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4

복음주의 구약신학의 흐름

복음주의 구약신학의 흐름. 강의 : 장세훈 교수. 1970-80 년대의 복음주의 구약신학. 복음주의자들의 영향력 확대. Christian Century 편집장  1976 년은 복음주의의 해. 대표적인 구약신학자들의 활약. 월터 카이저 (Walter C. Kaiser Jr.). “Toward an Old Testament Theology”(1978). 종교사학파 비판. 성경의 영감과 권위를 헤치지 않는 한 비평적 도구 수용. 고대근동 문헌과 역사 연구의 중요성 인식.

jeneva
Download Presentation

복음주의 구약신학의 흐름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복음주의 구약신학의 흐름 강의: 장세훈 교수

  2. 1970-80년대의 복음주의 구약신학 복음주의자들의 영향력 확대 Christian Century 편집장 1976년은 복음주의의 해 대표적인 구약신학자들의 활약

  3. 월터카이저(Walter C. Kaiser Jr.)

  4. “Toward an Old Testament Theology”(1978) 종교사학파 비판 성경의 영감과 권위를 헤치지 않는 한 비평적 도구 수용 고대근동 문헌과 역사 연구의 중요성 인식 구약신학의 출발점으로서의 최종정경형태 강조

  5. 이처럼 활발한 신학 활동을 가능케 하는 기본 시각이 존재한다면, 그것은 정경 자체의 “출발점”으로 본문 자체에 의해 입증되어야만 한다. 그것은 또한 정경의 통일된 증언 안에서 정경자신의 보편적인 관심사요 중심을 이루는 희망이요 신학적으로 중요하고 또 규범성을 가진 것들에 대한 끊임없는 판단을 이루는 것임이 본문 자체에 의해 재확증되어야만한다.

  6. 구속사 신학 강조 헹스텐베르크의“구약의 기독론” 서문 헹스텐베르크는 그의 시대와 오늘날의 많은 다른 학자들보다도 진지한 기독교적 체험과 철저한 성경적 학문을 놀라우리만치 잘 조화시킴으로써 그 전형이 되었다. . . . 그는 간과되었던 정통신학의 진리들을 현대의 세대를 향해 담대히 주장하였다. . . 그의 영적인 후손들이 우리의 대주제 하나님과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영광을 위해 그의 뒤를 따르기를 바라나이다

  7. 구약을 관통하는 중심 주제 “약속” “약속”의 특징 점진성을 지닌다 약속은 변하지 않지만 표현방식은 변한다 약속은 여러 번 성취되지만 궁극적 성취를 지향한다 예를 들면 사 7:14의 성취와 궁극적 성취

  8. 엘머말텐스(Elmer Martens)

  9. “God’s Design: A Focus on Old Testament Theology” 하나님의 계획을 드러내 주는 네 가지 주제들 “구원”(deliverance) “공동체”(community) “하나님의 지식”(knowledge of God) “땅의 축복”(the abundant life)

  10. 구약신학적 작업의 첫 출발점으로서 출 5:22-6:8 이 책은 하나님의 계획이야말로 구약성경의 내용을 가장 잘 요약해 주고 있다는 기본 전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본 전제는 구약성경에서 한 개의 단일한 중심 메시지를 찾으려는 노력이 타당한 것이라고 본다. 다음에 이어질 장들에서 나는 그러한 생각이 옳은 것임을 뒷받침하는 분명한 이유들을 밝히고자 한다. 하나님의 계획이 구약성경 자료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기본 원리임을 강조하는 입장은 몇 개의 성경 본문들을 주석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그 첫 본문은 출 5:22-6:8이다

  11. 정경적 해석의 영향에서 탈피 신학적 주제적 연구의 성취 후기 보수주의 구약신학의 전형 창세기의 신학이 배제된 것은 약점으로 작용

  12. 1990-2001년대의 복음주의 구약신학 폴 하우스(Paul R. House)

  13. Vice-Principal, Beeson Divinity School, Samford University Old Testament Theology (IVP, 1998) 폴 하우스의 구약신학의 특징 (1) 정경적 구약신학의 가능성 모색 (2) 복음주의 구약신학에 대한 평가 제시 (3)구약신학의 출발점으로서의 정경신학

  14. “본서는 정경을 구약신학의 적절한 출발점으로 주장한 바 있다. 왜냐하면 신앙 공동체가 모세의 시대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성경의 본문 그 자체를 고백하며 순종해 왔기 때문이다. 성경의 본문 그 스스로를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으로 선언하며 기자들의 신학적 입장들을 밝혀준다.”

  15. (4) 구약의 권위에 대한 강조 1) 기록된 계시로서의 구약 확신 2) 차일즈와자이츠와 같은 정경신학자와의 차별성 “첫째, 비록 내가 정경을 신학의 중심으로 강조한 자이츠의 견해를 고맙게 여긴다 할지라도, 나는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과 동시함을 꺼리는 그의 태도에 공감하지 못한다. 둘째, 이같은 꺼리는 태도로 말미암아, 나는 자이츠가 본문의 권위 및 통일성에 대한 그의 진술을 손상시키고 있다고 믿는다. 성경의 권위는 성경이 계시된 하나님의 기록된 말씀이라는 점에 달려있다.”

  16. (5) 단일 주제적 접근 선택 “단일 주제를 채택하는 방법에 대해 최근 몇 몇 학자들은 그것을 꺼리고 있지만, 구약신학은 핵심적인 주제들을 필요로 한다. 비록 구약의 유일한 중심 주제(the central theme)를 논하는 것은 필요치 않으나, 어떤 하나의 핵심 주제를 논하는 것은 중요하다. 하나의 주요 주제가 성경과 부합하는 한, 그것은 가치 있는 것이며 신학자들의 해석을 한 데 묶어주는 데 도움을 준다.”

  17. (6) 유일신 사상에 입각한 구약신학 정립 (7) 상호 본문성(Intertextuality)에 의한 정경의 통일성 강조 (8) 구약 정경의 “타나크” 배열 존중

  18. 폴 하우스의 정경신학의 의문점 수-왕의 역사를 한 사람의 저작으로 간주 “본서는 익명의 단일 저자가 적절한 자료들을 주의 깊게 편집하여 그 자료들을 여호수아-열왕기로 확장되는 일련의 기사로 구성했다고 추측한다. 이 익명의 저자는 약 주전 550년에 이 작업을 끝마쳤다. 이 익명의 저자가 쓴 기사는 땅-오경에서 약속의 땅으로 소개된 곳-을 상실한 이스라엘의 비극적 운명에 대한 포괄적인 기사이다.” 전기 선지서의 관점에서 해석 “타나크”의 배열에 대한 지나친 강조

  19. 밴게메렌(Willem A. VanGemeren)

  20. The Progress of Redemption(Zondervan, 1988) 분석과 종합의 해석 원리 (1) 분석역사 문법적 해석 (2) 종합문학적, 정경적 및 구속 역사적 측면 “성경 해석자는 성경의 부분들이 어떻게 서로 어울리며 그 책의 나머지 부분과는 어떻게 연관되는가를 검토한 후에야 연구자는 그 본문의 메시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21. 정경의 기능의 중요성 정경적해석이란? “구속 과정이 전개되는 모든 시대(포로 전기, 포로기, 포로 후기, 주전, 주후)에서 하나님의 말씀이 그의 백성들에게 어떻게 이해되었는지를 살피는 작업” 구약본문의 기능 세대마다 정경으로서의 독특한 기능을 수행함

  22. 호세아의 정경적 기능 (1) 호세아가 하나님의 말씀 선포함 (2) 성문 형식을 취함 (3) 기원전 722년경 유다에서 기능수행 (4) 기원전 600년경 유다에서 기능수행 (5) 포로기 이스라엘과 유다의 남은 자들 사이에서 기능수행 (6) 포로후기에서 기능수행

  23. (7) 신약성경에서 기능수행 (8) 초대 교회에서 기능수행 (9) 교회사를 통해 기능수행 (10) 현대에 기능수행

  24. 정경의 기능의 순환적 과정 전통과 새로운 해석의 갈등 갈등에서 적응을 거쳐 전통적 해석으로의 안착 성령의 사역의 중요성

  25. “성령은 각 세대가 그의 계시에 새롭게 반응하도록 요청한다. 그는 하나님의 말씀을 구속의 진전 가운데 각각의 새 상황에 적용하는 바로 힘이 된다. 그는 인간과 해석과 전통을 변화시킨다. 성령이 말씀 안에서 또 말씀을 통하여 역사하는 한, 하나님의 백성 공동체는 안정성과 적응성 사이의 긴장 가운데 있다.”

  26. 밴게메렌의 정경적 해석의 의문점 샌더스(J. A. Sanders)의 정경비평 수용 정경적 기능의 차별화를 강조하지 못함 신약저자들의 구약해석과 현대의 구약해석의 차이

  27. 세일헤머(John Sailhamer)

  28. Introduction to Old Testament Theology: A Canonical Approach (Zondervan, 1995) 정경적구약신학의 해석학적 기본 이슈들 (1) “본문”인가 “사건”인가? “역사 속에서의 하나님의 행동에는 틀림없이 어떤 계시가 있었다. 그렇지만 지금 우리가 하나님의 계시에 접근하는 유일한 길은 성경 본문에서 영감된 저자들의 해석을 통하는 것이다. 이것은 사건들이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 아니라, 성경적 사건들의 역사성이 이슈가 아니기 때문이다.”

  29. (2) 비평인가 정경인가? 성경해석의 출발점역사적 재구성이 아닌최종정경 “영감되었으며 따라서 교훈하기에 유익한 것은 현재 우리가 최종적인 정경 양식 속에 가지고 있는 기록된 본문이다. 계시의 자리는 이 본문의 메시지이다. 우리가 본문에 대해 재구성하려 하는 어떤 전 역사(비평)이나 후 역사(전승)도 계시의 근원으로 여겨져서는 안 되며, 따라서 본문 중심의 정경적 구약 신학의 초점이 되어서도 안 된다.”

  30. (3) 기술적(descriptive)인가 고백적(confessional)인가? 기술적 방식의 가치 인정하지만 “객관성”의 상대성 인식 구약신학은 하나님을 이해하는데 조력자의 역할을 수행 성경해석자는 개인뿐 아니라 신앙 공동체도 염두에 두어야 함 구약신학은 고백적이어야 함

  31. (4) 통시적인가 공시적인가? 히브리 성경 형성의 역사적 역동성과 신학 강조 통시적 접근의 필요 상호 본문성, 정경적 편집, 합 본문성에 대한 인식

  32. 세일헤머의 최종 정경 편집 이론 신 33:1-43:12의 정경적 기능 오경의 범위창 1:1~신 32:52 신 33:1-43:12은 오경과 전기 예언서 및 이후 본문들과 연결시켜 주는 정경적 기능 수행

  33. 세일헤머의 정경신학의 아쉬움 오경의 내용은 원 저자와 정경 편집자의 의도를 반영함 오경저자의 의도보다는 정경 편집자의 의도를 강조함 지나친 주관적 가설에 빠질 수 있음

  34. 복음주의 정경 구약신학의 공통점 (1) 구약의 영감과 권위 강조 (2) 구약의 통일성 확신 (3) 정경적 접근 수용 (4) 구약 “타나크”의 배열 강조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