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0 likes | 1.47k Views
03_07. 학습하기. 2. 대차의 종류 > (1) 객차용 대차. 프레스강 용접구조형 대차 ( 경량화 차량에 사용한 대차 ). #1. HHBT 형. 코일 스프링과 오일댐퍼를 사용하여 자중을 감소 압연강판을 용접하여 경량화 답면브레이크 용 객차에 사용 , 최고 허용속도 120㎞/h 현재 전량폐차 . #2. 크게 보기. #3. #4. #5.
E N D
03_07 • 학습하기 2. 대차의 종류 > (1) 객차용 대차 프레스강용접구조형 대차 (경량화 차량에 사용한 대차) #1 HHBT형 • 코일 스프링과 오일댐퍼를 사용하여 자중을 감소 • 압연강판을 용접하여 경량화 • 답면브레이크용 객차에 사용, 최고 허용속도 120㎞/h • 현재 전량폐차 #2 크게 보기 #3 #4 #5 성우 : #1 먼저 HHBT형(에이치에이치 비 티 형)은,#2 코일 스프링과 오일댐퍼를 사용하여 자중을 감소했고, #3 압연강판을 용접하여 경량화시켰습니다. HHBT형은 #4 답면브레이크용 객차에 사용되었으며, 최고 허용속도는 120㎞/h(키로 미터 퍼 아워)로, #5 현재 전량 폐차됐습니다. 크게 보기 클릭시 도면을 확대해주세요.
03_07 • 학습하기 2. 대차의 종류 > (1) 객차용 대차 프레스강용접구조형 대차 (경량화 차량에 사용한 대차) #1 HHDT형 (NT21 대차) 사진보기 • 150㎞/h의 고속주행이 가능토록 설계 • 축상지지 방법은 전후좌우에 탄성지지의 원통 안내식 • 제동장치는 디스크 브레이크 사용 • 센터프레이트는 직경이 810 mm로 대차에 회전저항을 부여하여 사행동을 억제토록 설계 • 1차,2차 현수장치 : 원통 코일스프링 사용 • 스윙행거: 길이 570mm로 각도 10°로 하부 볼스터(bolster)를 대차 프레임에 연결시킴 #2 #3 #4 #5 #6 #7 성우 : #1 HHDT형(에이치에이치디 티 형)은,#2 150㎞/h(키로 미터 퍼 아워)의 고속주행이 가능토록 설계되었습니다. #3 HHDT형의 축상지지 방법은 전후좌우에 탄성지지의 원통 안내식으로, #4 제동장치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HHDT형의 #5 센터프레이트는 직경이 810 mm로 대차에 회전저항을 부여하여 사행동을 억제토록 설계되었으며, #6 1차 현수장치와 2차 현수장치 모두원통 코일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HHDT형의 #7 스윙행거는길이 570mm,로 각도 10°로 하부 볼스터를 대차 프레임에 연결시켰습니다. 사진보기 클릭시 다음슬라이드의 사진으로 전환되게 해주세요.
03_08 • 학습하기 2. 대차의 종류 > (1) 객차용 대차 세브론 대차 #1 세브론 대차 (Chevron=CADT) 사진보기 mm mm 안티롤바 • 1차 현수장치 : 세브론 고무 스프링 사용 • 2차 현수장치 : 공기 스프링 사용 • 차체의 롤링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티롤바 설치 • 차체와 사이드후렘간에레벨링밸브를 설치하여 차체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음 #2 #3 #4 #5 성우 : #1 세브론 대차는, #2 1차 현수장치로세브론 고무 스프링을, #3 2차 현수장치로공기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4 차체의 롤링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티롤바를 설치했고, #5 차체와 사이드후렘 간에 레벨링밸브를 설치하여 차체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사진보기 클릭시 다음슬라이드의 사진으로 전환되게 해주세요. 그림에 ‘안티롤바 장치’라는 텍스트 지우고, 주황색 점선 영역과 ‘안티롤바’ 명칭 넣어주세요.
03_09 • 학습하기 2. 대차의 종류 > (1) 객차용 대차 만 대차 수직 오일댐퍼 휠셋트 오일댐퍼 차륜 및 차축 #1 만 대차 (Mann = HADT) 대차 프레임 제동 표시기 대차와 차체 연결 저어널 박스 1차 코일 스프링 명판 둥근머리작은나사 • 최고 주행속도 150㎞/h의 고속열차에 적합한 대차 • 축상지지부에 코일스프링 및 리프스프링에 의한 안내 방식 채용 • 2차스프링은 공기스프링에 의해 직접 대차프레임에 지지 #2 만 대차의 정면도가 필요한가요? 필요하시다면 화면을 고민해 넣어보겠습니다. no #3 #4 • 축상: 상, 하에서 리프스프링으로 지지 • 1차 현수장치 : 코일 스프링 및 판(leaf)스프링 사용 • 2차 현수장치 : 공기 스프링을 사용 #5 #6 #7 성우 : #1 만 대차는, #2 최고 주행속도 150㎞/h(키로 미터 퍼 아워)의 고속열차에 적합한 대차입니다. #3 축상지지부에 코일스프링 및 리프스프링에 의한 안내 방식을 채용했고, #4 2차스프링은 공기스프링에 의해 직접 대차프레임에 지지됩니다. 만 대차의 #5 축상은 상, 하에서 리프스프링으로 지지되고, #6 1차 현수장치에는코일 스프링 및 판(leaf)스프링, #7 2차 현수장치에는공기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03_09 만 대차 (Mann = HADT) 공기 스프링 조립 센터핀 사진보기 센터피봇 조립도 수직 오일댐퍼 • 센타피봇 • - 상부는 차체와 연결 • - 하부는 링크로 되어 수직운동이 유연(견인장치를 겸함) • - 센터핀과대차후레임 사이에 콤포지트베어링을 사용하여 곡선 통과시에도 마찰이 없이 회전이 유연 • - 센터베어링 : 자유횡동은스톱바, 사이드스윙은 범퍼에 의해 운동 제한 받음 #8 #9 #10 #11 #12 성우 : 만 대차의 #8 센터피봇의#9 상부는 차체와 연결되고, #10하부는 링크로 되어 수직운동이 유연해 견인장치를 겸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11 센터핀과대차후레임 사이에 콤포지트베어링을 사용하여 곡선 통과시에도 마찰이 없이 회전이 유연하며, #12 센터베어링의자유횡동은스톱바, 사이드스윙은 범퍼에 의해 운동에 제한을 받습니다. 사진보기 클릭시 다음슬라이드의 사진으로 전환되게 해주세요.
03_10 • 학습하기 2. 대차의 종류 > (1) 객차용 대차 쏘시미 대차 #1 쏘시미 대차 (Soccimi=RADT) 사진보기 • 1차 현수장치 : 원추형 고무 스프링 사용 • 2차 현수장치 : 공기 스프링 사용 • 볼스터를 사용하고 사이드베어러 설치 • 볼스터와 사이드프레임간 레벨링밸브 설치 • 대차프레임은 2개의 용접구조형 사이드 프레임과 원통형 횡량과단량으로 구성 #2 #3 #4 #5 #6 성우 : #1 쏘시미 대차의#2 1차 현수장치에는 원추형 고무 스프링을, #3 2차 현수장치에는 공기 스프링을 사용합니다. 쏘시미 대차는#4 볼스터를 사용하고 사이드베어러를 설치하며, #5 볼스터와 사이드프레임 사이에는 레벨링밸브를 설치합니다. #6 쏘시미 대차의대차프레임은 2개의 용접구조형 사이드 프레임과 원통형 횡량과단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진보기 클릭시 다음슬라이드의 사진으로 전환되게 해주세요.
03_11 • 학습하기 2. 대차의 종류 > (1) 객차용 대차 아세아 대차 #1 아세아 대차 (Asea=CHDT) 2차 현수장치 차축센서 1차 현수장치 접지 저어널 박스 조립 • 1차 현수장치 : 세브론고무 스프링 사용 • 2차 현수장치 : 원통 코일스프링 사용 #2 #3 성우 : #1 아세아 대차의#2 1차 현수장치에는 세브론고무 스프링을, #3 2차 현수장치에는 원통 코일스프링을 사용합니다.
03_11 • 학습하기 2. 대차의 종류 > (1) 객차용 대차 아세아 대차 #4 아세아 대차 (Asea=CHDT) 사진보기 • 팬듈럼링크: 하중 전달 및 연결을 위하여 대차 프레임과 볼스터 사이에 설치(4개) • 견인로드 : 견인 및 제동을 위하여 요크와볼스터 사이에 설치 • 센터피봇: 견인력 전달 및 대차회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설치 • 대차 구조 • - 박스단면의 용접형후레임으로 제작, 볼스터 양끝에 요우크가 차체를 지지 • - 볼스터는팬듈럼링크에 의하여 대차후레임과 연결 • (볼스터 중앙에는 센터피봇으로 연결) #4 #5 센터피봇 장치 팬들럼링크 #6 #7 볼스터 조립 #8 아세아 대차의 정면도도 필요할까요? 필요하시다면 화면을 고민해 넣어보겠습니다. NO #9 센터피봇 조립도 성우 : #4 아세아 대차는 하중 전달 및 연결을 위하여 팬듈럼링크를 대차 프레임과 볼스터 사이에 설치하며, #5 견인 및 제동을 위하여 견인로드를 요크와볼스터 사이에 설치하고 있습니다. #6 그리고, 견인력 전달 및 대차회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센터피봇을 설치하고 있습니다. #7 대차 구조를 보면, #8 박스단면을 용접형 프레임으로 제작하고, 볼스터 양끝에 요크가 차체를 지지하고 있습니다. #9 그리고 볼스터는팬듈럼링크에 의하여 대차프레임과 열결되었고, 볼스터 중앙에는 센터피봇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사진보기 클릭시 다음슬라이드의 사진으로 전환되게 해주세요.
03_12 • 학습하기 2. 대차의 종류 > (1) 객차용 대차 KT23형 대차 #1 KT23형 대차 (KNR truck 2300mm) 대차 표기 에어백 수직 오일댐퍼 저어널 박스 저어널 박스 대차 프레임 접지 케이블 • 1차 현수장치 : 세브론고무 스프링, 1차수직오일댐퍼 사용 • 2차 현수장치 : 공기스프링, 수직오일댐퍼 사용 #2 KT23형 대차의 정면도도 필요할까요? 필요하시다면 화면을 고민해 넣어보겠습니다. NO #3 성우 : #1 KT23형 대차의#2 1차 현수장치에는 세브론고무 스프링과 1차수직오일댐퍼를, #3 2차 현수장치에는 공기스프링, 수직오일댐퍼을 사용합니다.
03_12 • 학습하기 2. 대차의 종류 > (1) 객차용 대차 KT23형 대차 #4 KT23형 (KNR truck 2300mm) 사진보기 센터피봇 조립도 #4 • 대차 구조 • - 프레임은 H형의 용접구조용 강판으로 된 볼스터레스 대차 • - 센터피봇은 수직하중이 작용치 않고 피봇역할만 함 아세아 대차의 정면도도 필요할까요? 필요하시다면 화면을 고민해 넣어보겠습니다. NO #5 #6 성우 : #4 대차 구조를 보면, #8 프레임은 H형의 용접구조용 강판으로 된 볼스터레스 대차입니다. #9 그리고 센터피봇은 수직하중이 작용치 않고 피봇역할만 합니다. 사진보기 클릭시 다음슬라이드의 사진으로 전환되게 해주세요.
03_15 • 학습하기 2. 대차의 종류 > (2) 화차용 대차 #1 BARBER S-2 대차(주강대차) #2 BARBER S-2 대차 사진보기 BARBER S-2 대차(바버에스 투 대차) 로 읽으면 되나요? YES • 주강일체 구조로 3piece(1개 볼스터와2개 사이드프레임)으로 구성 • 고속주행시 좌우진동 급상승으로 주행안정성이 떨어짐 • 최고속도 100km/h • 용접구조대차에 비해 강도 및 유지보수성 우수 #3 #4 #5 #6 성우 :#1 #2 BARBER S-2 대차(바버에스 투 대차)는 #3 주강일체 구조로 1개의 볼스터와2개의 사이드프레임으로 구성되었습니다. #4 고속주행시 좌우진동이 급상승하여 주행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5 최고속도 100km/h입니다. 그리고, #6 용접구조대차에 비해 강도 및 유지보수성이 우수합니다. 사진보기 클릭시 다음슬라이드의 사진으로 전환되게 해주세요.
03_21 • 학습하기 3. 진동 감쇄 장치 > (2) 공기스프링, 고무스프링, 토션바, 오일댐퍼 공기스프링(air spring) 작동 원리 • 차체 과 하중 • 공기스프링 압축 • 공기스프링 지지부와 차체 사이의 거리 단축 • 높이 조정밸브 작동 KT23대차의 공기 작용도 규격 - 공기스프링 형식 : 볼스터레스(bolsterless)용 다이어프램형 - 사용압력 : 최대 6kgf/㎠, 최소2kgf/㎠ - 하중지지 능력 : 사용압력 6kgf/㎠ 일 때 122kN±5% 2kgf/㎠ 일 때 39kN±5% - 최대 횡 변위 : ±120mm #1 #2 #3 #4 #5 성우 : #1 공기스프링은 #2 볼스터레스용다이어프램형으로, #3 사용압력은 최대 6kgf/㎠(육 키로 그람 포스 퍼 제곱센티미터), 최소2kgf/㎠(이 키로 그람 포스 퍼 제곱센티미터)입니다. 공기스프링의 #4 하중지지 능력은사용압력 6kgf/㎠(육 키로 그람 포스 퍼 제곱센티미터) 일 때 122kN±5%(백이십이 키로뉴턴 플러스마이너스 오퍼센트), 2kgf/㎠(이 키로 그람 포스 퍼 제곱센티미터) 일 때 39kN±5%(삼십구 키로 뉴턴 플러스마이너스 오퍼센트) 입니다. #5 최대 횡 변위는 ±120mm(플러스마이너스 백이십 미리미터)입니다. 이전 슬라이드에서 하단의 내용만 교체됩니다 .
03_23 • 학습하기 3. 진동 감쇄 장치 > (2) 공기스프링, 고무스프링, 토션바, 오일댐퍼 ◆ 공기스프링에 공기주입의 이상이 있을시 #1 공기스프링 구조 ⇀높이 조정밸브의 이상 유무를 확인 ⇀이상이 없을 시 공기스프링을 분해하여 페이스 플레이트의 공기 주입구에 이물질이 삽입되어 있는지를 우선 확인 ⇀마모판의 마모 상태 점검 #2 #3 #4 성우 :#1 공기스프링에 공기주입의 이상이 있을 때는,#2 높이 조정밸브의 이상 유무를 확인 후 #3 이상이 없을 시 공기스프링을 분해하여 페이스 플레이트의 공기 주입구에 이물질이 삽입되어 있는지를 우선 확인하고, #4 마모판의 마모 상태를 점검한다. 이전 슬라이드에서 하단의 내용만 교체됩니다 . 내레이션이 밑줄 쳐진 부분을 위의 도면에서 화살표를 깜박여 알려줍니다.
03_24 • 학습하기 3. 진동 감쇄 장치 > (2) 공기스프링, 고무스프링, 토션바, 오일댐퍼 #1 자동높이 조정밸브(leveling valve) #2 #3 작동 원리 #4 승객 하중의 변화 및 차량 운행 #5 선로 조건에 따른 하중 편차 또는 원심력이 발생 차량에 사용되는 공기스프링 벨로우즈에 공기를 공급 및 배기시킴 #6 #7 • 차체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 자동높이 조정밸브 성우 :#1 #2 자동높이 조정밸브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3 자동높이 조정밸브는 #4 승객 하중의 변화 및 차량 운행 시,#5 선로 조건에 따른 하중 편차 또는 원심력이 발생할 때,#6 차량에 사용되는 공기스프링 벨로우즈에 공기를 공급 및 배기시킴으로써,#7 차체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