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0

병원성 미생물

병원성 미생물. 기초미생물 제 14주차 강의 담당교수 : 박승용 천안 연암대학. 차 례. 호흡기 질병을 일으키는 미생물 식품매개성 소화기 질환을 일으키는 미생물 비뇨생식기에 질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생략) 동물매개성 질환을 일으키는 미생물. 정의 : 미생물이 생성하는 독소, 효소 기타생성물에 의해서 일어나는 병원성과 병원체, 병원소, 전염경로, 숙주감수성에 따라 결정되는 전염성을 갖고 있음 . 존재하는 미생물중 소수에 해당됨. 법정전염병 제 1군 (격리대상) 콜레라 페스트 장티부스 파라티푸스

janna
Download Presentation

병원성 미생물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병원성 미생물 기초미생물제 14주차 강의 담당교수: 박승용 천안 연암대학

  2. 차 례 • 호흡기 질병을 일으키는 미생물 • 식품매개성 소화기 질환을 일으키는 미생물 • 비뇨생식기에 질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생략) • 동물매개성 질환을 일으키는 미생물

  3. 정의 : 미생물이 생성하는 독소, 효소 기타생성물에 의해서 일어나는 병원성과 병원체, 병원소, 전염경로, 숙주감수성에 따라 결정되는 전염성을 갖고 있음. 존재하는 미생물중 소수에 해당됨. 법정전염병 제 1군(격리대상) 콜레라 페스트 장티부스 파라티푸스 세균성 이질 장출형성대장균감염증(O-157) 병원성 미생물

  4. 제2군(예방접종대상) B형 간염 일본뇌염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폴리오 제3군(예방홍보대상) 말라리아, AIDS 인플루엔자, 탄저 브루셀라증 렙토스피라증 결핵, 한센병 성병, 성홍열 구균성수막염 레지오넬라 발진티브수 발진열 쯔쯔가무시증 공수병 유행성출혈열 법정 전염병

  5. 박테리아성 질환 Str. hemolyticus 질환 :성홍열(scarlet fever) 증상 : 편도나 인두에 A군 ß-용혈성 연쇄상 구균 감염에 의한 증상과 고소에 의한 즉발적독 증상 발생 발열, 인두통, 구토, 두통, 권태감. 목 사타구니 겨드랑이 둔부 홍반 발생. 6-7세 어린이 겨울-봄 사이 발생 잠복기 : 3-5일 진단 : 목안 가검물 세균배양검사 또는 백혈구 증가 확인검사 예방 : 톡소이드 예방접종 치료 : 페니실린 Neisseria meningitidis 질환 : 뇌수막염 미생물 특성 : 쌍구균(완두콩 모양), G-세균, 호기성, 혈액 한천배지, 습기 많은 집락, 광택 반투명 상태 집락 증상 : 급작스런 쇠약감, 피하출혈, 고열, 두통, 구토, 홍반, 출혈성 반점. 진단 : 뇌척수액 검사(백혈구 수, 단백질과 당 농도, 뇌척수액색깔, 세균배양검사) 예방 : 청결, 음식물 위생처리, 공공장소 출입금지 치료 :술폰아마이드, 페니실린 G, 클로람페니콜 호흡기질환 원인 미생물

  6. Bordetrella Pertussis 질환 : 백일해(기관, 기관지 세기관지에 일어나는 급성 호흡기 전염병) 미생물 특성 : 단간균 G-세균, 무포자, 무편모 증상 :. 감기와 같은 증상, 열은 없음, 기관지염, 폐렴, 결핵 증상의 합병증(주요 사인). 3세 이하 유아 발생 진단 : 예방 : DPT백신(혼합백신), 평생면역 획득 치료 : 오레오마이신, 테라마이신, 클로로마이세틴 Corynebacterium diphtheriae 질환 : 디프테리아(상기도에 장해) 미생물 특성 : 비규칙적 G+간균, 비운동성, 무포자, 독소 암호화유전자 결여 증상 : 전염 : 사람이 유일한 병원소, 접촉, 분비물, 기침, 잠복기 : 2-6일, 2-6개월 보균 예방 : DPT 3회 접종 치료 : 디프테리아 항독소, 에리스로마이신, 페니실린 G(과민반응 검사 후) 호흡기 질환

  7. Mycobacterium tuberculosis 질환 : 결핵(감염형) 미생물 특성 : G+세균, 항산성균 증상 : 침범 장기에 따라, 폐결핵(미열, 체중감소, 오한), 감기증세가 만성적으로 진행, 기침,가래,흉통,호흡곤란) 전염 : 객담비말, 기침, 재채기 진단 : 튜버큘린 반응, X-선 검사, 객담검사 예방 : BCG 치료 : 이소니코틴산히드라지드 Mycobacterium leprae 질환 : 한센 병 증상 : 피부감각 마비, 근육위축, 손발가락 마비 및 자가절단, 반점상, 구진상 결절성 피부 병변, 안면기형, 불구성 변형 전염 : 피부접촉, 비말감염 잠복기 : 2-7년-30년 진단 : 원인균분리, 피부조직검사, 레프로민 반응 예방 : 격리수용, 배설물 등 오염물 소독 치료 : DDS, dapsone장기치료, 2-3종 복합항생제 장기치료 호흡기 질환

  8. Legionella Pneumophila 미생물 특성 : 호기성 G-간균(필라멘트모양) 단모, 운동성 질환 : 폐렴(재향군인회 집회) 증상 : 발열, 두통, 근육통, 인플루엔자성 증상, 중증폐렴증상 전염원 : 냉방장치 냉각수, 에어로졸을 통한 호흡기 침투 잠복기 : 2-10일 예방 : 냉각탑 냉각수 소독 유효염소 4-6ppm 치료 : 에리스로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 아지스로마이신 Virus에의한 질환 Influenza 질환 :유행성감기 바이러스 특성 :orthomixo RNA 바이러스(A,B,C 면역형)(H, N항원형) 감염 : 비말감염, 공기전염 증상 : 열, 콧물, 오한, 두통, 인후통, 근육통, 마른기침 회복 : 3-7일 유행시기 : 10월-4월 백신 : 변이주 잦은 출현 전파방지 : 피라지딘유도체(항바이러스제) 호흡기질환

  9. Mumps virus 질환 :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 특성 : RNA바이러스 증상 : 호흡기도 상피세포에 침입, 바이러스 혈증, 고환, 난소, 췌장,뇌조직에 이행. 고환염 전염경로 : 비말전파, 간접접촉 진단 : 타액,수액,소변에서 바이러스분리, 혈청학적 진단. 피부반응 5-15세 소아에게 발생 예방 : MMR백신 치료 : 감마글로블린, 특별한 치료법 없음. Measles virus 질환 : 홍역 바이러스 특성 : 파라믹소바이러스(rubeol virus) 증상 : 발열,재채기,기침,콧물, 목 쉼.구강 협부 점막에 Koplik반점 형성, 발진이 온몸으로 확산 전염 : 직접 접촉, 환자배설물로 오염된 물건, 감염성 강함. 진단 : 세포검사, 항원검사, 바이러스분리, 혈청학적 진단으로 기타 감염증과 감별진단 필요. 잠복기 8-12일 발병 : 4-6월 에방 : MMR백신 바이러스성 호흡기질환

  10. Rubella virus 질환 : 풍진(독일 홍역) 바이러스 특징 : 토가 바이러스(RNA virus) 증상 : 전구증세, 림프절 종대, 홍반성 발진 잠복기 : 1-5일 후 식욕감퇴, 피로감, 결막염, 두통, 미열, 경한 호흡기 증세 진단 : 확진검사(바이러스 분리, 항체증가 현상, 혈구응집억제반응, 중화반응, 형광항체 검사, 보체결합반응) 태아 감염시 사산, 심장, 눈 결함, 뇌손상 예방 : 약독화 풍진 바이러스+약독화 홍역 바이러스+ 약독화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 혼합백신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

  11. E. coliO-157 질환 : 장출혈성 대장균감염증 미생물 특징 : G-간균, 병원성(ETEC:장독소형)(EHEC장출혈성) 증상 : 출혈성 설사, 복부경련, 노약자 합병증-용혈성요독증후군(적혈구 파괴,신장기능 부전) 진단 : 세균배양, 혈청학적 동정 예방 : 식품의 철저한 조리, 염소소독 수돗물 치료 : 항생제 효과 미비 Shigella dysenteriae 질환 :세균성 이질(bacillary dysentery) 미생물 특징 : 신경독소(neurotoxin), 장독소(enterotoxin),세포독소(cytotoxin) emd 체외 독소 생성 증상 : 오열,메스꺼움,구토, 경련성 복통,혈변,골름변 잠복기 1-7일 전염 : 오염된 식품, 경구전파 진단 : 대변 배양검사, 혈청군확인(A-D) 예방 : 백신 없음 Clfy : 격리치료(수액요법, 항생제 요법)암피실린, 클로람페니콜, 퀴놀른 식품매개성 질환을 일으키는 미생물

  12. Vibrio cholerae 질환 : 콜레라 미생물 특성 : 단극모, G+간균(콤마형), 고농도 식염 생존진성콜레라형과 Eltor콜레라형으로 구별, Inaba형, Ogawa형, hikoshima 형 등 3 혈청군 증상 : 과다한 설사, 쌀뜨물 설사, 구토, 발열, 복부 통증, 탈수로 인한 사망 진단 : 콜레라균 분리배양, 면역혈청학적 시험, 박테리오파지 타이핑 예방 : 56도 30분 살균으로 사멸, 여름철 횟감, 백신 효과미비 Salmonella typi 질환 : 장티브스 미생물 특성 : 무포자 운동성 G-간균, O-항원, H-항원 증상 : 지속적 고열, 오한, 백혈구 감소 상대적 서맥, 합병증-장출혈, 뇌혈전증, 장천공 잠복기 : 3-60일 진단 : 혈액,대변배양, 혈청검사(Widaltest) 예방 : Vi항원백신, 약독화생백신(Ty21a주) 치료 : 격리, 수액요법, 항생제 요법(암피실린,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 퀴놀른 식품매개성 질환 원인 미생물

  13. Vibrio vulnificus (구: V. parahemolyticus) 질환: 비브리오 패혈증 미생물 특성: 호염성G+간균(콤마형) 침투 : 창상부위에 침입, 증상 : 부종과 홍반, 수포성 괴사, 사지 괴사 치사율 50% 진단 : 원인균 동정, 해수 접촉 여부 예방 : 어패류 56도 이상 열처리 치료: 페니실린, 암피실린, 세팔로틴, 테트라사이클린, 클로람페니콜. 피부병변 절제, 배농, 절개, 등 외과적 처치 S. paratyphi 질환: 파라티푸스 미생물 특성: G-간균, 운동성, A,B,C형. O및H항원 침투: 환자 대소변, 보균자에 의해 오염된 식품 증상: 지속적인 고열,두통,비종,발진, 설사 등 진단: 혈액, 대소변 배양 분리동정 예방: 백신개발 어려움 치료: 격리치료(항생제, 수액요법), 암피실린, 클로람페니콜,세프트리악손, 퀴놀른 등 식품매개성 질환 원인 미생물

  14. Brucella abortus 질환: 브루셀라 증(Brucellosis) 미생물특성: 세포내 기생성 침투: 임신한 엄소의 생식기관, 유선에서 증식, 미살균원유 섭취, 피부창상에 의한 감염 증상: 면양, 산양은 유산, 사람에겐 파상열 발생, 암소 번식력 감퇴 진단: 분리배양, 동물시험, 면역학적 반응 식균시험, 피내반응 예방: 감염가축의 분비물, 유즙접촉금지, 환축 도살제거, 가축 약독화 백신 치료: 테트라싸이클린(+, 스트렙토마이신 병용) 암피실린 <바이러스 질환> Polio virus 질환: 소아마비 미생물 특성: 피코르나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침투: 환자로 부터 직접 감염(입, 대변, 파리)(전염성 1%) 증상: 감염 1 주일경 고열발생, 배근이나 수족이 구부러지거나 마비되는 영구불구 진단: 예방: 약독화 생백신 식품매개성 질환 원인 미생물

  15. Hepatitis B virus 질환 : B형 간염 미생물 특성: 전염성 간염-A형 바이러스,혈청간염-B형, 기타 C형 증상 : B형 간염-만성-간경변, 간암,사망. 급성-항체형성 예방: 백신(모자수직감염-HBIG, B형간염백신)(의료종사자-불활화 B형 간염백신) 항원검출: 수동적혈구 응집반응, 역수동적혈구반응, 면역확산법, RIA, ELISA 식품매개성 질환 원인 미생물

  16. <박테리아> Leptospira interogans 질환 : 렙토스피라 증(일명 괴질) 미생물 특성: 호기성, 운동성 나선형 세균 침투: 상처,구강,비강 점막 증상: 가을철 농부들의 급성 전신성 질환, 두통,근육통,오한,발열,발한, 결막충형, 인두충혈, 림프종,간비종, 근육통,복부통, 경부 경직 진단: 세균분리, 혈청 항체가 측정 예방: 흙과 물과 직접접촉을 피하는 방법. 예방백신 유효 치료: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테트라싸이클린 스트렙토마이신 Clostridium tetani 질환: 파상풍 미생물 특성: G+장간균, 주모성 편모 침투: 피부나 점막의 상처, 관통상, 조직괴사를 일으킨 상처, 소독않은 비위생적 처치 증상: 초기에 목과 턱 근육 경직, 개구장애(trimus)로 심해짐, 경련성근육위축, 안면경련,경소(risus sardonicus), 심하면 후궁반장(opisthotonos) 진단: 원인균분리, 동물접종후 증상 관찰, 접종부위 검경 예방: 항독소에 의한 예방접종, 창상은 철저한 치료, 항생물질(페니실린)로 합병증(폐렴)예방 동물매개성 질환 일으키는 미생물

  17. Bacillus anthraxcis 질환: 탄저병 미생물 특성: 통성혐기성G+간균, central spore형성 침투: 포자에 오염된 목초섭취, 장내에서 영양형세포로, 혈중으로 침투 패혈증. 사람에겐 피부탄저, 경구탄저 증상: 피부에 악성농포(maligant pastule)형성, 부위에 침윤, 부종, 궤양, 림프선염-패혈증 장탄저, 호흡기탄저.혈액은 암흑생, 응고부전현상 진단: 피부-임상증상, 호흡기탄저-세균배양 예방: 가축에 약독화 생백신 접종, 환축은 화장 또는 매장 치료: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테트라사이클린(치사율 매우 높음) Yersinia pestis 질환: 페스트(흑사병) 미생물 특성: G-단간균, 양극염색성생체내 협막형성 침투: 야생 설치류 기생 벼룩(Xenopsylla cheopis), 사람기생 벼룩(Pulex irritans) 역사: 14세기 2500만명 사망 증상: 선페스트(bubonic plague)-국소 림프절에 중창과 화농, 세균 혈행하여 패혈증유발. 폐페스트(Pneumonic plague) -비말감염, 림프절 혈행 패혈증 유발(100% 치사율) 진단: 조직표본 검사, 배양시험, 면역혈젗 응집반응, phage에 의한 용균시험 예방: 사균백신, 약독화 생균백신(효과 미약) 치료: 스트렙토마이신, 클로람페니콜, 테트라싸이클린 동물매개성 질환 일으키는 미생물

  18. <원생동물> 포자충류(Plasmodium)의 포자소체(sporozoite) 질환 : 말라리아(학질) 침투: 모기->유혈(분열체)-> 간(번식체, 분열소체)-> 적혈구(영양소체, 낭충)-> 유성생식체 형성-> 모기(접합자, 분열체) 증상: 발열-비종-빈혈 진단: 혈액 도말검사로 원충 확인, 형광항체법 예방: 예방약, 항말라리아제(클로로퀴네) 복용 동물매개성 질환 일으키는 미생물 • <리켓치아> Rikettsia tsutsugamushi 질환: 쯔쯔가무시 병 매개체 : 진드기 Rikettsia prowazekii 질환: 발진티푸스 매개체: 머리 이 Rikettsia typhi 질환:발진열 매개체: 쥐벼룩

  19. <바이러스> Rabies virus 질환: 공수병 미생물 특성: RNA바이러스, 탄환모양(70nm X 210nm) 침투: 공수병 걸린 개에 물림 증상: 발열, 흥분상태, 동공팽창, 타액분비, 불안 진단: body 조직검사, 바이러스 분리, 혈청학적 항체 검사 예방: 예방주사, 면역혈청 사용(부작용 우려), 약독화 생백신, 불활화 백신, rDNA백신 개발중 Hantan virus 질환: 유행성출혈열 미생물 특성: 분야바이러스(원형-타원형) 침투: 등들쥐 배설물 호흡기 통해 전파 발병기: 늦가을과 늦봄(건조기) 증상: 발열,오한,두통. 호흡부전, 급성신부전증, 저혈압 진단: 병력,임상증상,검사소견, 경과추적, 간접면역형광항체, 효소면역측정법 예방: 6개월 간격 2회 예방백신, 잔디위 눕기,침구,옷말리기 금지 치료: 치료 전 안정,대증요법외 특이 요법 없음 동물매개성 질환 일으키는 미생물

  20. Japanese B encephalitis virus 질환: 일본뇌염 미생물특성: RNA바이러스, 플라비바이러스과의 아보바이러스 B군 침투: 작은 빨간집모기가 바이러스 감염된 돼지(증폭동물)에서 흡혈, 사람에게 전파 증상: 대부분 불현성 감염 바이러스 양이 많으면 뇌에 침투하여 뇌염발병(급성)-고열,두통, 현기증->의식장애,경련, 혼수, 사망. 회복시-언어장애, 판단력저하, 사지운동저하 등 심각한 후유증 발현 임상경과: 잠복기-전구기-급성기-아급성기-회복기 진단: 의증 진단, 확정진단(바이러스 분리, 뇌에 형광항체 존재, 적혈구 응집저지 반응, 보체결합시험, 중화시험 등) 예방: 매개 모기 구제, 예방접종 동물매개성 질환 일으키는 미생물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