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 likes | 423 Views
노동부 웹 접근성 구축 사례. Ⅰ. 웹 접근성의 이해 Ⅱ. 웹 접근성 구현 Ⅲ. 웹 접근성 구현 결과 Ⅳ. 앞으로. Ⅰ. 웹 접근성의 이해. 공평한 웹 웹 접근성 웹 접근성 실무. 공평한 웹. 나의 눈. 공평한 웹. 다른이의 눈. 웹 접근성. 모든 사용자. 모든 환경. 웹 접근성. 장애인. 노약자. 일반인. 다양한 브라우저 및 기기. 다양한 웹 브라우저에서 동등한 정보제공 (IE, Firefox, Opera, Safari 등 )
E N D
Ⅰ.웹 접근성의 이해 • Ⅱ. 웹 접근성 구현 • Ⅲ. 웹 접근성 구현 결과 • Ⅳ. 앞으로...
Ⅰ. 웹 접근성의 이해 • 공평한 웹 • 웹 접근성 • 웹 접근성 실무
공평한 웹 나의 눈
공평한 웹 다른이의 눈
웹 접근성 모든 사용자 모든 환경 웹 접근성 장애인 노약자 일반인 다양한브라우저 및 기기 • 다양한 웹 브라우저에서 동등한 정보제공 (IE, Firefox, Opera, Safari 등) • 모든 보조기기를 통해 동등한 정보 이용 가능 (스크린리더, 점자키보드 등) • 시각, 청각, 지체, 색약, 색맹 장애를 가진 사용자 • 고령자, 컴퓨터 사용 초보자 • 비장애인 등 모든 사용자 장애인, 고령자 등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구축하는 것
웹 접근성 실무 웹 접근성 웹 표준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국가 표준 기술가이드라인 지표기준 정보소외 계층 정보접근 강화 - 사회적 약자(장애인, 노인 등) / - 기술적 약자(인터넷 초보자, 저사양 PC, 이질적 SW사용자 등) 배려 Accessibility WEB Accessibility 보편적 디자인 Universal Design Standard • 휴머니즘과 감성이 느껴지는 이러한 사고방식은 혁신적인 디자인을 가능하게 함 • 누구나 공평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 사용하는데 자유도가 높을 것. • 사용법이 간단해서 바로 알 수 있을 것. • 필요한 정보를 바로 이해할 수 있을 것. • 실수나 위험으로 이어지지 않을 디자인일 것. • 무리한 자세를 취하지 않고 작은 힘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을 것. • 접근하기 쉬운 공간과 크기가 확보되어 있을 것. 개방형 인터넷 표준_권고안 (W3C) 을 준수하여 옳바른 문법작성표현언어(HTML)와 디자인(CSS)을 분리하여 문서의 논리적 구조화, 웹 접근성 준수, 유지보수 용이성 제고
웹 접근성 구현 사 업 : “노동부 홈페이지 개편 사업” 사업 기간 : 2008년 08월 05일 부터 2008년 11월 30일 까지 추진 업무 : • 특수계층 이용자 사용 기능개선 • 홈페이지설문조사 기능 등 기능 개선 • FAQ 표준화 • 웹 접근성 품질마크 획득 추진 부서 : 노동부 정보화담당관실
웹 접근성 구현 분석 계획수립 • 요구사항정의 • 현 시스템 및 홈페이지 분석 • 우수사례 분석 • 개발 인력 모두 참석한 웹 접근성 회의 개최 • 선행 개발페이지 대상 웹 접근성 준수여부 평가 • 사업계획 및 제안요청서 작성 • 사업수행계획서 작성 • 착수보고 • 일정수립 설계 • 메뉴구조 설계 • 화면 설계 완료 • 메인 시안 • DB 및 컴포넌트 설계 • 콘텐츠 수집 및 편집 • 웹 표준 정책 수립 • 웹 접근성 교육(내부) • 개발표준 수립 • 웹 스타일 가이드 수립 테스트 구현 • 단위 프로그램 테스트 및 통합 테스트 • 웹 접근성 자동화 툴 검사(KADO-WAH) • 전문가 및 사용자 평가 • 크로스 브라우징 테스트 • 웹 접근성 품질마크 심사 • 개발 표준 준수하여 프로그램 구현 • 스타일가이드 기반의 페이지 디자인 • 웹 접근성 지침 준수 제작
구현시 문제점 • 기존에 제작된 동영상의 자막 파일 유실 • 접근성을 고려하지 않은 콘텐츠 제공 (홍보자료, 검색결과 등) • 사업무서 및 사이트 구축사 인력들의 접근성에 대한 인식 부족 • 웹 접근성에 대한 오해 • 사업부서의 요구사항 중 기능, 홍보 위주의 요구사항과이와 관련된 웹 접근성 품질마크 획득을 위한 구축부서의 딜레마
웹 접근성 구축 결과 한국형 웹콘텐츠 지침(KWCAG 1.0) 준수 웹 접근성 실태조사 조사개요 • 주관 : 행정안전부 • 기간 : 2008. 10월 ~ 2009. 1월 • 조사방법 : 전문가 평가 조사결과 • 노동부 웹 사이트는 웹 접근성 지침의 준수율이 우수하나, 일부 항목에 대한 보완 필요 • - 키보드만으로 운용 가능, 데이터 테이블 구성 등을 웹 접근성 지침에 맞도록 보완 • 웹 접근성 자동평가 결과 : 100% • 전문가 평가결과 : 94점 ※ 2009년 1월 행정안전부 웹접근성 실태조사 결과
웹 접근성 구축 결과(계속) 인식의 용이성 (3개 항목, 17개 체크 리스트) : 43점 / 43점 • 텍스트 아닌 콘텐츠의 인식이 용이함 • - 이미지를 설명하는 대체 텍스트가 적절하게 제공되고 있어 시각장애인 등 이미지를 인식하기 어려운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를 인식하기 용이함 •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음성 내용과 동일한 원고를 제공하고 있음 • - 음성을 들을 수 없는 환경에 있는 사용자나 청각장애인 등이 동영상 콘텐츠를 인식할 수 있음 메인페이지(동영상에 대한 원고 제공) 메인페이지(적절한 대체 텍스트 제공) 개선사항 • 향후에도 텍스트 아닌 콘텐츠에 대한 대체 텍스트를 반드시 제공해야 함 •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음성 내용과 동일한 원고를 제공하고 있으나 웹 접근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동가화된 자막 제공이 바람직함
웹 접근성 구축 결과(계속) 운용의 용이성 (6개 항목, 19개 체크 리스트) : 24.1점 / 25점 • 키보드만으로 대부분 콘텐츠의 기능을 운용할 수 있으나, 일부 콘텐츠에 보완이 필요함 • - 주(상단) 메뉴의 경우 키보드만으로 서브메뉴를 이용할 수 없음 • 스킵(skip) 네비게이션 링크를 제공함 • - 각 페이지에서“본문 바로가기”등 핵심 콘텐츠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함 메인페이지(skip 네비게이션 사용) 알려드립니다(키보드만으로 콘텐츠 사용 불가능) 개선사항 • 키보드만으로 모든 콘텐츠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제작해야 하며, 탭 메뉴는 활성화에 의해 상황이 바뀌도록 해야 함 • 향후에도 운용의 용이성 항목을 준수하여 제작해야 함
웹 접근성 구축 결과(계속) 이해의 용이성 (3개 항목, 18개 체크 리스트) : 19.8점 / 22점 • 온라인 서식 구성이 적절하여 해당 서식을 이해하기 용이함 • - <label> 태그를 사용하여 입력 필드내에 고유한 속성을 나타내고 있음 • 데이터 테이블 구성 • 데이터 테이블은 테이블을 구성하는 데이터 셀의 내용에 대한 정보가 충분히 전달될 수 있어야 한다. <caption>알림 게시판</caption> <thead> <tr> <th class="num">번호</th> <th scope="col">제 목</th><th scope="col" class="name">담당부서</th> <th scope="col" class="date">등록일</th> <th scope="col" class="file">첨부</th> <th scope="col" class="inq">조회</th> </tr> </thead> • 온라인 서식 구성 • 온라인 서식을 포함하는 콘텐츠는 서식 작성에 필요한 정보, 서식구성요소, 필요한 기능 등 서식과 관련한 모든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dt class="first"><strong>*</strong> <label for="name">등록자</label></dt> <dd class="first"><input name="name" id="name" class="name" type="text" title="등록자"></dd> <dt><strong>*</strong> <label for="email">이메일</label></dt> <dd><input name="email" id="email" type="text" class="email" title="이메일"></dd> 개선사항 • 향후에도 온라인 서식을 제공할 경우 서식 제어 요소에 레이블을 제공해야 함
웹 접근성 구축 결과(계속) 기술적 진보성 (1개 항목, 5개 체크 리스트) : 7.1점 / 10점 • 신기술(스크립트, 플래시 등)을 사용한 콘텐츠는 자체적인 접근성이 미흡하고, 대체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음 • - 주(상단) 메뉴를 포함한 신기술 콘텐츠 부분은 키보드 및 보조기기로 접근이 불가능함 • - 신기술을 지원하지 않는 환경에서는 해당 콘텐츠가 사라지거나 작동하지 않으며, 동일한 내용을 전달할 수 있는 대체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음 메인페이지(대체 콘텐츠 미제공) 메인 페이지(키보드로 접근이 불가능한 메뉴) 개선사항 • 자바 스크립트, 애플릿, 플래시 등 신기술을 사용한 컨텐츠는 키보드 및 보조기기 등으로 이용 가능해야 하며, 해당 신기술을 지원하지 않는 사용자 환경에서도 콘텐츠 이용이 가능하도록 대체 콘텐츠를 제공해야 함
웹 접근성 구축 결과(계속) 웹 접근성 실태조사 체크 리스트
앞으로... 장애 없는 사이버 세상 콘텐츠 제작 • 웹 표준에 부합되는 콘텐츠 제작 • 다양한 브라우저 지원 인식 변화 웹 접근성 교육 • 웹 접근성은 장애인만을 위한 것이다. • 웹 접근성은 디자인 제약이 많다. • 웹 접근성은 비용이 크게 발생한다. • 수행사, 운영담당자 • 세미나 및 홍보 • 지속적 평가 및 의견 수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