떻게 해야할까? • 식문화를 바꾸자 ㅡ 육식에서 채식으로 • 슬로우푸드 운동에 동참하자. ㅡ 전통음식을 즐기자 • 지역농산물을 이용하자. ㅡ 이동거리가 단축되므로 화석연료의 사용이 줄고, 유통단계가 줄어들기 때문에 생산자와 소비자가 모두 이익이다. • 학교급식활동에 참여하자. • 텃밭가꾸기를 하자 ㅡ 도시농업 네트웍크ㅡ 학교, 유치원, 어린이집 강사파견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