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9

LED 조명시장 조사

LED 조명시장 조사. 2009. 6. LED 시장동향 및 전망. 1. 세계 LED 시장 동향 및 전망. 1. 세계 LED 시장 동향 및 전망. 1) LED 시장 : 연평균 30% 성장 ( ‘07 : 140 억불 ‘15 : 1 천 억불 ). * 자료 출처 : 한국광기술원 분석. ▶ 미 , 독 , 일 3 국이 세계시장의 2/3 점유 ▶ 한국은 세계시장 8.3% 점유 ( 5 위 ). 1. 세계 LED 시장 동향 및 전망. 2) 전세계 LED 시장 규모.

Download Presentation

LED 조명시장 조사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LED조명시장 조사 2009. 6

  2. LED 시장동향 및 전망 1. 세계 LED시장 동향 및 전망

  3. 1. 세계 LED시장 동향 및 전망 1) LED 시장 : 연평균 30% 성장 ( ‘07 : 140억불 ‘15 : 1천 억불) * 자료 출처 : 한국광기술원 분석 ▶ 미, 독, 일 3국이 세계시장의 2/3 점유 ▶한국은 세계시장 8.3% 점유 ( 5위)

  4. 1. 세계 LED시장 동향 및 전망 2) 전세계 LED시장 규모 ▶LED 일반조명은 2007년 전체 LED시장의 12%를 차지하고 있고, 이용이 증가하여 2011년에는 그 비중이 17%에 이를 전망

  5. 1. 세계 LED시장 동향 및 전망 LED산업 SEGMENT별 세계시장전망

  6. 1. 세계 LED시장 동향 및 전망 LED제품 국가별 수출입 동향(2007년)

  7. 1. 세계 LED시장 동향 및 전망 3) 응용분야별 LED시장 전망

  8. 1. 세계 LED시장 동향 및 전망 4) 응용분야별 LED시장 성장율

  9. 1. 세계 LED시장 동향 및 전망 5) 응용분야별 LED 세계시장 비중 (단위 : %) * 자료 :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2008. 6) LED시장 동향

  10. 1. 세계 LED시장 동향 및 전망 6) LED조명 광원 시장 성장 전망

  11. 1. 세계 LED시장 동향 및 전망 7) 세계 조명시장 전망 자료: Philip, w.(2007.11.2) OIDA Market Forcast for Solid State Lighting, WRT Associates.

  12. 세계 LED시장 동향 및 전망 세계 조명시장 전망 ▶ 세계조명시장 규모는 ’07년 800억불 수준(’15년 1,100억불, LED/OLED 제외) ○ 아시아(34%), 북미(28%), 서유럽(24%)이 세계 조명시장의 86%를 형성  중국(;06년 96억불)은 아시아 시장의 36% 점유, 일본(’06년 79억불)은 30%, 한국(’06년 20억불)은 7.7% 점유 ▶중국, 동남아시아 등 신흥 공업국의 조명산업 급성장 조명전문 대단지 Cluster화 - 중국의 중산시에 약 1,800 업체 입주, 세계시장 공략 가속화 • LED조명은 ’04년 1.74억붕 수준에서 ’15년에는 16억불 규모(37.6%/년), OLED시장 규모는 • ’05년 7.38억불 수준에서 ’15년 66억불 규모로 성장 전망(30%/년) * Source : Fridonia, HB LED Market Review & Forecast Strategies Unlimited(‘05), 아이서플라이

  13. 1. 세계 LED시장 동향 및 전망 8) 세계 LED시장 점유률(2005년)

  14. 1. 세계 LED시장 동향 및 전망 9) 주요국가의 정부지원정책 미국 세계 조명시장 50% 점유율 목표로 ‘20년까지 200lm/w조명 개발 일본 2010년까지 조명 에너지의 20% 절감 계획 중국 ’08베이징올림픽을 빛의 올림픽으로 선포 LED조명 도시화 추진 : 심천, 샤먼, 대련, 상해, 남창 • 선진기업들의 시장진입장벽 강화 • - 후발기업에 대한 특허소송 빈도 증가 • - 상호간 전략적 M & A, 특허제휴

  15. 1. 세계 LED시장 동향 및 전망 10) 세계 3대 메이저 LED업체 • 오스람(독) : Osram Opto Semiconductor에서 에피, 칩, 패키지를 담당하고 • 조명기구는 자사가 담당 • GE(미)는 GE Lumination(구 Gelcore)를 통해 LED조명기구 시장에 진출했고, • 에페, 칩,패키지는 니치아(일)와 전략적 제휴 • 필립스(화)는 Lumileds에서 에피,칩,패키지, Color Kinetics에서 시스템, • Genlyte에서 조명기구 디자인 및 제조를 담당. LED조명의 공급망과 주요업체의 수직통합 구조

  16. 1. 세계 LED시장 동향 및 전망 11) 세계 LED관련 특허 라이선싱 현황 에버라이트(대만) 라이트온(대만) 하바텍 오스람(독일) 야쉰 루미네즈 (필립스계열) 레드니엄 니치아(일본) 도요타합성(일본) 삼성전기(한국) 크리 로움 코트코 스탠리 킹브라이트(대만)

  17. 1. 세계 LED시장 동향 및 전망 12) 주요 업체의 시장점유 현황

  18. 1. 세계 LED시장 동향 및 전망 13) 주요국가의 정부지원정책 미국 ▶Next Generation Lighting Initiation(Vision 2020) ○ 세계 조명시장 50% 점유율 목표로 ‘20년까지 200lm/w 조명 개발 ▶21세기 광 Project ○ 2010년까지 조명 에너지의 20% 절감 계획 ○ 백색 LED를 이용한 반도체 조명계획 수립 (최종목표 120lm/w) 일본 ▶중국 5개 지역에 “국가 반도체조명 산업화 기지” 지정 육성 (심천, 샤먼, 대련, 상해, 남창) ▶제13차 국가경제개발계획에 LED 및 반도체 조명산업 육성 포함(‘5년 7월) 중국 • 선진기업들의 시장진입장벽 강화 • - 후발기업에 대한 특허소송 빈도 증가 • - 상호간 전략적 M & A, 특허제휴

  19. LED 시장동향 및 전망 2. 국내 LED산업 현황 및 당면과제

  20. 2. 국내 LED산업현황 및 당면과제 1) LED 국내시장 규모

  21. 2. 국내 LED산업현황 및 당면과제 국내시장 조명등 시장규모 ▶ 산업규모 2조 1,500억원(세계 27위, 약 2% 점유, LED/OLED제외) - 시장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 추세이나 광원분야에서는 수입증가로 무역역조 심화 - 중국의 급부상 및 현지 공장 이전 러쉬로 공동화 현상 초래 ▶대부분 영세기업 구조로 연구개발 투자가 미흡 핵심 원천기술은 초보단계 • LED의 경우, ’06년 기준 약 4천억원 수준(세계 5위, 약 4.7% 점유), ’15년에는 약 1조 7,000억원 • 의 시장 전망(Mobile, 교통, 자동차용 등 포함), OLED규모는 ’14년에는 약2조 7,000억원으로 전망 * 국내 LED의 경우 파워 LED 등이 적용되는 시장만 고려. 전자부품, 신호등 등은 제외되었음

  22. 2. 국내 LED산업현황 및 당면과제 2) 국내 LED공정기술별 현황 및 전망 한국광기술원/한환증권리서치 센타

  23. 2. 국내 LED산업현황 및 당면과제 3) 국내 LED 제조업체의 Value Chain

  24. 2. 국내 LED산업현황 및 당면과제

  25. 2. 국내 LED산업현황 및 당면과제 4) LED광원의 전기절감 효과

  26. 2. 국내 LED산업현황 및 당면과제 5) 연도별 시장 규모(LED팩키지 기준) (단위 : 억원) 2009. 2월

  27. 2. 국내 LED산업현황 및 당면과제 LED산업 SEGMENT별 국내시장전망

  28. 2. 국내 LED산업현황 및 당면과제 6) LED 산업구조

  29. 2. 국내 LED산업현황 및 당면과제 7) LED 기술체계

  30. 2. 국내 LED산업현황 및 당면과제 8) 국내 LED산업 현황 2007년 약 2조원 수준 국내시장 • 휴대폰 Key Pad, LCD BLU 등 중심으로 시장 형성 • - 최근 LED 조명기술 발전에 따라 조명시장 급성장 중 약 450여개 기업군으로 구성 • 에피/칩 : 삼성전기, LG이노텍, 에피밸리 등 13개 • 패키징/모듈 : 서울반도체, 일진반도체, 대진DMP 등 80여개 • LED제품 : 남영전구, 아토디스플레이, 화우테크 등 360여개 산업구조 선진국 대비 약 80% 수준 기술수준 • 3대 LED강국(일, 독, 미)에 비해 원천기술 부족 • 일부 분야에서는 독자 원천기술 개발 성공 • - GaN/Si, 380mm UV LED 등 Chip기술, LED BLU 대형화 • 기술

  31. 2. 국내 LED산업현황 및 당면과제 9) 국내 주요 LED업체의 조명사업 동향

  32. 2. 국내 LED산업현황 및 당면과제 10) 당면과제 및 해결방안 높은 가격과 저조한 시장보급률 영세 중소기업형 산업구조 핵심부품소재의 높은 대외의존도 • 낮은 기술력, 브랜드 • 인지도 • - 조명분야 End • Supplier 의 영세성 • (6,500개 업체 중 약 • 82%가 5인 미만) • - 빠른 기술변화로 • 경쟁력 확보 애로 • 부품소재 원천기술 • 부족 • - 규모의 확대, 해외 • 시장개척에 부담 • 고가의 핵심부품 • 소재 수입 • 기존전구보다 • 3-10배 고가 • 조명산업 = 고전적 • 제조산업이라는 • 사회적 고정관념 • 낮은 LED조명 • 보급율 글로벌 경쟁체제 구축 필요 핵심 고도기술 개발 시급 국가차원의 초기 시장 수요창출 필요

  33. 2. 국내 LED산업현황 및 당면과제 11) 현실적인 문제점  성능 문제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자료에 의하면, LED조명의 광효율은 제품별로1W당40~70루멘 (lm.광속 단위)이 나오고 있다. 효율이 일반 형광등 (70~90lm/W) 보다 약30% 떨어지는 셈이다. 수명은LED조명이2만~2만5000시간으로, 형광등기구 (8000시간) 보다 약3배 길다. 가격은LED조명기구가 일반 형광등기구와 비교해 최고10배 정도 비싸다. 백열등기구 는 개당1만원, 형광등기구는3만원인데 반해LED조명등기구는5만~30만원을 호가 한다. 그러나 일반 조명기구는 수명이 다하면 개당3000원 안팎인 형광등만 갈아 끼우면 되지만, LED조명은 통째로 교체해야 하는 치명적인 약점을 안고 있다. • 높은 유지보수비 • LED조명의 수명이 실제론2만~2만5000시간에 못 미친다는 분석도 있다. 광원 구동장치인 컨버터의 핵심부품이 못 버텨주기 때문이다. 전해 캐패시터 (콘덴서)가 대표적이다. • 전해 캐패시터는 주변 온도가 높아질수록 수명이 짧아진다는 게 특징. 전해액이 그만큼 빨리 말라버려 수명단축을 불러온다.

  34. 2. 국내 LED산업현황 및 당면과제 11) 현실적인 문제점 수명 논란 일부 업체들은LED조명의 수명을3만~5만 시간으로 잡고 있다. 심지어10만 시간에 육박한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이는LED조명의 특성을 모르고 하는 소리란 반박도 만만치 않다. 전기전자시험연구원 관계자는 “비상유도등, 교통신호등, 간판 등에 들어가는 디스플레이용LED 소자는 불이 완전히 꺼질 때까지 쓸 수 있기 때문에 수명을5만 시간 정도로 볼 수 있다”면서 “하지만LED조명에서 쓰는 소자는 현재 기술력으론2만 시간 내외로 분석되고 있다”고 말했다. 초기 광속 대비70% 수준으로 떨어지는 시점이2만 시간이란 뜻이다. 광속유지율이70% 이하로 낮아지면 사실상 조명용으론 생명이 다했다고 본 것이다. 이처럼LED 소자와LED조명의 수명은 근본적으로 다른 셈이다.

  35. 2. 국내 LED산업현황 및 당면과제 11) 현실적인 문제점 부풀려진 성능 일부 업체에서LED조명의 수명을 부풀린 것은업체들의 무지와 상술이 빚어낸 결과로 해석하고 있다. 설사LED 소자를5만 시간 쓸 수 있다고 해도, LED조명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수명단축은 불가피하다는 것. 하지만 조명기구 업체들은LED 소자업체가 제공한 자료를 기초로 홍보를 펼치고 있다. 믿을 만한 측정장비를 보유한 곳이 별로 없는 탓이다. 게다가 지자체 등 잠재고객의 눈길을 사로잡기 위해선 일반조명을 훨씬 능가 하는 ‘그 무엇’이 필요했을 터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의LED조명 확대 보급책과 맞물려 수준 이하의 제품이 난무하고 있다”며 “철저한 사전검증과 꾸준한 사후관리가 전제되지 않고서는 설치 후2~3년 뒤 담당자들이 골머리를 앓을 수 있다”고 말했다.

  36. LED 시장동향 및 전망 3. 정부의 신성장동력 정책

  37. 3. 정부 신성장동력 정책

  38. 3. 정부 신성장동력 정책 1)3대분야 17개 신성장동력 발굴 ㅇ (녹색기술산업,6개) 단순한 에너지 절감 분야가 아닌 미래 성장의 바탕이 되고 기후변화․자원위기에 대한 해결능력이 큰 분야 - 신재생에너지, 탄소저감에너지, 고도 물처리, LED 응용, 그린수송시스템, 첨단 그린 도시 ㅇ (첨단융합산업, 6개) 세계시장규모와 우리나라 기술 역량(IT분야)이 높고, 융합을 통해 기존 산업고도화와 신산업 창출이 가능한 분야 - 방송통신융합산업, IT융합시스템, 로봇 응용, 신소재․나노 융합, 바이오제약(자원)․ 의료기기, 고부가 식품산업 ㅇ (고부가서비스산업, 5개) 일자리 창출 잠재력이 크고, 서비스업에 경제성을 보완하여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분야 - 글로벌 헬스케어, 글로벌 교육서비스, 녹색 금융, 콘텐츠․소프트웨어, MICE․관광

  39. 3. 정부 신성장동력 정책 2) 성장동력화가 예상되는 시기를 고려하여 차별화된 발전전략 제시

  40. LED 시장동향 및 전망 4. 정부의 LED산업 육성정책

  41. 4. 정부 LED산업 육성정책 • 개 요 • 1) 개념 • LED 산업은 에피․칩․패키징 등 반도체 공정산업과 어플리케이션(조명) 산업을 포괄 • *에피·칩: 삼성전기, LG이노텍, 효성, 서울옵토디바이스, 에피밸리 등 13개 • *패키징·모듈: 서울반도체, 일진반도체, 대진DMP, 루미마이크로 등 80개 • *LED조명: 남영전구, 아토디스플레이, 럭스맥스, KDT, 화우테크놀로지 등 360개 • 2) 글로벌 현황 • 연평균 성장률 30%에 이르는 차세대 유망시장 • - 세계시장(기구포함)은 ‘07년 140억불 규모이나, 성능향상과 함께 응용분야가 확대 • 되면서 ’15년 약 1천억불 규모로 성장 전망 • 3) 국내 현황) • 시장규모 및 기업규모는 아직 협소하나 급성장 중 • - 국내 LED 시장은 조명기술 발전에 따라 LED 조명시장이 급성장중, 최근 대기업 및 • 중소형 벤처기업들의 LED사업 진출이 급속히 확대 • * 국내 LED업체(개) : (’04) 174 → (’06) 400 → (’07) 453

  42. 4. 정부 LED산업 육성정책 2. 신성장동력화 선정사유 및 필요성 ㅇ LED는 기존의 光源 대비 월등한 高효율․長수명과 소형․박형화, 光제어, 발광대역 조정 등의 혁신적 기능을 구현 * 에너지절감 효율이 최고 90%에 달하고, 10년 이상 사용 가능한 반영구적 광원 - 이러한 LED의 혁신적 기능은 기존산업 전반에 폭넓게 응용되며 新산업 창출과 함께 한계산업에 Breakthrough를 제공 ㅇ LED분야 수출입은 휴대폰, LCD BLU用 등의 국내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여 08년 기준 약 6억불 무역적자 (국내 Chip 메이커의 시설투자 확대로 적자폭은 매년 감소 추세)

  43. 4. 정부 LED산업 육성정책 ㅇ ’07년 기준 국내 LED산업은 약2조원의 시장을 형성, 450 여개 기업에서 1만명 이상 을 고용 - 높은 성장 전망과 함께, 최근 대기업 및 중소형 벤처기업들의 LED사업 진출이 급증 하고, 고용은 연평균 8.8% 증가 추세 * 국내 LED업체(개) : (04) 174 → (06) 400 → (07) 453 (CAGR : 30.6%) * LED분야 고용(명) : (04) 8,700 → (06) 10,200 → (07) 10,800 (CAGR: 8.8%) - 반도체·IT기술에 기반하고 있어 고급인력 비중이 높음 * LED분야 인력분포(’07) : 석․박사(15.9%), 학사(12.1%), 기타(72.0%) ㅇ LED는 우수한 에너지 절감 효과로 기후변화 및 국제 환경규제 대응을 위한 각국의 중요 정책수단으로 급부상 * 일본은 CO2 의무감축에 대응, LED조명으로 ‘12년까지 340만톤 절감 계획

  44. 4. 정부 LED산업 육성정책 3. 비전 및 목표 : 세계 TOP 3의 LED 산업 강국 실현 ㅇ 2018년 수출 약 90억불 달성, 신규 일자리 약 5만개 창출 4. 추진 전략 : 예산사업(시범사업), 응용 기술개발 ① LED 핵심 기술개발 투자 : 3大 분야(에피/칩/패키징, 소재/모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R&D 투자 효율성 제고 및 “新 핵심원천기술” 선점 ② 고효율 LED 조명보급 확대 : 공공기관의 고효율 LED 조명 사용 확대 및 공공기관 에 대한 LED 조명 시범사업 추진 ③ LED 산업 인프라 구축 : 지역거점별 LED특화 클러스터 조성, LED 표준 및 고효율 인증기준 마련

  45. 4. 정부 LED산업 육성정책 < 주요 추진 검토 과제 > 가. R&D ㅇ LED 핵심기술개발 투자 ㅇ LED 광기술력 향상사업 나. 예산사업 ㅇ 고효율 LED조명 보급 확대 ㅇ LED 현장재교육 사업 ㅇ 농어민 LED조명 보급 지원 ㅇ 지역별 LED특화 클러스터 조성 다. 제도개선 ㅇ 「LED 법령․제도 개선 T/F」 구성 ㅇ LED조명 제품에 대한 규격제정 및 고효율인증 추진 ㅇ 신도시 에너지사용계획에 LED조명 반영(국토부) 라. 기타 ㅇ 對국민 홍보활동 강화 ㅇ 지자체 LED프로젝트 발굴·지원

  46. 4. 정부 LED산업 육성정책 LED산업 신성장동력화 발전전략

  47. 4. 정부 LED산업 육성정책 기후변화 대응 종합기본계획(2008. 9. 19) – 국무총리실 기후변화대책기획단 □ 에너지효율향상 기술개발 투자확대를 통한 기술수준 선진화 ㅇ 에너지효율향상 기술개발 투자 확대 - 투자규모(‘08~’12): 전력 IT(5,000억원), LED조명(1,000억원), 에너지저장(1,100억원) ㅇ 선진국 대비 약 60%수준인 에너지효율향상 기술수준의 개선 - 전력 IT : ‘07년 85% → ’12년 95% → ‘30년 100% - LED조명 : ‘07년 65% → ’12년 90% → ‘30년 100% - 에너지저장 : ‘07년 60% → ’12년 85% → ‘30년 100% ㅇ ‘07년말 에너지효율향상산업 고용인력은 15천명으로 추산되며, ’12년 까지 약 10만명, ‘30년까지 약 20만명 고용창출효과 기대

  48. 4. 정부 LED산업 육성정책 기후변화 대응 종합기본계획(2008. 9. 19) – 국무총리실 기후변화대책기획단 □ 에너지효율향상산업 육성 프로그램 ㅇ 지역 권역별 「LED(Light Emitting Diode) 융합 특화 클러스터」 조성 등 LED 융합 산업의 성장저변 확대 ※ LED는 ‘07년 1.4조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나, 핵심부품․소재는 주로 수입에 의존 - 공공부문에서의 LED 초기시장 수요를 창출하고 기존 조명업체의 사업 전환(백열등․형광등 → LED) 지원

  49. 4. 정부 LED산업 육성정책 □ 에너지효율향상 보급지원 제도 강화 ㅇ ESCO(Energy Service COmpany : 에너지절약시설 전문투자기관)사업 활성화 추진 ※ 진단비용 지원을 확대(지원비율 ‘07년 70→’09년 90%)하여 중소기업의 에너지 진단 참여 유도 ㅇ LED 보급확대(‘07년 1% 이내 → ‘15년까지 30%)를 위해 공공기관이 초기 시장창출 주도 ※ 공공건물 LED 조명제품 우선사용, 교통신호등 및 가로등을 LED로 교체 확대 ※ LED조명 시범사업 추진(7대 광역우체국 대상 LED조명 시범우체국 등) ㅇ 최저효율기준의 강화로 저효율조명기기의 시장퇴출 유도 ※ 미국·EU 등은 에너지법안 개정으로 2~3년내 「저효율 백열전구 퇴출」 계획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