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4

TCP / IP( 계속 )

Part 02 -2. TCP / IP( 계속 ). 3. IP 주소 4. IP 라우팅 5. 응용 프로토콜. 3. IP 주소. 3-1. IP 주소 3-2. 서브넷 ( Subnet). 2. IP 주소.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통신망과 그 통신망에 연결된 컴퓨터에 부여되는 고유의 식별 주소를 의미. IP 주소의 예. ▶. IP 주소 ( 계속 ). IP 주소는 4 개의 octet 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dot 로 구분 각각을 10 진수로 표현해 사용.

jenn
Download Presentation

TCP / IP( 계속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Part 02 -2 TCP / IP(계속) • 3. IP 주소 • 4. IP 라우팅 • 5. 응용 프로토콜

  2. 3. IP 주소 3-1. IP 주소 3-2. 서브넷( Subnet) 2

  3. IP 주소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통신망과 그 통신망에 연결된 컴퓨터에 부여되는 고유의 식별 주소를 의미. IP 주소의 예 ▶

  4. IP 주소(계속) • IP주소는 4개의 octet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dot로 구분 각각을 10진수로 표현해 사용. 2진수 10100101을 10진수 165로 변화하는 과정 10진수 30을 2진수 00011110으로 변환하는 과정 ▶ ▶

  5. IP 주소(계속) IP Class A Class • 0-127. xxx . xxx . xxx  전체 약 21억개 •  한 ip당 호스트 할당 가능 : 16777214       • 국가나 대형망 사용

  6. IP 주소(계속) B Class • 128-191 . xxx . xxx . xxx •  1 ip당 호스트 할당 가능 : 65534       • 학교등 중대규모 통신망 사용

  7. IP 주소(계속) C Class • 192-223 . xxx . xxx . xxx •  1 IP당 호스트 할당 가능 : 254       • 소규모회사나 ISP업체의 통신망 사용 • D,E Class는 각각 멀티캐스팅,특수 연구의 용도로 사용된다.일반 호스트에게는 할당되지 • 않는 주소이다.

  8. IP 주소(계속) 사설 IP • 공인 IP와는 달리 동일 네트워크 내부에서만 인식이 되고 타 네트워크에서는 • 접속할 수 없는 IP를 뜻함. • IP 주소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 내부에서 외부로는 접근이 가능하지만 외부에서는 • 내부로 접근이 불가능. • 외부에서의 웜바이러스나 해킹등에 안전. • 공유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사용할 경우 공유기에 • 따라 가끔 오작동을 하는 경우가 있음. • 외부에서 직접 접근이 불가능하므로 게임이나 기타 p2p • 프로그램의 일부 기능을 이용하지 못할 경우도 있다. 장 점 단 점 사설 IP 주소 대역 A Class B Class C Class • 10.0.0.0/8 • 10.0.0.1~10.255.255.254 • subnet mask : 255.0.0.0 • 172.16.0.0/12 • 172.16.0.1~172.31.255.254 • subnet mask : 255.240.0.0 • 192.168.0.0/16 • 192.168.0.1~192.168.255.254 • subnet mask : 255.255.0.0

  9. Subnet Mask • TCP/IP 프로토콜에 의해 호스트가 로컬 서브넷에 있는지 아니면 • 원격 네트워크에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사용.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의 예 ▶ • Subnet Mask는 32bit길이를 갖고 bit가 1인 부분을 Network bit, • bit가 0인 부분을 Host bit로 구분됨.

  10. 4. IP 라우팅 4-1. 라우팅 4-2. 라우팅 프로토콜 13

  11. 라우팅 •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 라우팅(Routing)에 관한 기본 설명 ▶

  12. 라우팅(계속) 라우팅 종류 Dynamic Routing 동적으로 경로 설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방법. IGP EGP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로 동일한 AS안에서 서로 경로 정보를 주고 받는 라우팅 프로토콜. Ex>RIP, IGRP. • AS 사이에서 경로 정보를 주고 받는 • 라우팅 프로토콜. • Ex>BGP. Dynamic Routing 종 류

  13. 라우팅(계속) Static Routing • 관리자가 수동으로 네트워크의 모든 경로를 설정해 주는 방법. • 정적 라우팅에서는 모든 경로를 관리자가 수동으로 설정해 주기 때문에 관리자는 • 네트워크에 대한 모든 정보를알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관리자의 부담을 덜어주는 • 방법으로 Default Gateway가 있다. Default Gateway에 대한 예 ▶

  14. 라우팅 프로토콜 •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해서 인접한 라우터 사이에서 경로 정보를 주고 • 받는데 경로 정보를 작성하고 제어하는 프로토콜. 메트릭(metric) • 라우터의 홉(Hop)수. • 지연(Delay). • 부하(Load). • 전송에 필요한 비용(cost). • QoS(Quality of Service). • 거리(Distance).

  15. 라우팅 프로토콜(계속)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버클리 대학에서 개발했다.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로서 UDP 520포트 사용. 특징 • 경로 정보를 기본 30초 간격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든 인터페이스를 통해 • Broadcasting한다. • 경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UDP 데이터 그램 방식을 사용함. • 한번에 전송 가능한 경로 정보의 크기는 512Kbyte이다. • 경로 설정 알고리즘은 Distance Vector Algorithm을 사용한다. 문제점

  16. 5. 응용 프로토콜 5-1. TELNET 5-2. FTP(File Transfer Protocol) 5-3.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5-4.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5-5. POP(Post Office Protocol) 5-6.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5-7. DNS(Domain Name Service) 5-8.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20

  17. TELNET • 원격 접속 서비스로서 특정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연결하여 • 그 컴퓨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을수 있게 하는 것. TELNET 접속방법 윈도우에서 텔넷 사용하기 브라우저에서 사용하는 방법 • 익스플로러나 넷스케이프에서 telnet://server.soo.to를 입력한다.

  18. TELNET(계속) 텔넷 전용 프로그램 • iputty(http://www.kldp.net) • SecureCRT (http://www.vandyke.com) 텔넷기본 명령어 • 텔넷 모드 명령에서 help입력하고 간략한 설명을 볼수 있다. • open : 다른 사이트로 연결하는 명령어. • close : 현재 연결을 끊는 명령어. • quit : 텔넷모드에서 빠져 나가는 명령어.

  19. TELNET(계속) SSH • Telnet은 기본적으로 암호화 하지 않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다. • 암호화 되어 전송되는 원격 접속 관리 프로그램 SSH를 사용한다. iPutty를 이용하여 SSH로 리눅스 서버에 접속한 화면 ▶

  20. FTP(File Transfer Protocol) • 파일전송에 사용되는 프로토콜로서 TCP 20번과 21번을 사용함. • 20번은 FTP를 사용해 파일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포트번호. • 21번은 FTP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신호 접속용 포트번호. Anonymous FTP •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가진 사람만이 이용할 수 있는 데 반해 anonymous FTP는 파일을 • 보거나 다운로드 하기 위해 해당 서버에 부여된 사용자 아이디나 패스워드가 없더라도 작업이 • 가능함.

  21. FTP(File Transfer Protocol)계속 FTP 프로그램의 사용 예 Windows 실행창에서 ftp 실행 ▶ Windows 기본 FTP로 리눅스 서버에 접속한 화면 FTP 전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서버에 접속한 경우 ▶ ▶

  22. FTP(File Transfer Protocol)계속 TFTP(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 이더넷을 이용하여 파일을 다운 받는 프로토콜로 UDP방식을 사용. 동작 방식 필요성 • FTP 프로토콜은 TCP프로토콜을 • 사용하지만 TFTP는 UDP 프로토콜을 • 사용하여 전송함. • 리눅스 다운로드 방식 : 시리얼, 랜 • 시리얼 : 전송속도가 매우 늦다. • 랜 : TFTP를 사용하면 매우 빠른 속도로 다운, • 개발속도가 향상 될 수 있다. 장점 단점 • 거의 모든 유닉스의 구현에 있어서 TFTP • 서버를 포함하고, 스스로 설치할 일이 • 없다. • 하나의 블록 전송이라도 실패하면 전송을 • 중지하므로 패킷 손실이 많은 환경에서는 • 사용이 곤란하다.

  23.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의 개요 • 하이퍼 텍스트 형식의 문서를 인터넷에서 주고받을때 사용하는 프로토콜로서 TCP 80번을 사용. HTTP 관련 표준 • RFC 1945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TTP/1.0 • RFC 2068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TTP/1.1 • FRC 2069 : An Extension to HTTP : Digest Access Authentication HTTP 트랜잭션 1) 연결 당 하나의 트랜잭션을 수행한다. 2) 각 트랜재션들은 상호 무관하다.

  24. HTTP(계속) HTTP 작동 과정 1) 브라우저는 서버 호스트에 접속한다. 2) 브라우저는 사용자의 요청 혹은 입력에 따라 request를 생성한다. 3) 브라우저는 request를 보낸다. 4) 서버는 브라우저의 request를 분석하여 응답을 보낸다. 5) 서버는 response를 보낸 직후 강제를 접속을 끊는다. HTTP 트랜잭션 과정 ▶

  25.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MTP의 개요 • 단순 메일 전송 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서 • TCP 25번 포트를 사용하며 메일을 전송 • 하는데 SMTP 프로토콜은 메일을 호스트와 • 호스트끼리만 전송해주는 프로토콜. SMTP 명령어 1) HELLO : 메일 개시를 알려준다. 2) MAIL : 메일을 보내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전송. 3) RCPT : 메일을 받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전송. 4) DATA : 실제 메일 원문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메시지. 5) QUIT : 메일 전송이 완료됐다는 명령어. 6) RSET : 지금 까지 보낸 정보를 리셋할 경우 사용.

  26. SMTP(계속) SMTP 전송 과정과 응답 코드 • SMTP 전송과정 • - CONNECTION SOCK -> 소켓 접속. • - HELLO -> 1단계 : 클라이언트 측 도메인 정보 전송 • - MAIL -> 2단계 : 리턴메일 주소 전송. • - RCPT -> 3단계 : 받는 사람의 메일 주소 전송. • - DATA-> 4단계 : 메일 원문을 전송. • - QUIT -> 전송 완료. • 2. 응답 메시지 코드 • - 220 : 서비스가 준비됨. • - 221 : 메일전송 완료 의미. • - 250 : OK. • - 354 : 원문을 전송해도 된다는 코드. • - 421 : 서비스가 수행되지 않음. • - 450 : 받는 쪽 메일 계정 에러. • - 451 : 요청된 행위가 강제 종료됨. • - 452 : 메일 서버의 하드의 용량이 부족. • - 500 : 메시지 형식이 잘못된 경우. • - 503 : 명령들의 순서가 틀림. • - 550 : 메일함이 이용 될 수 없음. • - 551 : 해당 메일 계정이 존재하지 않음. • - 552 : 받는 쪽 메일 계정의 용량이 부족. • - 553 : 우편한 이름 사용 불가. • - 554 : 거래 실패.

  27. POP(Post Office Protocol) POP의 개요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메일을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 현재 버전(Version) 3까지 나와 있다. • POP3으로 메일 소프트웨어에 자신의 우편함이 등록되어 메일 서버에 수신 우편을 • 가지고 올 수 있다.

  28. POP(계속) POP의 작동방식 • 클라이언트 접속 완료 시 POP3 서버는 ‘greeting’이라는 회신을 보냄. • 서버로부터 회신을 받은 클라이언트는 메일 서버에 수신되어 있는가를 문의.(APOP명령) • 클라이언트의 POP3 서버는 모든 우편의 크기를 순서대로 보내준다.(LIST명령) • 지정된 우편 번호의 우편을 클라이언트에게 보낸다.(PERT명령) • 수신 우편의 취득이 종료.(QUIT명령) POP3 ▶

  29.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 단순 망 프로토콜로서 SNMP 프로토콜은 UDP161번 포트를 사용함.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시스템

  30. SNMP(계속) SNMP • TCP/IP 프로토콜에 의해서만 동작을 하는 망 관리 프로토콜로 UDP 데이터 그램 방식을 사용하여 전송. SNMP의 출현 배경 ● SNMP를 표준으로 채택 Ping을 통해 ICMP를 이용. 88년 초 IAB에서 표준화 작업 시작

  31. SNMP(계속) SNMP의 작동 • GET : 관리자가 대리인에 있는 객체의 값을 가져온다. • SET : 관리자가 대리인에 있는 객체의 값을 변경한다. • TRAP : 대리인의 특정 상황 발생을 관리자에게 알린다. 정 방향 조회의 예 ▶

  32. DNS(Domain Name Service) • 숫자로 된 주소를 문자로 된 주소에 대응 시켜주는 서비스. DNS구조 DNS 구조 ▶

  33. DNS(계속) (1) 1차(Top Level) 도메인 (2) 2차(Second Level) 도메인 (3) 정 방향 조회와 역 방향 조회 정 방향 조회의 예 ▶ 정방향 조회의 절차 1. 요청을 받은 DNS 서버는 먼저 자신의 캐시에 내용이 있는지 확인한다. 2. 자신의 캐시에서 내용을 찾지 못하면 ROOT Domain에게 해석 요청을 한다. 3. ROOT Domain은 요청을 받고 .com의 주소를 알려준다. 4. .com 의 주소를 받은 도메인 서버는 다시 .com도메인에게 해석 요청을 한다. 5. .com도메인 서버는 다시 .co.kr 도메인의 주소를 알려 준다. 6. .CO.KR 도메인의 주소를 받은 도메인 서버는 다시 .CO.KR 도메인에게 해석 요청을 한다. 7. .CO.KR 도메인 서버는 asin21.com 주소를 알려 준다. 8. asin21.com 도메인 서버는 www.asin21.com주소를 알려 준다. 9. .asin21.com 도메인 서버는 www.asin21.com의 주소를 알려 준다. 10. www.asin21.com 의 주소를 해석한 도메인 서버는 해당 주소 정보를 HOST에게 알려준다.

  34. DHCP(Dynamic HostConfiguration Protocol) • 네트워크 관리자들이 조직 내의 네트워크상에서 IP주소를 중앙에서 관리하고 • 할당해 줄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 DHCP 주소할당 방법 수동할당, 자동할당, 동적할당 DHCP 사용 장점 • TCP/IP 정보를 중앙에서 할당하여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의 수고를 덜어준다. • 네트워크에서 사용하지 않는 IP를 회수해 다른 사용자에게 할당해 줄 수 있기 때문에 • 네트워크로 접속할 수 있는 기회가 동등하게 주어짐. • IP충돌을 예방할수 있다. • 호스트는 별도의 변경 없이 네트워크를 사용할수 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