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 likes | 240 Views
고유브랜드 육성 전략. 2000. 9. 한 충 민 ( 韓 充 敏 ) 한양대 경영학부 Tel: 2290-1066, Fax: 2296-9587 E-mail: cmhlab@email.hanyang.ac.kr. 목 차. Ⅰ. 고유브랜드 수출 현황 Ⅱ. 고유브랜드의 필요성 Ⅲ. 고유브랜드 개발의 장애요인 Ⅳ. 고유브랜드 육성 방안. Ⅰ. 고유브랜드 수출 현황. 전체. 대기업. 중소기업. 1999 년 2000 년. 58.1% 60.1. 67.6% 70.5. 56.0% 57.9.
E N D
고유브랜드 육성 전략 2000. 9. 한 충 민 (韓 充 敏) 한양대 경영학부 Tel: 2290-1066, Fax: 2296-9587 E-mail: cmhlab@email.hanyang.ac.kr
목 차 Ⅰ. 고유브랜드 수출 현황 Ⅱ. 고유브랜드의 필요성 Ⅲ. 고유브랜드 개발의 장애요인 Ⅳ. 고유브랜드 육성 방안
Ⅰ. 고유브랜드 수출 현황 전체 대기업 중소기업 1999년 2000년 58.1% 60.1 67.6% 70.5 56.0% 57.9 자료: 무역협회 수출산업실태조사, 2000
Ⅱ. 고유브랜드의 필요성 저비용 고효율 마케팅 수단 - OEM 브랜드에 비해 장기적으로 이익 - 저비용 communications 수단: 광고, 홍보 비용 절감 - 영업 비용 절감 기술 전수의 한계 - 조립 기술 vs 설계 및 핵심 기술 부메랑 효과 - Pro-Specs vs Nike, Reebok
固有브랜드와 他社브랜드의 經濟性 비교 총비용 他社브랜드 사용에 따른 변동 기회 비용 固有브랜드 개발에 따른 고정비용 판매 물량 Q* 他社브랜드가 경제적 固有브랜드가 경제적
Ⅱ. 고유브랜드의 필요성–계속 계획 생산을 통한 생산비용 절감 안정적인 고객 기반 유지 - 불황기 또는 환율 변동시 브랜드 진가 발휘 유동 자산 - 저축성 자산 - 환금성이 높은 자산
Ⅲ. 고유브랜드 개발의 장애요인 초기 고정투자 비용 - 유통, 광고, 마케팅 조직 및 인력 브랜드 이미지의 취약성 - 제 값을 받지 못하고 팔림 - 취약한 국가이미지 매출의 일시적 감소 - OEM 기존 고객의 방해 선진국 제품에 근접한 제품 경쟁력 미확보
주요 한국 브랜드의 정상 가격 평균소비자가격 브 랜 드 품질 지수 정상 가격 가격 차이 비 고 <전자렌지> Goldstar MA-1302S GE JE1660[G]B <룸 에어컨> Goldstar M5400 Whirlpool ACQ052XH <데스크탑 컴퓨터> eMachines eTower400ix eOne433 IBM AptivaEServices19C HP Pavilion8560C $130 200 $220 295 $684 874 1149 1248 $158 158 $242 231 $940 915 1040 990 $28 (–) 42 (+) $22 (–) 64 (+) $264 (–) 41 (–) 109 (+) 258 (+) 85 85 76 72 64 63 68 66 CR 1999.12. CR 2000. 7. CR 1999.11.
고유브랜드 개발추진시 애로사항 기존 OEM 거래선의 반발 수출 격감 채산성 악화 막대한 투자 비용 상표 관리 능력 부족 기타 무응답 / 모름 10.3% 40.7% 15.0% 13.7% 8.2% 1.5% 10.5% 자료: 무역협회 수출산업실태 조사, 2000
Ⅳ. 고유브랜드 육성 방안 1. 공동브랜드 육성 및 공동 홍보 외국의 사례 - Sunkist, Sun Maid, Blue Diamond - 일본의 통일 상표 공동 브랜드의 장점 - 초기 고정투자 및 마케팅 비용 공유 - 로열티, 가맹비 절약 - 협력사간 기술, 마케팅 지식 및 시장 정보 공유 - 신속한 시장 진입 문제점 - 협력사의 기회주의적 행위 (뒷거래, 독립) - 투자와 수익 배분에 따른 갈등 - 관리회사의 ‘마구잡이’식 가맹
2. 국가이미지 제고를 위한 국가 홍보 외국의 사례 - MIT (Made in Taiwan) Campaign - 프랑스 Image Council - 중국 Brand China 사업 Identity의 개발 - Engineering Korea / Technology Korea
국무총리 브랜드세계화위원회 국정홍보처 (국가이미지사업) 산업자원부 (주관기관) 민간협회 (브랜드 개발, 촉진 및 자문) 디자인진흥원 (디자인 개발 및 자문) KOTRA (해외 홍보 및 전시회 관련 사업) 산업자원부 (브랜드 육성업체 선정 및 지원) 3.종합적인 브랜드 세계화 지원 체제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