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 likes | 572 Views
국제이동통계 작성 과정. 내외국인 출입국. 여권. 자료입력 에디팅. 전송. 법무부 출입국관리소. 통계청. 에디팅 , 분석 , 공표 (90 일 이상 체류 ). 자료입력. 인구이동 지표. 총이동률 : 행정 읍면동 경계를 넘은 이동 , 2008 년 17.8% - 시도내이동 , 시도간이동 , 시군구내이동 , 시군구간이동 , 권역 ( 수도권 등 ) 간 이동 등 국제이동 : 국경을 넘어 90 일 + 체류 순이동 ( 전입 - 전출 ) 률 = 순이동 / 연앙인구* 100
E N D
국제이동통계 작성 과정 내외국인 출입국 여권 자료입력 에디팅 전송 법무부 출입국관리소 통계청 에디팅, 분석, 공표 (90일 이상 체류) 자료입력
인구이동 지표 • 총이동률: 행정 읍면동 경계를 넘은 이동, 2008년 17.8% - 시도내이동, 시도간이동, 시군구내이동, 시군구간이동, 권역(수도권 등)간 이동 등 • 국제이동: 국경을 넘어 90일+ 체류 • 순이동(전입-전출)률=순이동/연앙인구*100 • 전입률=전입자/연앙인구*100 • 전출률=전출자/연앙인구*100
성․연령별 국제순이동률(입국-출국) (2000~2007년 평균)
인구의 크기 및 구조 공식인구는 인구추계(estimate) 장래인구추계 (projection)는 코호트별 인구변동요인 가정치의 조합 결과 급속한 인구고령화 고령의 정의는 다양
인구변천(Demographic transition) CBR CDR NIR 주: NIR=CBR-CDR
조출생률(CBR), 조사망률(CDR), 자연증가율(NIR), 한국 1960-2050 TFR=2.06 (1983) 제2차 출산력 변천
추 계 인 구 • 7.1기준, 5년 주기, 공식인구, 세계인구의 0.7% • Estimation (과거 및 현재 추정) • Projection (장래추계) vs. forecasting (예측) - 추계는 가정에 근거하여, 코호트요인법으로 계산 * 코호트: 특정 같은 시점에 어떤 사건을 동시적으로 경험한 사람들의 집단 (예 출생코호트) - 기준인구에 코호트별 출생,사망,이동 요인 감안 인구균형방정식: Pt= Po(기준인구) +B(출생)-D(사망)+I(유입)-E(유출) • 장래인구추계: 전국 (2050년), 시도 (2030년) - 각 세 및 5세별로 연도별 인구
t년 성 및 연령별 인구 여자 연령별 출산율 성 및 연령별 순이동률 출생성비 성 및 연령별 생존율 남녀별 출생아수 0세 1 ~ 95세이상 t + 1년 성 및 연령별 인구 코호트요인법에 의한 인구추계
인구 크기•구조의 주요 지표 • 인구성장률=전년대비 인구증가율 - 인구성장=출생-사망+순이동; 자연증가=출생-사망 • 성비= 여자 100명당 남자수 • 중위연령=총인구를 연령별로 나열할 때 한가운데 있는 사람의 해당 연령 • 총부양비=유소년부양비 +노년부양비 -유소년부양비=0-14세/15-64세*100 -노년부양비=65+/15-64세(생산가능인구)*100 • 노령화지수=65+/0-14세*100 • 고령화: 중위연령, 65+/전체인구*100, 피라미드
장래인구추계의 주요 결과 • 2007년 (7.1.기준)인구: 48456천명 • 2018년 정점 (약49349천명) • 인구성장률: 0.33%(2006), -0.00%(2019) • 전체인구의 성비: 2005년 101.0 → 2022년 99.9 • 65+구성비: 9.1%(2005) → 20%(2026) • 중위연령: 34.8(2005) → 56.7세(2050) • 총부양비: 2016년 최저 • 2007년 49% 수도권 거주 • 경기,인천,대전,울산은 2030년까지 계속 증가
인구의 국가별 분포도, 2007 Source: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06 Revision (UN, 2007)
고령층의 전체인구에 대한 연령별 인구구성비, 1970-2050
합계출산율과 기대수명, 2000~2005 and 2045-2050 Note: * UN (2007)이 통계 목적으로 분류한 바에 의하면, MDC (more developed countries) :유럽, 북아메리카, 호주, 뉴질랜드, 일본 LDC (less developed countries): 나머지 국가
인구의 크기 및 분포도, 2005 & 2050 Source: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06 Revision (UN, 2007)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KNSO, 2006)
부양비와 노령화지수, 2005 & 2050 Notes: Youth dependency ratio= pop 0-14/pop 15-64 *100; Elderly dependency ratio= pop 65+/pop 15-64*100 Total dependency ratio = Youth + Elderly dependency ratio; Ageing index=pop 65+/ pop 0-14*100
연평균인구증감과 증감요인, 2005-2010 (Unit : million) Source: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06 Revision (UN, 2007)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KNSO, 2006)
연평균인구증가율, 1960-2050 (Unit : %) Source: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06 Revision (UN, 2007)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KNSO, 2006)
연령구조와 중위연령, 2005 & 2050 (Unit : %, years) Source: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06 Revision (UN, 2007)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KNSO,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