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 likes | 940 Views
다발성골수종의 새로운 약제 벨케이드 (Velcade ® ). 고려대학교 안암 병원 종양혈액내과 김 병수. 다발성 골수종 . 다발성골수종 발병 기전. 시대에 따른 치료 발전. 1990 년대 보존 치료법의 발전 : 적혈구 조혈인자. 1962 Prednisone + melphalan. 1999 thalidomide 최초보고. 2003 Thalidomide 인가. 멜팔란. 2000 년대 자가이식 2 회 시행. 1990 년대 골수파괴성 전처치요법 + 자가이식.
E N D
다발성골수종의 새로운 약제 벨케이드 (Velcade®) 고려대학교 안암 병원 종양혈액내과 김 병수
시대에 따른 치료 발전 1990년대 보존 치료법의 발전: 적혈구 조혈인자 1962 Prednisone + melphalan 1999thalidomide 최초보고 2003 Thalidomide 인가 멜팔란 2000년대 자가이식 2회 시행 1990년대 골수파괴성 전처치요법+ 자가이식 벨케이드미국 인가2003EU 인가 2004.4
다발성골수종의 연령별 발생 빈도 진단 당시의 나이 이 시기의효과적인 치료는? 고용량 치료 가능 55 60 65 70 나이
기존 항암치료 100 생존율 % 50 중앙생존기간= 24 - 30 개월
벨케이드(VELCADE®) • 최초로 임상에 적용된 프로테아좀 억제제 • 암 치료의 새로운 기원 • 종양의 생존과 성장에 심대한 효과
Mechanism of Action of VELCADE The 26S proteasome is alarge protein complex that degrades tagged proteins 1 Bortezomibis a reversible inhibitor of the chymotrypsin-like activity of the 26S proteasome 2 Inhibition of the 26S proteasome prevents proteolysis of tagged proteins which can affect multiple signaling cascades with the cell 3 Nonclinical studies showed bortezomib to be cytotoxic to a variety of cancer cell types 4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2003. Adams J. Drug Discov Today. 2003;8:307-315.
다발성 골수종에서 벨케이드 치료 시점? 유도 재발 관해 M-단백
불응성 다발성 골수종에서 벨케이드 치료 성적 • With Doxorubicin1 24 명 환자…..77% 전체반응율(OR) • With Thalidomide2 56 명 환자…..70% 전체반응율 • With Melphalan3 18 명 환자 (escalating dose)……67% 전체반응율 • Ortowsky R. ASH 2003, abstract 1639 • Zangari, ASH 2003, abstract 830 • Berenson, EHA 2004, abstract 1216
재발성 골수종에서 3상 임상 시험: 벨케이드 vs. 고용량 덱사메타존 Induction 벨케이드 1.3 mg/m2 IV push D1, 4, 8, 11 q 3 week cycle (total 8 cycles) 덱사메타존 40 mg PO D1-4, 9-12, 17-20 q 5 week cycle (total 4 cycles) Maintenance 벨케이드 1.3 mg/m2 IV push D1, 4, 8, 11 q 5 week cycle (total 3 cycles) 덱사메타존 40 mg PO D1-4 q 5 week cycle (total 5 cycles) TTP 6.2 mon, 1yrSR% 80%, RR 38% TTP 3.5 mon, 1yrSR% 65%, RR 18%
처음 진단된 다발성 골수종에서 벨케이드 치료 성적 • Alone or with dexa1 32명환자 : 88% 전체반응율 (22% CR/near CR, 42% PR) 6주기 완료 후 • PAD (velcade, adriamycin, dexamethasone) 2 21명 환자: 95% 전체 반응율 (57% CR/near CR) 4주기 완료 후 • Jagannath, ASH 2004. Abstract • Cavenagh, ASH2004, Abstract
벨케이드의 장점 • Safe combinations at meaningful doses • Melphalan, Thalidomide, Doxil, Adriamycin, Dexamethasone, Adria/Dex • Significant efficacy front-line • Single agent, w Dex, w Adria/Dex • Front-line toxicity profile • Mostly Grade 1 and 2 • Neuropathy in 35% • No impact on bone marrow harvesting or engraftment reported thus far-data needs to be closely examined
55 오심 44 설사 16 변비 27 * 구토 Grade 1-2 25 식용부진 Grade 3 40 혈소판감소증 21 Grade 4 빈혈 19 호중구감소증 41 피료 31 말초신경병증 22 발열 19 두통 0 20 40 60 80 100 % Incidence 주요 부작용(N=202) *One patient reported Grade 4 vomiting; this value is equivalent to <1%.Adapted from data in Richardson P et al. N Engl J Med. 2003;348:2609-2617.
벨케이드 사용환자에서 혈소판수 변화 혈소판수 1 1 4 8 11
VELCADE 보험 약가고시 일자 : 2005년 1월 15일시행 일자 : 2005년 2월 1일 약제 상한 금액 : 1,144,673원 • 허가 사항두 가지 이상의 치료를 실시한 후에도 질병이 진행하는 다발성 골수종 • 의료 보험 요양 급여 기준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허가사항 범위이지만 동 인정기준 이외에 투여한 경우에는 약값의 100분의 100을 본인부담토록 함가. 대상환자 다음 표준 치료 중, 2가지 이상에 실패한 환자 1)Anthracycline 복합화학요법 (VAD 등) 2)Stem-cell transplant (조혈모세포이식술) 3) Alkylating agent(MP 등) 치료※ 표준치료 실패의 정의기존 치료 중 악화되거나, 치료 완료 후 60일 이내에 진행된 경우나. 평가방법-매 2~3주기마다 평가하여 부분 관해 이상의 효과가 있는 경우, 다음주기 급여인정 -부분관해 이상의 효과가 지속되는 경우, 최대 8주기까지 급여인정
향후 과제 • 어느 시점에서부터 치료에 적용될 것인가? • 가장 효과적인 병합요법은 무엇인가? • 이식 전처치 요법으로서의 효과적인 사용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