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 likes | 1.56k Views
종합원가계산. 지난 강의 내용. 원가회계와 관리회계 원가의 개념과 원가의 흐름 개별원가계산 주문생산 , 특정제품별로 원가집계 , 제조간접비배부 4. 부문별원가계산 5. 활동원가계산. 1-1. 종합원가계산의 의의. 종합원가계산. 개별원가계산 (3 장 ). 동종 ( 단일 ) 제품이 반복적 / 연속적 생산 프로세스를 통해 대량으로 생산되는 상황에 적합한 원가계산 방식 각 제조부서나 공정별로 원가가 누적되어 제조원가보고서를 작성 [cf. 개별원가계산은 주문 받은 각 작업별로 원가계산 ]
E N D
지난 강의 내용 • 원가회계와 관리회계 • 원가의 개념과 원가의 흐름 • 개별원가계산 • 주문생산, 특정제품별로 원가집계, 제조간접비배부 4. 부문별원가계산 5. 활동원가계산
1-1. 종합원가계산의 의의 종합원가계산 개별원가계산(3장) • 동종(단일)제품이 반복적/연속적 생산 프로세스를 통해 대량으로 생산되는 상황에 적합한 원가계산 방식 • 각 제조부서나 공정별로 원가가 누적되어 제조원가보고서를 작성 [cf. 개별원가계산은 주문 받은 각 작업별로 원가계산] • 연속적인 생산공정을 따르기 때문에 제품이 1단위씩 구분되지는 않음. • 동일한 평균원가가 제품 1단위에 할당 • 전형적 업종: 정유, 석유화학, 식품 등
1-2. 종합원가계산의 개요 • 기본가정 • 특정기간 동안에 특정공정에서 생산된 산출물은 경제적인(원가) 측면에서 각 단위가 동일 • 개념 • 평균화(averaging) : 제품의 단위원가는 투입된 제조원가를 생산된 수량으로 나누어 계산 1.1 기간별 원가계산 • 원가계산 기간을 설정(보통 1개월)하여 한 기간의 발생한 원가와 생산량을 파악하여 제품의 원가를 계산 한기간 제품제조원가 한기간 제품생산량 = 제품 단위당 제조원가
1-2. 종합원가계산의 개요 1.2 제조원가의 분류 • 1. 투입시기가 서로 상이 • 재료: 공정초 또는 공정말에 투입 • 가공비: 공정 진행에 따라 순차적으로 투입 • 2.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경우 노무비와 제조간접비를 제품별 추적이 어려움. • ∴노무비와 제조간접비는 전공정을 통하여 균등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 직접재료비 직접재료비 Why? 직접노무비 가공비(전환원가) 제조간접비
1-2. 종합원가계산의 개요 1.3 원가계산의 초점 • 기말재공품의 평가[ cf. 개별원가계산 : 제품별 제조간접비 배부 ] • 생산 종료시점 =원가계산기간 ( 기말 재공품이 존재하지 않음 ) • 생산 종료시점 ≠ 원가계산기간 ( 기말 재공품이 존재함 ) How? 기초 재공품원가 기중 제조비용 제품제조원가 기말재공품 원가 1. 기말재공품원가를 결정(∴ 재공품의 평가는 중요한 과정이다.) 2. (기초재공품원가 + 당기 발생원가) – 기말재공품원가 = 당기 제품제조원가
1-2. 종합원가계산의 개요 종합원가계산의 종류 • 제품의 종류에 따른 분류 • 단일제품 종합원가계산: 단일종류의 제품생산시 이용 • 조별 종합원가계산: 복수종류의 제품생산시 이용 • 공정의 수에 따른 분류 • 단일공정 종합원가계산: 공정의 수가 하나인 경우 • 공정별 종합원가계산: 공정의 수가 두 개 이상인 경우
2. 종합원가계산의 절차 ㈜ 신림냉동은 2006년 1월 1일 설립하여 동일한 제품을 생산하므로 종합원가계산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2006년 2월의 자료는 다음과 같다. 당월 생산 착수량 : 10,000개 제품 완성량: 7,000개 기말재공품: 3,000개(완성도 40%) 당월 발생원가: 직접재료비 \300,000 직접노무비 \ 73,800 제조간접비 \ 90,200 [1단계] 물량흐름의 파악 [2단계] 원가요소별 완성품 환산량 계산 [3단계] 기초재공품원가와 당기 발생원가의 요약 [4단계] 원가요소별 완성품 환산량 단위원가 [5단계] 완성품원가와 기말재공품원가 계산
2. 종합원가계산의 절차 [1단계] 물량흐름의 파악 당월 생산착수량 10,000개 제품완성량 7,000개 기말재공품 3,000개 [2단계] 원가요소별 완성품 환산량 계산 ※ 완성품 환산량(equivalent units): 제품의 완성정도 투입 직접재료비와 가공부를 완성품과 기말재공품에 배부하기 위한 배부기준 완성품 환산량 = 재공품의 물량 × 완성 정도(%)
2. 종합원가계산의 절차 [3단계] 기초재공품원가와 당기 발생원가의 요약 [4단계] 원가요소별 완성품 환산량 단위원가
2. 종합원가계산의 절차 [5단계] 완성품원가와 기말재공품원가 계산 완성품원가 : 직접재료비 : 7,000 × @\30 = 210,000 직접노무비 : 7,000 × @\9 = 63,000 제조간접비 : 7,000 × @\11 = 77,000 \350,000 기말재공품원가: 직접재료비 : 3,000 × @\30 = 90,000 직접노무비 : 1,200 × @\9 = 10,800 제조간접비 : 1,200 × @\11 = 13,200 \114,000 당기 제품 제조원가 = 464,000 - 114,000 = \350,000 ※ 직접노무비 + 제조간접비 = 가공비 ∴ 환산량도 동일하고, 환산단위원가는 단위당 20원으로 1,200개 × @20원으로 \24,000이다. 차) 재공품 464,000 대) 직접재료비 300,000 직접노무비 73,800 제조간접비 90,200 차) 제품 350,000 대) 재공품 350,000
3. 기말 재공품의 평가 원가 흐름에 대한 일정한 가정 • 선입선출법 • 평균법 • 후입선출법 • 평가생략법 기초 완성 당기 기말 기초 + 당기 완성 기초 완성 완성 당기 기말 기말 총완성품환산량 당기완성품환산량
3. 기말 재공품의 평가(평균법) • 평균법(=가중평균법, weighted average method) • 기초재공품원가와 당기투입원가를 구분하지 않고 이를 합(가중평균)하여 당기완성품과 기말재공품에 완성품환산량에 비례하여 배분하는 방법 따라서, 기초재공품도 당기에 착수되어 당기에 완성된 것으로 간주 • 특징 • 전기와 당기의 작업을 구분하지 않는다. • 전기와 당기의 수량과 원가를 구분하지 않는다. • 총완성품환산량 = 당기완성품수량 + 기말 재공품완성품환산량 • 장점 • 전기와 당기의 원가가 가중평균되어, 당기 완성된 모든 제품의 원가가 동일하게 되므로 회계기록이 간편 . • 단점 • 관리측면에서 한 기간동안의 각 공정의 업적을 정확하게 표시하지 못함.
3. 기말 재공품의 평가(평균법) 신림공업사의 3월 원가자료는 다음과 같다. 직접재료는 공정시점에 투입되고 가공비는 전공정을 통하여 균등하게 발생한다. 기초재공품: 수량 5,000개(완성동 30%) / 재료비 \125,000 가공비 \53,400 계\178,400 당기생산착수량: 10,000개 / 재료비\250,000 가공비 \210,600 계\460,600 완성품 수량: 12,000개 기말재공품 수량: 3,000(완성동 40%) [1,2단계] 물량흐름과 완성품 환산량 계산
3. 기말 재공품의 평가(선입선출법) 신림공업사의 3월 원가자료는 다음과 같다. 직접재료는 공정시점에 투입되고 가공비는 전공정을 통하여 균등하게 발생한다. 기초재공품: 수량 5,000개(완성동 30%) / 재료비 \125,000 가공비 \53,400 계\178,400 당기생산착수량: 10,000개 / 재료비\250,000 가공비 \210,600 계\460,600 완성품 수량: 12,000개 기말재공품 수량: 3,000(완성동 40%) [3,4,5단계] 완성품원가와 기말재공품원가
3. 기말 재공품의 평가(평균법) 신림공업사의 3월 원가자료는 다음과 같다. 직접재료는 공정시점에 투입되고 가공비는 전공정을 통하여 균등하게 발생한다. 기초재공품: 수량 5,000개(완성동 30%) / 재료비 \125,000 가공비 \53,400 계\178,400 당기생산착수량: 10,000개 / 재료비\250,000 가공비 \210,600 계\460,600 완성품 수량: 12,000개 기말재공품 수량: 3,000(완성동 40%) [3,4,5단계] 완성품원가와 기말재공품원가
3. 기말 재공품의 평가(선입선출법) • 선입선출법(fist-in first-out, FIFO) • 먼저 투입된 것(기초재공품)이 먼저 완성된다는 전제하에 기말재공품을 평가하는 방법 • 기초재공품은 당기에 모두 완성되고 기말재공품은당기에 투입된 재공품으로만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 • 당기완성제품에 포함된 기초재공품과 당기 완성품의 각 구성부분이 원가계산 목적상 그 실질이 동일하지 않다고 가정하는 것 • 즉, 기초재공품원가와 당기 발생원가를 분리하여 집계함. • 특징 • 원가계산 목적상 그 성격이 상이한 두 묶음의 원가를 구분하여 측정하며 당기 발생원가는 당기에 수행한 작업량에 완성품환산량에만 배분 • 총완성품환산량 의 구성 • 기초재공품을 완성하는데 수행한 작업량의 완성품환산량 • 당기 착수/당기 완성된 제품의 수량 • 기말재공품을 위해 수행한 작업량의 완성품 수량 • 당기완성환산량 계산 • 당기완성품환산량 = 당기완성품 + 기말재공품환산량 -기초재공품환산량
3. 기말 재공품의 평가(평균법) [1,2단계] 물량흐름과 완성품 환산량 계산
3. 기말 재공품의 평가(선입선출법) [3,4단계] 완성품원가와 기말재공품원가 [5단계] 완성품원가와 기말재공품원가
3. 기말 재공품의 평가(평균법VS선입선출법) 평균법과 선입선출법의 비교 • 평균법 • 기초재공품원가와 당기발생원가를 구별하지 않으므로 원가계산이 비교적 간단 • 원가가 가중평균되므로 정확한 당기의 원가자료를 산출할 수 없음. • 선입선출법 • 기초재공품원가와 당기발생원가를 구별하므로 원가계산이 복잡 • 전기와 당기의 성과가 명확히 구분-원가통제, 성과측정을 위한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 • 원가변동이 크지 않는 경우(생산요소의 가격수준, 재고수준이 안정적인 경우) • 두 방법의 차이가 별로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대부분 평균법을 사용한다. • 원가변동이 큰 경우 • 물가상승시 기말재공품평가액 ⇒ 평균법 < 선입선출법 • 물가하락시 기말재공품평가액 ⇒ 평균법 > 선입선출법 .
4. 공정별 종합원가계산 ※ 자공정비 제 1공정에서의 제조원가에 포함되며, 그 공정에서의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가 포함. ※ 전공정비(transferred-in costs) 다음 공정으로 대체되는 앞공정의 완성품원가로서 공정착수시점에서 모두 투입되는 재료비와 비슷한 성격 공정별로 원가를 계산하는 이유는? 각 공정의 효율적인 원가관리와 제품원가계산의 정확성을 위하여
4. 공정별 종합원가계산 A사는 종합원가계산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제품은 두 개의 연속공정(조리공정→통조림공정)을 거쳐서 완성된다. 2006년 5월의 원가자료에 의하여 회계처리를 하고 제조원가보고서를 작성하시오. 차) 재공품-1 510,000 대) 재료 877,000 재공품-2 367,000 차) 재공품-1 190,000 대) 노무비 350,000 재공품-2 160,000 (미지급임금) 차) 재공품-1 380,000 대) 제조간접비 620,000 재공품-2 240,000 (제계정) 차) 재공품-2 1,010,000 대)재공품1- 1,010,000 차) 제품 1,770,000 대) 재공품-2 1,770,000 • 공정별 기말 재공품원가 • 제1공정 : 80,000+(510,000+190,000+380,000)-1,010,000 = 150,000 • 제2공정 : 43,000+(367,000+160,000+1,010,000)-1,770,000 = 5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