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 likes | 657 Views
3. B 림프구의 분화단계에 따른 세포막 단백질 ∎ CD(cluster of differentiation) ※ CD19 : 성숙 B 세포의 표면에 지속적으로 존재하는항원 ( panmarker ). 4. 성숙 B cell 의 활성화 ∎ 활성화된 B cell - plasma cell( IgM ) 로 분화 - isotype switching 이 일어남 ▪ 항원결합부의 구조에는 변화 없이 isotype 을 결정하는 heavy chain 의 불변부에 변화
E N D
3. B 림프구의 분화단계에 따른 세포막 단백질 ∎ CD(cluster of differentiation) ※ CD19 : 성숙 B세포의 표면에 지속적으로 존재하는항원(panmarker) 4. 성숙 B cell의 활성화 ∎ 활성화된 B cell - plasma cell(IgM)로 분화 - isotype switching이 일어남 ▪ 항원결합부의 구조에는 변화 없이 isotype을 결정하는 heavy chain의 불변부에 변화 (IgM → IgG, IgA, IgE) ▪ 생물학적 활성(biological activity)이 다양해진다. - affinity maturation(항원인식부가 정교해짐) - 새로운 isotype의 Ab(IgG, IgA, IgE)를 분비하는 plasma cell로 분화
X. T림프구 ---------------------------------------------- • T림프구의 분류 및 기능 ※ T-cell은 면양혈구와 반응하여 Rosette를 형성
T-cell receptor diversity The T-cell receptor resembles a membrane-associated Fab fragment of immunoglobulin T-cell receptor ; two different polypeptide chains : T-cell receptor a chain (TCRa) : T-cell receptor b chain (TCRb) Antigen-biding CDR loop
T-cell receptor diversity is generated by gene rearrangement Human T-cell a-chain locus: on chromosome 14 Human T-cell b-chain locus: on chromosome 7 a-chain genes L, V, J, C b-chain genes L, V, D, J, C T-cell receptor gene segments: by recombination signal sequences, RAG complex, DNA-modifying enzymes
TheRAG genes were key elements in the origin of adaptive immunity RAG gene on 11 chromosome? Transposon - transposase
SCID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disease) : by an absence of RAG proteins Candida albicans Omenn syndrome : missense mutation of RAG gene RAG protein with partial enzymatic activity
2. T세포 수용체(TCR) • ∎ 세포표면에 부착된 두 개의 polypeptide chain인 • α-chain과 β-chain으로 구성 • ∎ 항체와 마찬가지로 가변부와불변부로 이루어져 있다. • - α-chain의 가변부는 V(variable), J(joining)로 구성 • β-chain의 가변부는 V, J, D(diversity)로 구성 • ∎ TCR은 CD3과 함께 T-cell표면에 발현된다. • - CD3: 세포 내 신호전달자로 작용
Expression of the T-cell receptor on the cell surface requires association with additional proteins • T-cell receptor complex • TCR : a, b + charge • CD3 : e(2), d(1), g(1)) - charge • z (2) : intracellular signaling molecules
The two classes of MHC molecule present antigen to CD8 and CD4 T cells, respectively a:b T cells fall into of two classes (CD4 or CD8) CD4 T cells (helper T cell): extracellular infection Bacteria CD8 T cells (cytotoxic): virus : intracellular pathogens
3. TCR의 특이성 ∎ T-cell은 original Ag를 인지할 수 없다. - 세포내 처리과정을 거쳐 MHC에 담겨진 Ag을 인식 ∎ 이때, TCR은 MHC에 담겨진 항원만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MHC와 Ag을 함께 인지 ∎ 항원과 MHC 모두 TCR의 antigen-binding site에 상보적이어야 인지가능
4. CD4+ T세포 활성에 요구되는 신호 • ∎ 세포활성에 요구되는 신호 • - Ag fragment-MHC classⅡ complex와의 binding • - T-cell의 co-stimulatory molecule과 상응하는 ACP recetor와의 binding • 결합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T-cell표면의 adhesion molecule(CD4)과 상응하는 ACP receptor와 binding • ∎ T-cell이 MHC-Ag complex와 binding하여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활성촉진자의 작용이 필요 • ∎ 특이적인 신호와 활성보조신호가 모두 작용해야 T-cell이 활성화된다.
5. T-cell에 항원을 제공하는 세포 (APC) ∎ Dendritic cell ∎ Macrophage ∎ B-cell 6. 흉선 내 T세포분화 및 흉선선별
면역조절---------------------------------------------------------------면역조절--------------------------------------------------------------- 세포성 면역작용 내에서 협조 T세포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