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6

학술 논문은 어떻게 출판하나 ?

학술 논문은 어떻게 출판하나 ?. 서울대학교 이제희. 학술 논문은 왜 출판해야 하나 ?. 아무리 위대한 아이디어가 있어도 혼자만 알고있어서는 가치가 없다 연구에 자기 시간의 반을 쓰고 , 나머지 반은 그 결과를 남들에게 알리는데 쓰라 논문을 출판하고 , conference/symposium 에서 발표하고 , 언론에 알리고 , 대중 강연하고 , 누구든 만나면 자신이 하는 연구에 대해 설명한다. 논문을 어디에 발표할 것인가 ?. Journal

jdanielle
Download Presentation

학술 논문은 어떻게 출판하나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학술 논문은 어떻게 출판하나? 서울대학교 이제희

  2. 학술 논문은 왜 출판해야 하나? • 아무리 위대한 아이디어가 있어도 혼자만 알고있어서는 가치가 없다 • 연구에 자기 시간의 반을 쓰고, 나머지 반은 그 결과를 남들에게 알리는데 쓰라 • 논문을 출판하고, • conference/symposium에서 발표하고, • 언론에 알리고, • 대중 강연하고, • 누구든 만나면 자신이 하는 연구에 대해 설명한다

  3. 논문을 어디에 발표할 것인가? • Journal • 학회가 주도하는 학술지:ACM Transactions, IEEE Transactions • 출판사가 운영하는 학술지:Elsevier, Springer • Conference/Symposium • ACM SIG, IEEE sponsored conferences • Open Access Venues • PLOS One • arXiv

  4. 어떤 논문을 출판할지 누가 결정하나? • Peer review •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논문의 수준을 평가하도록 하는 것 • 많은 경우 논문을 submit하는 사람들이 review도 한다 • 일반적으로는 volunteerism을 바탕으로 유지된다 • 예외적인 관점 (PLOS One) • Peer review will concentrate on technical rather than subjective concerns. • Verifies whether experiments and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rigorously • Leaves it to the scientific community to ascertain importance (Open peer review)

  5. SIGGRAPH Paper Committee에 대한 인상 • 뿔 달린 도깨비들이 모여 논문에 대해 험담하는 곳?

  6. 논문 출판은 어떻게 결정되나? • Academic Journal • IEEE Transactions on Visualization and Computer Graphics (TVCG) • Peer Reviewed Conference/Symposium • Eurographics • ACM/Eurographics Symposium on Computer Animation • Journal+Conference mix • ACM Transactions on Graphics (ToG) • ACM SIGGRAPH / SIGGRAPH Asia

  7. 비밀 규정 • Committee 내에서 논의된 모든 내용은 비밀 • 구체적인 사례는 설명하지 못함 • 일반적인 policy를 중심으로 설명

  8. Journal Editorial Board • Editor-in-Chief • 전체 학술지 운영을 총괄 • 출판사와 관계 조율, 보통 1명 • Associate Editors-in-Chief • 규모가 큰 경우만, 현재 5명 • Associate Editor • 세부 분야별로 1명씩, 현재 44명 • 실질적으로 학술적인 결정을 내리는 역할 • Reviewer 중 한 명의 역할을 하기도 (ACM ToG)

  9. From Submission to Publication • 논문을 Associate editor에게 배정 (editor-in-chief) • 논문은 상시 submit 가능 • Desk rejection (분야가 맞지 않거나, 표절 의혹이 있거나) • Reviewer를 초청 (Associate editor) • 보통 3~5명 (TVCG는 3명) • Review report 작성 (reviewer) • 보통 2주~6주 (TVCG는 4주, 필요에 따라 연장) • Recommendation (Associate editor) • Accept, Minor revision, Major revision, Reject • Reject and resubmit as “New”

  10. From Submission to Publication • Revision • Revised manuscript와 corresponding letter 제출 • Minor: Associate editor가 revised manuscript를 확인하고 결정 • Major: Reviewer들에게 2nd round review 요청 • 최종 결정 • Associate editor의 recommendation에 따라 editor-in-chief이 결정 • Camera ready • Magazine의 경우는 editor가 글 전체를 rewrite하기도 한다. (IEEE Computer Graphics and Applications) • 모든 과정이 편지로 대화를 나누듯 진행

  11. Journal vs Conference • Paper submission • Journal은 아무때나, Conference는 정해진 시기에만 • Paper format • Computer science에서는 구분 없음 • 타 분야에서 conference에는 short paper, journal에는 full paper • Review process • Journal에서는 review에 대해 rebuttal할 수 있는 기회가 있음 • Conference에서는 일반적으로 rebuttal 기회가 없이 한번에 결정

  12. Conference Organizing Committee • Conference chairs • 전체 학술대회 운영을 총괄, 보통 1~2명 • 학술적이지 않은 부분을 담당, 학자가 아닌 경우도 있다 • Program chairs • 주로 논문과 academic program을 담당 • 그 외에 프로그램 별로 chair들이 여럿이다 • Local organization chairs, short paper chairs, tutorial chairs, workshop chairs, poster chairs, education chairs, so on

  13. International Program Committee (IPC) • IPC member들이 reviewer 역할 • 보통 한 논문을 3~5명의 IPC member들이 review • Program chair가 IPC member를 초청 • 일반적으로 physical meeting 없이 online discussion으로 결정

  14. Conference 논문의 출판 • Conference proceedings • 출판사와 계약을 통해 논문집으로 출판 • Non-archival • 경우에 따라 conference 논문 전체 혹은 일부를 journal에 special issue로 출판하기도 • SIGGRAPH 논문은 ACM ToG에 • Eurographics논문은 computer graphics forum에 • IEEE Visualization의 논문은 IEEE TVCG에 • SIGGRAPH/SIGGRAPH Asia는 rebuttal을 도입해서 conference이지만 revision이 가능하도록

  15. SIGGRAPH Paper Committee의 구성 • 대략 (# of submission / 8)명의 committee member로 구성 • 분야, 연령에 대한 고려 • 한 명이 약 16편의 논문을 담당 • 8편에 대해서는 primary reviewer 역할 • 8편에 대해서는 secondary reviewer 역할 • Tertiary reviewer는 committee 외부 인사 • Primary가 2명, Secondary가 1명 씩 tertiary reviewer 초청

  16. 논문의 평가 – Score가 무엇을 의미하는가? • 각 reviewer는 1점부터 5점 사이의 점수를 부여 • Score가 가지는 의미는 linear하지 않음 • 평균 점수가 가장 높은 논문이 가장 좋은 논문이 아님 • 평균 점수가 가장 낮은 논문이 가장 나쁜 논문도 아님 • 논문의 수준과 평균 점수의 상관 관계는 낮음 • 점수보다는 report 내의 설명과 평가가 더 중요

  17. Reviewer를 위한 Score Protocol • Accept 하려면 4점, reject 하려면 2점을 주라 • Reject 하기 위해 굳이 1점을 주어 연구 의욕을 꺾을 필요 없다 5 4 - accept 3 2 - reject 1

  18. Reviewer를 위한 Score Protocol • 5점을 주는 경우 • 눈에 띄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좋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다 5 - not good in general, but has good idea 4 - accept 3 2 - reject • 1-good in general, but has serious defects

  19. Reviewer를 위한 Score Protocol • 1점을 주는 경우 • 전체적으로 잘 쓰여진 논문이나 심각한 결함이 있다 5 - not good in general, but has good idea 4 - accept 3 2 - reject • 1-good in general, but has serious defects

  20. Reviewer를 위한 Score Protocol • Grey zone (3~3.5) • Committee 입장에서 도움 안 되는 의견 5 - not good in general, but has good idea 4 - accept • 3.5 3 2 - reject • 1-good in general, but has serious defects Grey zone

  21. Post-Rebuttal Session • 본격적인 논쟁의 시작 • Reviewer들의 합의 하에 accept/reject/table로 구분 • 이 단계에서 accept로 합의되는 경우는 극소수 • 의견이 엇갈리는 경우 치열한 논쟁 • Table된 논문은 committee meeting에서 재논의

  22. 논문 평가의 대원칙 • 개개의 논문의 채택 여부는 그 논문의 장단점에 기반해서 평가한다. • Accept할 논문의 개수를 미리 정하지 않는다. • 분야 별 논문에 비율을 조정하지 않는다. • 동시에 submit된 유사한 다른 논문과 비교하여 평가하지 않는다. • Cross-review를 가능한 피한다.

  23. Committee Meeting • Plenary session • Committee member 전체가 모여서 회의 • 편의 상 tertiary reviewer들의 score 평균으로 sort • Blind discussion • 토론 시에 저자가 누구인지 밝히지 않는다 • Conflict of interest가 있는 member는 밖에서 대기 • 쪽지로 대화 • 일상 대화에서는 (식사시간, 휴식시간 등등) 논문에 대해 토론하지 않는다. • 논문의 간단한 요약 • Extra reader 배정 • 첫날 밤 동안 extra 논문을 읽고 의견을 정리

  24. Committee Meeting • Breakout session • 각 논문 별로 primary/secondary/extra가 모여서 회의 • 가장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는 시간 • Accept/reject/tog referral로 분류 • 간단한 말 몇 마디로 reject로 몰아가기는 쉽다. • 뛰어난 연구자일 수록 긍정적으로 말할 줄 안다.

  25. 논문의 분류 • 좋은 논문 • 모두가 이견 없이 인정한 좋은 논문 • 20편 중 한편도 없는 경우도 있다 • 안 좋은 논문 • 모두가 좋지 않게 평가한 논문 • 꽤 많다 • Everyone on the fence • 모두가 grey zone으로 평가 • 열렬한 지지도 열렬한 비평도 없음 • 예) 3, 3, 3, 3.4, 3.4 • 별 다른 토론 없이 reject되는 경우가 많다

  26. 논문의 분류 • Large split • 의견이 엇갈리는 경우 • 예) 2, 2, 2.5, 3.7, 5 • 생각보다 많다. 20편 중 3~4편 • 이틀 간의 committee meeting이 결국 몇 편의 large split을 해결하는데 집중 • 평균 점수는 전혀 중요하지 않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