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4

체액과 전해질

체액과 전해질. 연령 ↑ - 체액량 감소 태아 : 90% 소아 : 60~70% 노인 : 40% 체액량 – 지방조직의 양은 반비례 ( 지방 증가 - 세포내액 감소 ). → 영유아가 탈수에 민감한 이유. 지방조직의 수분 함유량은 다른 조직의 10%. 체액과 전해질의 균형. 수분 수분의 기능 세포의 형태 유지 용매로서의 기능 ( 물질 이동 ) 체내 화학반응의 매체 혈액량 유지 체내 삼투압 유지 체온조절 산소 , 영양분 , 노폐물 배설을 위한 운반작용.

jabari
Download Presentation

체액과 전해질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체액과 전해질

  2. 연령 ↑ - 체액량 감소 태아 : 90% 소아 : 60~70% 노인 : 40% • 체액량– 지방조직의 양은 반비례 (지방 증가 - 세포내액 감소) → 영유아가 탈수에 민감한 이유 지방조직의 수분 함유량은 다른 조직의 10%

  3. 체액과 전해질의 균형 • 수분 • 수분의 기능 • 세포의 형태 유지 • 용매로서의 기능(물질 이동) • 체내 화학반응의 매체 • 혈액량 유지 • 체내 삼투압 유지 • 체온조절 • 산소, 영양분, 노폐물 배설을 위한 운반작용

  4. 1일 수분 섭취량 : 2,500mL • 수분의 섭취와 배설 1일 배설 수분량 : 2,500mL

  5. 아무것도 먹지 않고 사람은 얼마나 살 수 있을까? • 물만 먹는다면 얼마나 버틸 수 있을까? 성인 10일, 소아 5일 생존 약 45일 생존 가능

  6. 기본 필수 수분 요구량 1,500mL/일 • 수분요구 - 생체 유지에 필요한 기본적 수분의 양 • 대사 산물의 배설(소변): 500mL/일(최저) • 불감성 손실 (피부/폐) : 1,000mL/일 • 더운 환경 노출 시(BT 1℃ ↑ - 300mL 수분요구) • 호흡 증가, 설사, 구토 시 : 5,000mL/일 - 수분 요구량 > 수분 섭취량 = 탈수(dehydration) • 체액량1% 손실 : 갈증 • 체액량5~8% 손실 : 기운 없음, 맥박, 체온↑, 의식장애 • 체액량11~15% 손실 : 섬망, 귀먹음, 신부전 • 체액량20%↑ 소실 : 순환부전, 신부전, 세포 내 삼투질 농도 증가 - celldeath-사망초래

  7. 전해질(Electrolyte) - 전해질 : 용매에 넣었을 시 이온으로 해리되는 물질 • 세포외액 전해질 농도 측정 : 혈장 이용 • 세포내액 전해질 측정 : 불가능 • 체액 내 포함된 양이온과 음이온은 전기적 균형을 이룸 양이온의 총 수 = 음이온의 총 수 • 체액 중의 중요 이온 양이온 : Na+, K+ , Ca2+, Mg2+ 음이온 : : Cl-, HCO3- , HPO4²- ECF와 ICF의 전해질 조성은 유사하나 포함된 양이 다르다.

  8. 혈장단백질의 수분조절 • 단백질 : 분자 구조 크다. (세포 내, 혈액 내에만 존재) • 음이온 성질, 교질형태 • 간질에 존재하지 않고 혈장 내에만 존재하는 특성으로 인해 교질삼투압(colloidosmotic pressure) 형성 : 혈관쪽으로 끌어 당기는 작용 ☞ 조직으로 수분 누출 막음 • 혈장단백질 : 혈장 100mL 당 6-8g 포함 albunin, globulin

  9. 화상(burn), 영양결핍(malnutrition), 신장 질환, 심질환 • 간질환(단백질 합성이 부족) → 부종(edma) ascites

  10. 체액과 전해질의 이동 • 혈관과 간질액사이의 물질 이동 • 얇은 모세혈관막(확산)

  11. ICF와 ECF 사이의 물질 이동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이동

  12. 수분과 전해질의 조절 기전 • 전해질 조절 • Na+ • 혈장에가장 많이 함유(혈장 삼투질 농도의 85%) • ECF의 주요 양이온 • NaHCO3 , NaCl의 형태로 존재 • 수분과 함께 이동 → 혈액량, 혈압에 영향 • 신장의 nephron에서 민감하게 조절

  13. 사구체 여과율의 변화 동맥압↑ ECF↑ C.O↑ 염분 섭취량↑ 사구체 모세혈관압↑ GFR↑ Na+ 배설 ↑

  14. Aldosterone에 의한 조절 Renin-angiotensin-aldosteron system aldosterone분비 자극 요인 • 혈중 Na+량 감소, 혈중 K+량 증가 • 신혈류량 감소 • 신동맥압 감소

  15. 심방이뇨호르몬 분비 (AtrialNatriuretic Peptide: ANP) • BP↑ 또는혈액량↑: 심방이 신전될 때 분비 • 작용 직접적 혈관 이완, renin-angiotensin system 억제 aldosterone 분비억제 사구체 여과율↑ ☞ 소변생성율과 수분 배설 ↑

  16. K+ • ICF의 주요 양이온 • 심근, 골격근의 안정막전위 형성 • Acid-base balance • 세포내 여러 효소의 활성에 기여 • 정상 ECF 농도 : 3.5~5mEq/L hyperkalemia – 심근세포의 흥분성 증가, 심장마비 hypokalmia – 부정맥 - K+요구량 : 40mEq/L (음식: 바나나, 오렌지, 건포도, 살구, 복숭아, 시금치) 인체는 K+ 을 효율적으로 배설/ 체 내 보존 X → 이뇨제 - 영향요인 : insulin, aldosteron, 섭취량, 산-염기 상태, Na+

  17. Insulin 근육, 간세포에서 포도당을 세포 내로 이동 시 따라 들어감 Insulin 결핍 → hyperkalemia • Aldosteron 원위세뇨관의Na+– K+ 활성화 →K+ 배출 • K+ 섭취량 섭취량 증가 시 : 배설량 증가 섭취량 감소 시 : 배설량 감소 • 산-염기 상태 alkalosis →hypokalmia acidosis →hyperkalemia • 이뇨제 사용으로 Na+배설증가→ hypokalmia

  18. Acid-base balance • 산(acid)은 자유수소이온(H+)을 내놓을 수 있는 물질 유기산(organic acid) : 지방산, 아미노산, 젖산, 피루빈산, 케톤산 등 Ex) H2PO4-, H2CO3, CH3COOH → H+ + HPO42-, HCO3-, CH3COO- • 염기(base)는 H+를 받아들이는 물질 Ex) HCO3-, HPO42-, lactate- H+ 과 결합하여 H2CO3, H2PO42- lactate→H2PO4-+젖산(lactic acid)

  19. 음식을 통해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체내 흡수 젖산, 피루빈산, 케토산, 황산 산(acid) 생성 물질 지방, 탄수화물 대사 시 CO2생성 H2O + CO2→ H2CO3→ H+ + HCO3- 대사과정에서 생성된 산은 일시적으로는 체액의 완충제(buffer)에 의해 흡수되나 최종적으로는 체외로 배출되어야 한다. 산의 배출 경로 → 폐와 신장 체액의 H+ 농도를 정상 범위로 유지

  20. 체액의 H+농도의표시 : pH pH는 H+ 농도의 -log값 H+ ↑ ---- 산성(산도 증가) H+ ↓-----알칼리성(염기) pH 높을수록 H+ 농도 저하(염기) pH 낮을수록H+ 농도 증가 (산) pH = = pk+log HCO3- HCO3- H2CO3 αPco2

  21. 체액의 산-염기 조절 • 화학적 buffer(완충제에 의한 조절) • 중탄산완충제(bicarbonate buffer) • 인산완충제(phosphate buffer) • 단백질완충제(protein buffer) • 생리적 buffer • 호흡에 의한 조절 • 신장에 의한 조절 : 시간이 오래 걸리나 강력함(1~2일)

  22. CO2분압 증가 →H+ 농도 증가 CO2분압 감소 → H+ 농도 감소 P CO2 40mmHg • 호흡에 의한 조절 CO2 + H2O ↔ H2CO3 ↔ H+ + HCO3- 동맥혈의 CO2 분압↑ H+농도 ↑ 폐환기(pulmonary ventilation)↑ → CO2 배출량 증가 불안장애(anxiety disorder) 환자 →과호흡(hyperventilation) CO2 분압↓ H+농도 ↓ ※ 호흡성알칼리증(respiratory alkalosis) 기관지천식(bronchial asthma)→ 만성 호흡 장애(hypoventilation) 만성기관지염(chronic bronchitis) CO2 분압↑ H+농도 ↑ ※호흡성산증(respiratory acidosis)

  23. 중탄산염 이온(HCO3-) 형태로 이동하는 CO2 세포 호흡 결과 발생한 CO2 모세혈관 → 적혈구로 확산 CO2 + H2O→ 탄산(H2CO3) ----→ H+ +HCO3- ↓ 물 + CO2 ← 탄산(H2CO3) ←-- H++HCO3- HCO3- - Cl- 운반단백질 탄산탈수효소 (carbonic anhydrase) Cl-과 교환 ↓ 혈장으로 이동 ↓ 정맥혈 : 폐모세혈관 ↓ 다시 적혈구로 유입 ↓ 혈색소와 결합된 H+과 재결합 Hb과 결합 ↓ 폐 호기 가스 환기량 변화에 의해 동맥혈의 PCO2, 를 40mmHg로일정하게 유지 혈액의 산-염기 평형 유지에 기여

  24. 체액의 pH가 변하였을 때 호흡성 보상 (respiratory compensation) • 당뇨환자(diabetes mellitus) 과도한 지방대사 →케톤체(ketone body) 생성 H+ 농도 증가 이를 보상하기 위한 깊고 빠른 호흡(Kussmaul respiration) • 신부전(renal failure)환자 신장의 H+ 배설능력 ↓ H+ 농도 증가 호흡 자극 체액의 H+ 농도가 증가되어 발생 대사성산증(metabolic acidosis)

  25. HCO3- 농도 증가 → H+의 농도 감소 HCO3- 농도 감소 → H+의 농도 증가 근위세뇨관/ 집합관 CO2 + H2O ↔ H2CO3 ↔ H+ + HCO3- 탄산탈수효소(carbonic anhydrase) 작용 • 신장에 의한 조절 화학반응 중 생성된 H+,HCO3- 는 이동 방향이 반대 H+: 근위세뇨관 (Na+-H+교환 pump) 집합관 (H+pump) 를 통해 세뇨관 내강으로분비 HCO3- : 간질 쪽으로 이동 분비된 H+ ① 사구체에서 여과된 HCO3- 와 결합 ② H+형태 ③ 사구체에서 여과된 HPO42-와 결합 ④ 신장상피세포에서 생성되어 내강으로 분비된 암모니아(NH3)와 결합된 형태로 배설

  26. 완충제에 의한 체액의 pH조절 • 중탄산완충제(bicarbonate buffer) • HCO3- • H2CO3 • 가장 중요한 세포외액의 완충작용 • 산-염기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유일한 지표 • 인산완충제(phosphate buffer) • HPO42- • H2PO4- → H+ + HPO42- • 단백질완충제(protein buffer) • 헤모글로빈의 Globin과 결합 • Protein - NH₂ + CO₂→ Protein - NHCOO + H⁺

  27. acid-base imbalance • 호흡의 장애 : 동맥혈의 PCO2 변화 • 당뇨, 구토 등의 대사 장애 : 동맥혈의 HCO3- 농도변화 • 호흡장애에 의한 산-염기 불균형 • 호흡성산증(respiratory acidosis) 기관지천식(bronchial asthma)→ 만성 호흡 장애(hypoventilation) 만성기관지염(chronic bronchitis) CO2 분압↑ H+농도 ↑ 신장에 HCO3- 의 재흡수를 증가 H+농도 증가 최소화 하려 함 Pco2 40mmHg 이상, HCO3- 24mEq 이상

  28. 호흡성알칼리증(respiratory alkalosis) 산소 부족 과호흡(hyperventilation)으로 CO2 분압↓ H+농도 ↓ 보상 : 신장에서 HCO3- 의 재흡수 감소H+농도 ↑ Pco2 40mmHg 이하, HCO3-24mEq 이하

  29. 대사장애에 의한 산-염기 불균형 • 대사성산증(metabolic acidosis) • 대사에 의한H+의 과도한 생성 당뇨환자 알코올중독자(chronic alcoholism) 오랫동안 음식을 섭취하지 못한 사람(chronic starvation) → 과도한 지방대사로 케톤체 생성 • 신장의 기능이상(H+의 배설 억제) 만성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환자 • HCO3-의 과도한 소실 설사 보상 : 호흡 증가 CO2 배출 촉진 HCO3-24mEq 이하, Pco2 40mmHg 이하(혹은 정상)

  30. 대사성알칼리증(metabolic alkalosis) • H+ 소실이 심한 경우 • 체액 소실이 심한 경우 • 알도스테론 분비가 과다하게 증가한 경우 → 구토(vomiting) 제한적 보상 : 호흡 억제 → CO2 증가 HCO3-24mEq 이상, Pco2 40mmHg 이상

  31. 동맥혈가스분석(arterial blood gas analysis; ABGA) pH, Pco2, HCO3-

  32. pH = = pk+log HCO3- HCO3- H2CO3 αPco2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