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72

서버 관리 및 실습

서버 관리 및 실습. 4 장 서버 구축을 위해 알아야 할 핵심 개념과 명령어. 3. 사용자 관리와 파일 속성. 파일과 디렉토리의 소유와 허가권 리눅스는 각각의 파일과 디렉토리마다 소유권 및 허가권의 속성이 있다 . “ls -l” 명령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날 것이다 . 세 번째 나온 install.log 파일을 예로 그 의미를 살펴보자. 3. 사용자 관리와 파일 속성. 파일 이름. 마지막 변경 날짜 / 시간. 파일 크기 (Byte). 파일 소유 그룹 이름. 파일 소유자 이름.

jania
Download Presentation

서버 관리 및 실습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서버 관리 및 실습 4장 서버 구축을 위해 알아야 할 핵심 개념과 명령어

  2. 3. 사용자 관리와 파일 속성 • 파일과 디렉토리의 소유와 허가권 • 리눅스는 각각의 파일과 디렉토리마다 소유권 및 허가권의 속성이 있다. • “ls -l” 명령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날 것이다. • 세 번째 나온 install.log 파일을 예로 그 의미를 살펴보자.

  3. 3. 사용자 관리와 파일 속성 파일 이름 마지막 변경 날짜/시간 파일 크기(Byte) 파일소유 그룹 이름 파일소유자 이름 링크 수 파일 허가권 파일 유형

  4. 3. 사용자 관리와 파일 속성 • 파일 유형 • 이 파일이 어떤 파일인지를 의미한다. 디렉토리일 경우에는 ‘d’, 일반적인 파일일 경우에는 ‘-’ 가 표시된다. • 그 외에 b(블록 디바이스), c(문자 디바이스), l(링크) 등이 있다.

  5. 3. 사용자 관리와 파일 속성 • 파일 허가권 • 파일 허가권은 “rw –”, “r - -”, “r - -”로 3개씩 끊어서 읽으면 된다. • r은 read, w는 write, x는 execute의 약어다. • 첫 번째 “rw-”는 소유자의 파일 저근 권한을, 두 번째의 “r - -”는 그룹의 파일 접근 권한을, 세 번째의 “r - -”는 그 외의 사용자에 대한 파일 접근 권한을 의미한다. • install.log 파일의 허가권을 숫자로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허가권이 6이라는 숫자는 2진수 110이므로 rw-로 표혈할 수 있고, 그룹의 허가권인 4라는 숫자는 2진수 100이므로 r—로, 그 외 사용자의 허가권인 4라는 숫자도 동일하게 표현되는 것이다.

  6. 3. 사용자 관리와 파일 속성 • 파일 허가권을 변경하는 명령어로는 “chmod”가 있다. 이 명령은 root 사용자 또는 해당 파일의 소유자만이 실행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chmod 777 install.log” 명령을 실행하면, install.log 파일은 모든 사용자가 읽고, 쓰고, 실행할 수 있는 파일이 되는 것이다. • chmod 명령을 ‘symbolic method’ 방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chmod u + x <파일명>”은 “소유자(User)에게 실행(eXecute) 권한을 허가하라”는 의미다. • 윈도우에서는 확장명이 exe 혹은 com이어야만 실행 가능한 파일이지만, 유닉스/리눅스에서는 파일의 허가권에 따라 실행 여부가 결정된다. 그러므로, 유닉스/리눅스에서는 실행 파일의 확장명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7. 3. 사용자 관리와 파일 속성 • 파일 소유권 • 파일 소유권(ownership)은 파일을 소유한 사용자와 그룹을 의미한다. install.log 파일은 root라는 사용자가 소유자며, 그룹도 root로 되어 있다. • 파일의 소유권을 바꾸는 명령어로 chown이 있으며, “chown <새로운 사용자명> [.<새로운 그룹명>] <파일명>” 형식으로 사용하면 된다. • 예를 들어, “chown fedora install.log”는 install.log 파일의 소유자를 fedora로 바꾸라는 의미고, “chown fedora.fedora install.log”는 파일의 그룹도 fedora로 바꾸라는 의미다.

  8. 3. 사용자 관리와 파일 속성 • 링크 • 파일의 링크는 하드 링크와 소프트 링크 두 가지가 있다. 아래 그림을 보면 원본 파일이 inode1을 사용하고 있을 때, 하드 링크를 생성하면 하드 링크 파일만 하나 생성되며 같은 inode1 을 사용하게 된다. 하드 링크를 생성하는 명령어는 “ln <링크 대상 파일명> <링크 파일명>”으로하면 된다. 디렉토리 inode 블록 Data 블록 하드링크 파일 inode1 원본 파일 데이터 원본 파일 inode2 원본 파일 포인터 심볼릭 링크 파일

  9. 3. 사용자 관리와 파일 속성 • 이 원본에 대해서 심볼릭 링크를 생성하면 새로운 inode2를 만들고, 데이터는 원본 파일을 연결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링크는 심볼릭 링크를 사용하게 되며, 윈도우의 바로 가기 아이콘도 심볼긱 링크에 해당한다. • 소프트 링크를 생성하는 명령어는 “ln -s <링크 대상 파일명> <링크 파일명>”으로하면 된다. • 충분히 개념을 이해하지 못했다면 다음 실습을 통해 이해해 보도록 하자.

  10. 3. 사용자 관리와 파일 속성 • 하드 링크와 소프트 링크를 생성해 보자. (실습) • /root/linktest 디렉토리를만들고, 그 안에 basefile 이라는 파일을 만들다.

  11. 3. 사용자 관리와 파일 속성 • 하드 링크와 소프트 링크를 만들고, inode를 확인해 보자. “ls -il” 옵션은 inode 번호를 제일 앞에 출력한다. • 결과를 살펴보면 원본 파일과 하드 링크 파일은 inode 번호/크기/파일 수정 시간이 모두 같으며, 심볼릭 링크는 단지 원본 파일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12. 3. 사용자 관리와 파일 속성 • 원본 파일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켜 보고 하드 링크와 심볼릭 링크를 확인해 보자. • 결과를 보면, “하드 링크와 소프트 링크의 비교” 그림에서 보았듯이 하드 링크는 디렉토리에서 원본 파일이 없어져도 아무런 이상이 없고, 소프트 링크는 디렉토리에서 원본 파일이 없어지면 연결이 끊어지게 되는 것이다.

  13. 3. 사용자 관리와 파일 속성 • 다시 원본 파일을 현재 디렉토리에 가져와서 다시 확인해 보면 심볼릭 링크가 원상으로 복구됨을 확인할 수 있다.

  14. 4. 관리 명령어 • RPM의개념과 활용 • RPM(Redhat Package Manger) • 기존의리눅스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이 꽤 어려워서, 초보자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조차도 어렵다고 느꼈다. • 이러한 점을 개선하여 레드햇 사에서 윈도우의 setup.exe와 비슷하게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에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설치 파일을 제작하게 되었다. • 이것이 *.rpm이며, 이를 ‘패키지’라고 부른다. • 파일의 의미 • 페도라 설치 CD를 확인하면, Fedora/RPMS/ 디렉토리에많은 rpm 파일이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파일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패키지 이름> <버전> <릴리즈 번호>.<아키텍처>.rpm • 예를들어, 페도라의 기본 웹 브라우저인 firefox-1.0.4-4.i386.rpm을 살펴보자. • 패키지 이름 : firefox 프로그램의 이름 • 버전 : 1.0.4 대개 3자리 수로 구성되며, 높을수록 최신 버전 • 릴리즈 번호 : 4 문제점을 개선할 때마다 붙이는 번호 • 아키텍처 : i386 CPU 즉, 이 파일이 설치 가능한 CPU를 의미

  15. 4. 관리 명령어 • 아키텍처 부분에 올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 i386, i486, i586, i686 인텔또는 AMD 계열의 CPU • alpha/sparc/ia64 해당 CPU를 의미 • src 소스 파일 패키지, 설치 후에 별도로 컴파일 • noarch 모든 CPU에 설치 가능(NO ARCHitecture)

  16. 4. 관리 명령어 • 자주사용하는 rpm의 사용법 • 설치 • rpm –Uvh <패키지 파일> • U : 기존에패키지가 설치되지 않았다면 i와 같이 일반적인 설치를 하고, 기존에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다면 업그레이드를 한다. • v : 설치 과정의 확인 • h : 설치 진행 과정을 # 마크로 화면에 출력함 • 삭제 • rpm -e <패키지파일> : 여기서 e는 Erase의 약자 • 패키지 질의 • rpm-qa <패키지 이름> : 시스템에패키지가 설치되었는지 확인 • rpm-qf <패키지 이름> : 이미 설치된 파일이 어느 패키지에 포함 된 것인지 확인 • rpm-ql <패키지 이름> : 특정 패키지에 어떤 파일들이 포함되었는지 확인 • rpm-qi <패키지 이름> : 설치된 패키지의 상세 정보

  17. 4. 관리 명령어 • RPM의단점 • 기존의 리눅스 설치보다는 획기적으로 편리해지기는 했지만, 단점이 있다. • 가장 큰 문제점은 ‘의존성’ 이다. • 예를 들어 firedox를 설치할 경우 X 윈도우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의존성의 문제로 설치가 되지 않는다. • 이러한 불편함 점을 해결한 것이 yum 명령이다. 이는 뒤에서 살펴 본다.

  18. 4. 관리 명령어 • rpm 패키지를 이용해서 프로그램을 설치해 보자. (실습) • 구굴에서 tftp rpm을 다운로드 한다. • 다운로드된 rpm 패키지를 설치하자. • “다운로드” 폴더로 이동 한다. • “rpm–Uvh tftp-0.32-4.i386.rpm”으로파일 설치. • “rpm-qi tftp”으로 설치한 프로그램의 정보를 확인한다.

  19. 4. 관리 명령어 • YUM • RPM이 분명 유용하지만, 의존성 문제로 불편한 점이 있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 YUM(Yellowdog Update Manager) • YUM은 RPM과 별도의 것이라기 보다는, RPM 패키지를 설치하는 편리한 툴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YUM의 개념 • 인터넷을 통하여 fedora의 rpm 파일이 저장된 저장소에서 설치하려고 하는 rpm 파일과 해당 rpm이 의존성을 가지는 다른 rpm파일까지 모두 다운로드한 후에 자동으로 설치까지 해준다. • 인터넷을 통하므로 현재 사용하는 fedora가 인터넷에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여야 한다. • YUM이 연결할 URL은 /etc/yum.repos.d/ 디렉토리의 파일에 저장되어 있다.

  20. 4. 관리 명령어 • YUM 사용법 • 설치 • yuminstall <패키지 이름> • 앞으로 설치시 사용할 명령은 “yum -y install <패키지 이름>” 이다. • 인스톨시 설치여부를 묻는 질문에 무조건 “yes”를 답하게 하는 옵션이 ‘–y’이다. • 업데이트 가능한 목록 보기 • yum check-update • 업데이트 • yum update <패키지 이름> : 업데이트할게 있음 자동 설치 • 삭제 • yumremove <패키지이름> • 정보 확인 • yuminfo <패키지이름> • 로컬에서설치 • yumlocalinstall <패키지 이름> :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rpm 파일 설치

  21. 4. 관리 명령어 • dovecot 패키지를 yum 명령으로 설치해 보자 . (실습)

  22. 4. 관리 명령어 • y 를 눌르면 해당 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자동으로 설치해 준다. • 다운로드 속도가 너무 느리다면 “Ctrl” + “C”를 눌러 준다. • 다른 미러 사이트에 접속하여 새로 다운로드 된다.

  23. 4. 관리 명령어 • 파일 압축과 파일 묶기 • 파일 압축 •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보게 되는 압축 파일은 gz 또는 bz2이다. • gzip • 확장명 gz 으로 압축을 하거나 풀어줌 • [사용 예] # gzip <파일명> : “파일명”을 압축 파일인 “<파일명>.gz”으로 만듬 # gzip -d “<파일명>.gz” : “<파일명>.gz” 압축 파일을 일반 파일인 “<파일명>”으로 만들어줌 • gunzip • 확장명 gz 의 압축을 풀어줌 • “gzip -d”와 동일한 명령어

  24. 4. 관리 명령어 • bzip2 • 확장명 bz2 로 압축을 하거나 풀어줌 • [사용 예] # bzip2 <파일명> : “파일명”을 압축 파일인 “<파일명>.bz2”로 만듬 # bzip2 -d “<파일명>.bz2” : “<파일명>.bz2” 압축 파일을 일반 파일인 “<파일명>”으로 만들어줌 • bunzip2 • 확장명 bz2 의 압축을 풀어줌 • “bzip2 -d”와 동일한 명령어

  25. 4. 관리 명령어 • 파일묶기 • 윈도우즈용 압축 프로그램을 생각해 보면 aaa, bbb 두 개 파일을 압축할 때 ccc.zip이라는 1개의 압축 파일이 생긴다. • 이는 파일 두 개를 하나의 파일로 묶인 후에 압축이 된 것이다. • 리눅스는 이와 달리 파일 압축과 파일 묶기는 원칙적으로 별개의 프로그램으로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 사용자 편의성을 위해 한 번에 할 수 있는 옵션도 제공한다. 파일 묶기의 명령어는 tar이며, 그 확장명도 tar이다.

  26. 4. 관리 명령어 • tar • 확장명 tar로 묶음 파일을 만들어 주거나 묶음을 풀어줌 • [동작] • c (새로운 묶음) • x (묶인 파일을 풀어줌) • r (묶음을 풀기 전에 묶인 경로를 보여줌) • [옵션] • f (필수) – 묶음 파일명 지정 • v – visual 파일이 묶이거나 풀리는 과정을 보여줌 • z – tar + gzip (GNU only) • j – tar + bzip2 (GNU only)

  27. 4. 관리 명령어 • [사용 예] # tarcvf xinetd.tar /etc/xinetd.d/ : 생성 # tarcvfz xinetd.tar.gz /etc/xinetd.d/ : 생성 + gzip 압축 # tarcvfj xinetd.tar.bz2 /etc/xinetd.d/ : 생성 + bzip2 압축 # tartvf xinetd.tar /etc/xinetd.d/ : 확인 # tarxvf xinetd.tar /etc/xinetd.d/ : 풀기 # tarxvfz xinetd.tar.gz /etc/xinetd.d/ : gzip 압축 해제 + tar 풀기 # tarxvfj xinetd.tar.bz2 /etc/xinetd.d/ : bzip2 압축 해제 + tar 풀기

  28. 4. 관리 명령어 • 파일위치 검색 • 리눅스에서 특정 파일의 위치를 검색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 find[경로] [옵션] [조건] [action] • [옵션] -name, -user(소유자), -newer(전, 후), -perm(허가권) • [action] -print(GNU는 디폴트, 유닉스는 필수 입력), -exec • [사용 예] # find /etc -name “*.conf” /etc 디렉토리 하위에 확장명이 “.conf”인 파일 검색 # find /etc –user fedora /home 디렉토리 하위에 소유자가 “fedora”인 파일 검색 # find ~ -perm 644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하위에 허가권이 644인 파일 검색

  29. 4. 관리 명령어 • which <실행 파일 이름> • PATH에 설정된 디렉토리만 검색 • 절대 경로를 포함한 위치 검색 • whereis <실행 파일 이름> • 실행 파일 및 소스, man 페이지 파일까지 검색 • locate <파일 이름> • 매우 빠르고 유용하지만 새로 설치된 파일들이 등록되어 있지 않을 때는 찾을 수 없음

  30. 4. 관리 명령어 • 시스템 재설정(system-config-xxx) • 페도라의 X 윈도우 환경에서 제공해 주는 시스템의 재설정 명령어는 주로 “system-config-xxx”이다.

  31. 4. 관리 명령어 • Vmware에서 Fedora 9의 기본 해상도인 800x600을 1024x768로 변경해 보자. (실습) • 터미널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해서 “화면 설정” 창이 나오면 변경한다.

  32. 4. 관리 명령어 • 아래와 같이 재시작이 필요하다는 메시지가 나온다. • 재부팅을 해보자. • 전체 화면으로 보고 싶다면, Vmware 메뉴의 [view] -> [Full Screen]을 선택하면, 페도라가 전체 화면으로 보인다.

  33. 4. 관리 명령어 • 이렇게 system-config-display로 설정한 설정 파일은 /etc/X11/xorg.conf에 저장된다. • 터미널에서 “gedit /etc/X11/xorg.conf” 명령어로 파일을 열어보자.

  34. 4. 관리 명령어 • 날짜 설정(system-config-date)

  35. 4. 관리 명령어 • 키도드설정(system-config-keyboard)

  36. 4. 관리 명령어 • 그 외의 설정 명령들 • system-config-bind 네임 서버 설정 • system-config-httpd 웹 서버 설정 • system-config-language 언어 설정 • system-config-lvm LVM 설정 • system-config-mouse 마우스 설정 • system-config-network 네트워크 환경 설정 • system-config-nfs NFS 설정 • system-config-packages 패키지 추가 설정 • system-config-printer 프린터 설정 • system-config-rootpassword ROOT 비밀번호 설정 • system-config-samba Samba 서버 설정 • system-config-firewall 보안 수준 및 방화벽 설정 • system-config-soundcard 사운드 카드 설정 • system-config-users 사용자 설정

  37. 4. 관리 명령어 • 위 명령어를 입력해서 실행되지 않으면, 해당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버전이 업그레이드 되면서 변경된 명령이다. • “yum -y install system-config-XXX”명령으로 설치한 후에 실행하면 된다. • 버전이 업그레이드 되면서 변경된 명령어는 변경된 이름으로 이미 설치되었다는 메시지가 출력된다. 이 메시지를 확인하여 변경된 이름으로 실행시키면 된다. • system-config-securitylevel 이 system-config-firewall로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다.

  38. 4. 관리 명령어 • cron과 at • cron • 주기적으로반복되는 일을 자동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설정해 놓는 것을 말한다. • 만약 회사에서 시스템의 사용이 가장 적은 새벽 5시에 백업을 받아야 한다면, 하루 이틀은 퇴근하지 않고 기다릴 수 있겠지만, 매일 그래야 한다면 회사를 그만두는 것을 진지하게 고려하게 될 것이다. • 이때 유용한 데몬(서비스)은 crond며, 관련 파일은 /etc/crontab이 있다. • 위 그림은 /etc/crontab 파일이 시간별, 일별, 주별, 월별로 호출하는 디렉토리를 보여준다. /etc/crontab 파일 시간별 일별 주별 월별 /etc/cron.hourly/ /etc/cron.daily/ /etc/cron.weekly/ /etc/cron.monthly/

  39. 4. 관리 명령어 • /etc/crontab 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 첫 행의 의미는 분, 시, 일, 월, 요일, 권한, 실행 명령 순으로 되어 있다. • 즉, 01분마다, 모든 시에, 모든 일에, 모든 월에, 모든 요일에, root 권한으로, /etc/cron.hourly/ 디렉토리의 파일을 실행”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 그러므로 이곳에 실행 가능한 파일을 넣어 놓는다면 매시간 01분마다 실행될 것이다. • 0은 일요일을 의미한다. 0~6까지 일요일~토요일을 의미하게 된다.

  40. 4. 관리 명령어 • at • cron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작업을 예약하는 것이지만, at은 일회성 작업을 예약하는 것이다. • 즉, at은 예약을 해 놓으면 한 번만 실행되고 소멸되는 것이다. • 명령어의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 예약 : # at <시간> # at 3:00am tomorrow 내일 새벽 3시 # at 11:00pm January 30 1월 30일 오후 11시 # at now +1 hours 1시간 후 • at> 프롬프트에 예약 명령어 입력후, “Enter” • 완료되면 “Ctrl” + “D” • 확인 : # at –l • 취소 : # atrm <작업 번호>

  41. 4. 관리 명령어 • 매월 15일 새벽 3시 1분에 “/home” 디렉토리와 그 하위 디렉토리를 /backup 디렉토리에 백업하도록 하자. • 서비스가 가동하는지 확인한다. 기본적으로 가동 되어 있다. • “gedit /etc/crontab”으로 예약 파일을 열고, 매월 수행하는 부분을 열어서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 01 3 15 * * root run-parts /etc/cron.monthly

  42. 4. 관리 명령어 • /etc/cron.monthly/ 디렉토리에 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크립트 파일을 만들고, 속성을 실행 가능하도록 바꿔준다.

  43. 4. 관리 명령어 • abc.sh의 내용을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 /backup-<현재 날짜>.tar.gz”으로 /home 디렉토리 전체의 백업 파일을 생성하라는 의미다. • 셀 스크립트 문법이라 좀 생소하지만, 간단하면서도 실무에서 유용하다.

  44. 4. 관리 명령어 • 백업용 디렉토리를 생성해 주고, crond 데몬을 재시작 한다. • 한 달을 기다려서 결과를 보기 힘드니, 날짜를 강제로 바꿔주자. • “date” 명령으로 “03월15일 03시00분 2009년”으로날짜를 강제로 바꿔주고, crond 서비스를 재시작한다. 1분 정도 기다린 후에 설정된 내용이 잘 실행되었는지 확인해 보자. • 또, 4월로 시간을 바꿔주고 다시 실행해 본다. 계속 백업된 데이터가 쌓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45. 4. 관리 명령어 • 이번에는 내일새벽 4시에 시스템을 최신 패키지로 업데이트하고, 완료되면 시스템을 재부팅하는 것을 at으로 예약 해 보자. • “<EOT>” 부분은 “Ctrl” + “D”를 누르는 것이다.

  46. 5. 네트워크 관련 설정 및 명령어 • 네트워크 관련 필수 개념 • 후반부의 네트워크 서버 구축을 위한 최소한의 네트워크 관련 용어만 파악하도록 한다. • IP주소 • 각 컴퓨터의 네트워크 카드(랜카드)에 부여되는 중복되지 않는 유일한 주소. • 4바이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자리는 0~255까지의 숫자가 올 수 있다. 예) 페도라 서버의 IP주소:192.168.6.100 • 네트워크 주소 • 같은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공통된 주소 • 예를 들면, 페도라 서버의 IP주소는 192.168.6.100, 페도라 서버 B는 192.168.6.200, 페도라 클라이언트는 192.168.6.201, 윈도우 클라이언트는 192.168.6.202다. • 위 네 컴퓨터는 같은 네트워크에 있으며, 서브넷 마스크로 C 클래스(255.255.255.0)를 사용하므로, 공통된 네트워크 주소는 192.168.6.0이된다.

  47. 5. 네트워크 관련 설정 및 명령어 • 브로드캐스트 • 내부 네트워크의 모든 컴퓨터가 듣게 되는 주소를 말한다. • 현재 주소의 제일 끝자리를 255로바꾼 주소다.(C클래스의 경우) • 위에서 예를 보인 네트워크의 브로드캐스트는 192.168.6.255가된다. • 게이트웨이, 라우터 • 라우터 = 게이트웨이 •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컴퓨터 또는 장비를 말한다. • 내부간의 통신은 상관없으나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 외부로 접속하려면 반드시 게이트웨이의 IP주소를 알아야 한다. • 게이트웨이를 별도로 추가하기 위한 명령어는 아래의 형식을 갖는다. # route add default gw <게이트웨이 주소> dev <장치 이름> •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가 192.168.6.254로 변경되었을 때는 다음 명령을 사용하면 된다. # route add default gw 192.168.6.254 dev eth0

  48. 5. 네트워크 관련 설정 및 명령어 • 넷마스크 & 클래스 • 넷마스크 : 네트워크의 규모를 결정한다. • 본 교재에서는 사설 네트워크에서 C 클래스를 사용하므로 넷마스크 255.255.255.0를 사용한다. •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네임 서버) 주소 • 인터넷을 사용할 때 www.daum.net과 같은 URL을 해당 컴퓨터의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서버 컴퓨터다. • DNS 서버의 주소를 사용하지 않거나, 잘못 입력되어 있으면 정상적인 웹 서핑이 되지 않으므로 올바른 정보를 설정해야 한다. • 설정 파일은 /etc/resolv.conf며, 내용 중에 “nameserver <DNS 서버 IP>”로설정되어 있다. • Vmware를 사용하면 Vmware가 게이트웨이, DHCP 서버, DNS 서버의 역할을 모두 맡는다.

  49. 5. 네트워크 관련 설정 및 명령어 • 리눅스에서의 네트워크 장치 이름 • 랜 카드(네트워크 카드)가 리눅스에 장착이 되었을 때, 리눅스는 이 네트워크 장치를 eth0, eth1,등으로 인식하게 된다. 대개의 컴퓨터는 네트워크 카드를 1개 또는 2개를 설치하므로 세 번째 네트워크 장치를 의미하는 eth2는 거의 사용할 일이 없다. • 중요한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 네트워크와 관련된 명령어는 많이 있지만, 주로 사용될 명령어는 몇 개 되지 않는다. • system-config-network • DHCP 클라이언트 또는 고정 IP 주소 사용 결정 •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 웨이 정보 입력 • DNS 정보 입력 • 네트워크 카드 드라이버 설정 • 네트워크 장치(eth0) 설정

  50. 5. 네트워크 관련 설정 및 명령어 • system-config-network-tui • system-config-network와 같은 명령어지만 텍스트 기반으로 작동한다. • service network restart • 네트워크의 설정을 변경한 후에, 변경된 내용을 시스템에 적용하는 명령어다. • ifconfig <장치 이름> • 해당하는 장치의 IP 주소 설정 정보를 출력해 주는 명령어다. • nslookup • DNS 서버의 작동을 테스트하는 명령어다. • ping • 해당 컴퓨터가 네트워크에서 응답하는지를 테스트하는 간편한 명령어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