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likes | 413 Views
제 16 장 포트폴리오 관리와 성과측정 포트폴리오 관리 포트폴리오 관리 : 포트폴리오 재선택 및 수정과정 ㅇ Portfolio rebalancing: pflo 의 위험 및 수익 특성에 변동이 있는 경우 원래 의도했던 pflo 의 특성을 다시 회복하기 위해 행함 — 예 : pflo 구성자산의 가격변동으로 구성비율이 달라졌을 경우 이를 회복하기 위해
E N D
제16장포트폴리오 관리와 성과측정 • 포트폴리오 관리 • 포트폴리오 관리: 포트폴리오 재선택 및 수정과정 • ㅇ Portfolio rebalancing: pflo의 위험 및 수익 특성에 변동이 있는 경우 원래 의도했던 pflo의 특성을 다시 회복하기 위해 행함—예: pflo 구성자산의 가격변동으로 구성비율이 달라졌을 경우 이를 회복하기 위해 • ㅇPortfolio upgrading: pflo의 위험을 감소하거나 기대수익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행하는 pflo 수정.새로운 정보를 반영하여 증권을 매입 매도 • 소극적 포트폴리오 관리 • ㅇ 체계적 위험에 대응하는 정도의 기대수익률을 얻기 위한 포트폴리오 관리 • 주로 지수펀드(시장pflo와 상관계수 1)를 사용 • 적극적 포트폴리오 관리 • ㅇ 비정상성과를 얻기 위한 포트폴리오관리(beat the market) • ㅇ 우수한 예측 능력에 기초하여 선별투자 또는 시기선택(market timing)전략 이용
2. 포트폴리오 성과측정 ■ 성과측정척도 — ㅇ 단위 위험당 초과수익률 (RVAR와 동일) ㅇ 총위험을 사용하므로 비체계적 위험도 고려 가능 — ㅇ 운용성과가 SML상 또는 그 외에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가의 비교 ㅇ 체계적 위험만 고려하므로 분산포트폴리오에만 적용 가능
— Jensen 척도(Jensen’s alpha) • ㅇ 트레이너 척도와 동일한 결과 • —평가비율 • ㅇ 충분히 분산되지 않은 포트폴리오간의 성과비교에 사용 가능 • 비정상성과를 얻기 위해 부담한 비체계적 위험 • ㅇ s(εc)는 비체계적 위험(시장모형에서 포트폴리오 C의 잔차항의 표준편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