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2

9 월 식품정보

9 월 식품정보. 2010 년 10 월 동서유지㈜. 업 계 현 황. 프락토올리고당 , 체지방 감소 · 근육량 증가 효과 - 중앙대 임상실험 결과 ( 식품저널 9.6) - 중앙대 식영과 이복희교수 연구팀 , 20 대 남녀 102 명 대상 프락토올리고당 섭취 유무와 섭취농도 , 섭취기간 따른 신체 변화 조사 - 프락토올리고당을 하루 2 회 식사 전 섭취 참가자들에게 체중과 체지방 감소 , 근육량 증가 확인

iliana
Download Presentation

9 월 식품정보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9월 식품정보 2010년 10월 동서유지㈜

  2. 업 계 현 황 • 프락토올리고당, 체지방 감소·근육량 증가 효과 - 중앙대 임상실험 결과 (식품저널 9.6) • - 중앙대 식영과 이복희교수 연구팀, 20대 남녀 102명 대상 프락토올리고당 섭취 유무와 섭취농도, • 섭취기간 따른 신체 변화 조사 • - 프락토올리고당을 하루 2회 식사 전 섭취 참가자들에게 체중과 체지방 감소, 근육량 증가 확인 • - 체중 및 체지방률 감소, 혈액 내 중성지방 농도 개선, 혈중 칼슘 흡수 촉진작용 의한 혈중 칼슘농도 • 증가로 뼈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 보여준 실험 • 식품 보관기간 5배 이상 늘리는 기술 개발 – KAIST·금오공대 연구팀 (식품저널 9.6) • - 플라스틱기판 산소투과도를 1/1,000로 낮춘 나노복합체 가스 방어막 기술 개발 • - 식품포장재 적용시 산소투과도가 일반 식품포장재 1/10 이하로 식품 보관기간 5배 이상 증가 가능 • - 또한 라면 등 기존 알루미늄코팅과 보호막코팅 필요없어져 생산공정 단순화, 생산단가 저렴, 친환경적 • - 개발 기술, 특허 등록 마치고 관련기업과 기술 이전 협의 중 • 외식업계, 여성들을 위한 미니 사이즈 간식 속속 출시 (식품세계 9.6) • - 스무디킹, 스틱형 베이커리 신제품 ‘브래디’ 출시(스파이스 치즈 치킨 브래디, 커리 포크 브래디 등 2종) • 따뜻한 양념을 바삭한 빵으로 감싼 식사대용 제품. 특히 입이나 손에 뭍는 것 싫어하는 여성 고객 환영 • - 던킨도너츠, 한 입 크기 네모난 ‘베이글 바이트’ 출시. 한입 크기로 크림치즈를 베이글 속 넣은 것 특징 • - 버거킹, 후룻볼 • 브라우니&아이스크림 출시 • 생과일이 한입에 먹을 수 있는 크기로 손질돼 먹기 간편한 후룻볼, 미니 사이즈 쵸코 브라우니와 • 아이스크림을 간편하게 한 번에 맛볼 수 있는 ‘브라우니&아이스크림’ • 키위 속 ‘퀘르세틴’, 암 예방 효과 - 서울대 이형주 교수팀, 英 영양학회지 발표 (식품저널 9.7) • - 폴리페놀 퀘르세틴, 활성산소 의해 야기되는 갭졍선 세포간 신호전달 저해 방지로 세포 이상, 암 발생 • 유발 예방

  3. 업 계 현 황 • 굳지 않는 떡 제조기술 개발 (식품저널 9.15) • - 농촌진흥청, 떡 유통 및 저장 문제 획기적 해결할 수 있는 ‘굳지 않는 떡’ 제조기술 개발 • - 쫄깃함 유지 위한 떡 미세구조 형성위해 떡메로 치는 과정인 ‘펀칭기법’과 ‘보습성 유지기법’ 과학화로 • ‘무첨가 무화학처리’ 원천기술 확보 • - 기존 떡이 하루나 이틀만 지나도 딱딱하게 굳어버리는데 비해 오랫동안 쫄깃함과 말랑함 그대로 유지 • 냉장·냉동 보관 후 해동시도 원래 질감 복원 • 멥쌀과 찹쌀 이외 현미등 다른 곡류에서도 굳지않는 특성 유지돼 다양한 잡곡 이용 웰빙 떡 개발도 기대 • - 짧은 유통기간및 저장문제 개선 등 약 1조3,072억원 경제적 파급효과 기대 • - 농진청, 굳지 않는 떡 제조기술 대해 특허출원 완료, 빠른 시일 내 기술이전 통한 실용화 계획 • 쿨(cool)떡, 즉석떡국, 쌀생면, 김밥용쌀롤, 쌀만두피, 비가열떡볶이 등 그 응용범위 무한 • 식품 '제로관세 설탕'에 딜레마 - 물가안정서약서 의무로 메리트 적어 (식품일보 9.15) • - 국내 대형식품기업, 12월까지 한시적 시행 ‘제로관세 설탕’ 사용여부 놓고 심각한 고민 • - 관세 없애도 제반비용 감안 실구입가가 국산 설탕과 별 차이 없으며 수입 설탕 쓰려면 제품가격 인하 • 명시해야 하는 ‘물가안정서약서’' 작성 등 제약 요인 • - 지식경제부, 설탕 들어가는 식품 가격안정 위해 총 10만톤 한정 수입할당관세를 35%→0%로 낮춤 • - 무역협회, 이를 근거로 개별업체들의 수입설탕 할당업무 맡아 연간 사용량에 비례해 물량 배분 • - 대두, 옥수수 등 곡물은 식공협회가 일괄 도입, 업체 배분하기 때문에 가격협상력 및 비용 절감 있으나 • 수입설탕은 단체나 업체별 스스로 수입해야 하기 때문에 큰 가격메리트 없슴 • - 또한 의무 제출 물가안정서약서에 절감 비용, 그에 따른 가격 낮출 제품 품목, 가격인하율 명기토록 • 하고 있어 부담 • - 사전추천 신청해 수입업무 진행한 식품업체들도 수입설탕 철저 추적 지식경제부 방침에 수입 포기 검토

  4. 업 계 현 황 • GM 작물 산업화와 미래 전망 - 황금쌀•몬산토가 개발한 대두오일 주목 (식음료신문 9.20) • - 서울 코엑스 개최 ‘바이오 코리아 2010‘의 'GMO 작물의 산업화 추진 및 미래전망' 컨퍼런스에서 • 비타민A 강화 황금쌀과 세계적 GM종자 개발 농업기업 몬산토에서 개발한 신개념 대두오일 소개 • 1. 황금쌀 개발 현황(국제 미작연구소 제럴드 베리 박사) • - 쌀 주식 나라에 미세 영양소 결핍 특히 비타민A 결핍 질병 많이 발생(중국 서부, 인도•필리핀 등) • - 98년 1차 황금벼 개발 이후 최근 영양소 더욱 개선한 2차 황금벼(GR2) 개발 • 베타카로틴을 다량 함유, 비타민A 결핍에 도움 • - 가난한 농부들이 재배할 수 있도록 교육과 기술 사용 등 모든 사용권리 무료로 양도. 소비자 니즈 • 끌어내기 위한 홍보 강화, 향후 북한 돕는 수단으로 계획 및 베트남, 인도 비타민A 결핍 해결 도움 기대 • 2. 차세대 GM작물의 개발 전략(몬산토 하비글릭 박사) • - 심혈관 건강에 기여하는 오메가-3, 어획자원 고갈로 콩 추출 오일에서 오메가-3 섭취 연구 진행 • - 오메가-3의 EPA와 비슷한 효능 가진 SDA(stearidonic acid)20% 함유된 새로운 대두오일 개발 성공 • 생선기름보다 유통기한 비교적 길고 가공 쉬우며 심혈관 건강에 좋은 오메가-3 풍부 • - 튀김 실험결과 트랜스지방, 포화지방 수치 낮음. 즉 대두에서 포화지방, 트랜스지방 함량 낮출 수 있슴 • - 기타 수확량을 증대시키면서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는 GM기술을 몬산토에서 개발 • 매일유업도 우유값 인하하나? (식품저널/이데일리 9.24) • - 서울우유 제품 가격 최대 7% 할인, 남양유업 최대 210원 인하 이어 매일유업 7~8% 낮추는 방안 고려중 • - 유업체들이 잇따른 가격 인하, 일각에서는 예고된 공정위 담합 과징금 부과 감안한 것으로 분석

  5. 업 계 현 황 • 식음료업체 장사 잘해도 남는게 없네 (파이낸설뉴스 10. 3) • - 주요 식음료업체 올 3/4분기 실적 성적 부진 예상. 곡물가격 상승 불구 가격 올리지 못한 업체 많기 때문 • -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 13개 식음료업체 3/4분기 매출액 조사결과 • - 매출액 4조2206억원(전년동기비 1.47%증가),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지난해 동기보다 감소 예상 • 13개사 3/4분기 영업이익 6616억원(9.38%↓), 순이익 5538억원(9.27%↓) • - 음식료 시장 전반적 정체 및 곡물 가격 상승을 제품 가격에 반영 못해 지난해보다 실적 부진 • - 농심, 신라면 가격 인하로 전체 매출 70% 이상 차지 라면 매출이 전년 동기비 5% 감소 • - CJ제일제당, 3/4분기 매출액 1조745억원로 전년 동기비 2.07% 증가하나 영업이익, 순이익은 각각 • 944억원, 994억원 20.08%, 31.87% 줄어들 전망. 지난해 3/4분기에 환율평가이익 등 반영됐기 때문 • - 대상, 3/4분기 매출 소폭 증가. 영업이익과 순익 전년비 6.46%, 19.32% 감소 전망 • - 하이트맥주, 롯데삼강, 빙그레, 국순당, 매일유업 등은 지난해 동기 대비 모두 호전된 실적 예상 • 일본 브랜드 ‘미스터 무시빵’, ‘마블러스 크림’ 한국상륙 준비중 (월간 빠띠씨에 10월호) • - 미스터 무시빵 : 05년 일본 오사카 첫선. 4평매장 월6천만원 매출, 대표메뉴 쫀득, 촉촉한 식감 무시빵 • - 마블러스 크림 : 일본 북해도산 재료로 아이스크림을 만드는 디저트 브랜드 • 08년 7월 ‘마블러스 아시아’ 설립후 싱가폴 1호 점 등 아시아 3개 점포 운영 • 플레인아이스크림 외 믹스아이스크림, 파티시에 와플 등 다양한 메뉴 • - 국내 홍보업체 ㈜이피니스 통해 프랜챠이즈 파트너 모집중 • 우리밀이 되살아나고 있다 (월간 빠띠씨에 10월호) • - 개발원조시대 미국 무상밀가루 공급 및 84년 정부 밀수매 중단에 따라 우리밀 가격경쟁력 잃어 감소 • - 90년대 우리밀종자 확보 위한 우리밀살리기운동본부 설립 및 최근 정부 적극적 지원으로 우리밀 • 자급율 2%대 • - 정부 우리밀 자급율 2017년까지 10%, 2012년 기존 보리 대신 밀 수매하는 방식으로 밀생산 유도

  6. 업 계 현 황 - 소량 재배로 품질편차 기술관리 미약, 제품 균일화 쉽지 않음 종자가 한정되어 제품특징 부각 어려움 : 빵용 가장 가까운 금강밀의 단백질 함량 11%~12%로 적어 수입 강력분과 동등한 식감과 부피 내기 어려움 - 따라서 08년 국민 1인당 연간 밀 소비량 33.5kg으로 우리밀 차지비율 극히 일부 - 08년 한국제분·동아원, 광주 광산구, 경남합천군 한국우리밀농협과 MOYU 체결, 올 2만Ton 수매 예정 SPC그룹 파리바게트, 08년 ‘우리밀우리보리식빵’ 출시 이후 우리밀을 그룹 이미지 대표상품으로 선정, 우리밀 사업 확대 CJ게열 뚜레쥬르, 08년 우리밀빵 5종 출시 이어 다양한 제품 선보여 - 현재 한국제분·동아원, SPC그룹, CJ제일제당 등 수매량이 전체 우리밀 생산량의 60% 이상 차지 - 제과제빵,제분 관련 대기업 참여, 품종도 금강밀 위주에서 제빵용 적합한 조품밀, 조경밀 재배 시작 우리밀 생산 및 수급 현황 우리밀 주요업체 수매량

  7. 업 계 현 황 • 인스토어 베이커리 현황 (월간 베이커리 10월호) • - 인스토어 베이커리 매장 수(2010년 8월 말 기준) • ‘제빵왕 김탁구’ 덕에 복고풍 빵과자 매출 상승 (월간 베이커리 10월호) • - ‘제빵왕 김탁구’ 인기 끌면서 복고풍 제품 판매 급증 • - 크라운베이커리 : 크림단팥빵, 소보로빵, 슈크림빵 등 찾는 고객 많아 생산량 2배 늘리고 별도 매대 준비 • - 파리바게트 : 드라마 소개된 ‘주종봉단팥빵’, ‘배부른보리밥빵’ 등 소개 • - 삼립식품 : 70~80년대 인기 끌었던 단팥빵과 크림빵 등 김탁구빵 시리즈 새롭게 출시 • - 해태제과 : 연양갱 상반기 매출 전년비 20% 증가 • - 크라운제과 : 장수 비스킷 ‘크라운 산도’ 올해 20% 추가 매출

  8. 업 체 정 보 • 크라운-해태제과, ‘창의력 과자’ 눈길 (식품저널 9.1) • - 크라운-해태제과, 어린이 흥미 돋우고 창의력 높일 수 있는 DIY형(Do It Yourself) 제품과 • 포장박스를 활용한 박스아트제품 연달아 선보여 • - ‘슈의 얌얌하우스’, 4살 이상 미취학 어린이 타깃 DIY형 제품으로 크라운-해태제과 열고 있는 • 체험 전시회 ‘피카소의 큐비즘 세모나라 네모세상’ 참여 고객들로부터 아이디어 나옴 • 해태제과 계란과자에 초코 튜브 곁들여 자신 만의 초코 버거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한 제품 • - 해태제과 ‘얼려 먹는 초코 만들기’, 액체 상태 초콜릿으로 다양한 모양 만들어 냉장고 얼려 먹는 제품 • - 포장 상자 활용해 작품을 만들 수 있는 박스 아트 제품들도 인기 • 해태제과 ‘후렌치파이’, ‘오예스’, 크라운제과 ‘국희땅콩샌드’, ‘뽀또’ 등 • - 크라운-해태제과 ‘AQ(Artistic Quotient, 예술가적 지수)’ 경영 철학 제품에까지 확장시켜 적용 • 경찰, 대상 본사 압수수색…CJ 쇠고기 다시다 디자인 모방 관련 (식품저널 9.1) • - CJ제일제당, 자사 ‘쇠고기 다시다’ 디자인을 대상이 모방, 판매하다가 법원으로부터 제조ㆍ판매금지 • 가처분 결정 이후에도 해당 제품 판매했다 며 경찰에 고소함에 따른 것 • - 대상, 법원 가처분 후 해당 제품 디자인 교체 판매 중으로 해당 제품 판매는 사실과 다름 주장 • - 서울 북부지법, 7월 19일 CJ제품과 유사점 인정, 대상 ‘쇠고기 진국 다시’의 제조·판매·수출·전시 • 하거나 선전광고물에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고 판결 • 롯데리아, 日 버거킹 인수 (식품저널 9.3) • - 한국 롯데리아, 일본 버거킹 부채 약 200억원 승계 조건으로 상징적 금액 100엔에 인수 • - 일본 현재 35개 버거킹 매장 운영중으로 한국 롯데리아는 올해 안에 매장 100개로 확대할 계획

  9. 업 체 정 보 • 던킨도너츠, 새 기업문화 ‘스마트 던킨’ 선포 (식품저널 9.8) • - 고객 중심 새로운 기업문화 ‘스마트 던킨’ 도입 선포. • - 소비자 건강 생각하는 제품 개발, 음료 웰빙화, 고객 유형 맞는 특화된 서비스 위한 내부 직원 교육, • 패키지와 매장 인테리어 통한 고급스럽고 친환경적 이미지 • - 기존 도넛보다 칼로리, 당도 및 Brix 등 낮추는 작업 진행, 저지방, 저칼로리 음료, 천연과일 음료 개발 • 포장 디자인에 있어서도 친환경 소재 이용해 웰빙 이미지 도입 • 대상, 식자재 전문브랜드 ‘쉐프원’ - 프리미엄 제품으로 올 매출 3000억 목표(식음료신문 9.14) • - 대상 식자재 제조와 판매, 유통 아우르는 케이터링(Catering) 사업 패밀리브랜드 • - 일반 소비자고객 대상 ‘청정원’과 함께 대상 식자재 사업 상징 대표브랜드로 성장 • - 지난해 2200억원 매출 식자재 사업 부문에서 올해 3000억 원 매출 달성 목표 • - 식자재사업, 식자재의 제조와 유통, 급식사업, 외식사업으로 구분. 전체 시장규모 약 20조원 • - ‘쉐프원’ 브랜드, 이달부터 순차적 기존 제품과 신제품에 적용, 조리사 중심 집중 홍보 실시방침 • 삼양식품, 시리얼 시장 진출 - ‘오렌지-고(Orange-go)’ 브랜드 4종 출시 (식품저널 9.10) • - 삼양식품, 시리얼제품 ‘콘풀’, ‘아몬드콘풀’, ‘오곡 초코풀’, ‘뷰티 라이스풀’ 등 • - 쌀, 귀리, 옥수수 등 다양한 곡물과 국내산 천일염 사용한 것이 특징 • - ‘콘풀’과 ‘아몬드 콘풀’, 성장기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균형 있는 영양 제공 • ‘오곡 초코풀’, 유아 및 청소년 대상, 국내산 쌀가루 20%와 4가지 곡물 사용 • - ‘뷰티 라이스풀’, 다이어트 관심 많은 20~30대 여성 타깃, 국내산 보리 첨가한 •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으로 쌀가루 60%에 식이섬유 함유, 체형관리 효과적 • - 시리얼 제조는 씨알푸드에서 제조 • - 향후 삼양식품 생산 우유와 함께 시리얼 마케팅 활동 계획 • - 국내 시리얼 시장, 연간 2,000억 원 규모 형성

  10. 업 체 정 보 • 제원인터내셔날 한국가구에 매각 (식품일보 9.13) • - 한국가구, 식품류 도•소매 업체 (주)제원인터내쇼날 지분 100% 취득 공시 • - 취득금액, 241억원(160만주). 자기자본대비 51.08% 해당 • 네스프레소, 2010 리미티드에디션 ‘카자르’ 한정판매 (식음료신문 9.14) • - 캡슐커피 전문브랜드 네스프레소, 우유와 잘 어울리는 에스프레소, 그랑크뤼 커피 ‘카자르’ 한정 판매 • - 브라질 코닐론 로부스타, 과테말라 로부스타, 브라질 세라도 아라비카 3종 원두 블렌드해 완성 • 롯데 68개 계열사 구조조정 돌입 - 신격호 회장, 중복사업등 문제 지적 (식품일보 9.15) • - 재계 5위로 68개 계열사 보유 롯데, 업종별 대표기업 키우기 위해 정책본부 중심으로 계열사간 겹치는 • 사업 통합방안 마련하는 등 구조조정 작업 돌입 • - 백화점 분당점과 마트 도봉점, 용인수지점 등 6개 점포, 6000억원 매각 재임차하는 세일 앤드 리스백 • 방식으로 자산 유동화 추진 • - 롯데, 식품부문에 롯데제과, 롯데칠성음료, 롯데삼강, 롯데리아 등 10 여개사, • 중화학부문, 호남석유화학, KP케미칼 등 • 유통•관광 부문, 롯데쇼핑, 롯데홈쇼핑, 롯데면세점, 롯데미도파, 코리아세븐, 바이더웨이, 롯데닷컴, • 롯데호텔, 롯데DF글로벌 등 20여 개 계열사 운영 • - 이미 패밀리 레스토랑 T.G.I.F를 롯데리아 편입, 올해 크리스피 크림 도넛도 롯데리아에 편입 • 롯데제과 외식 브랜드인 롯데 나뚜르와 베이커리 카페 롯데 브랑제리도 향후 롯데리아 편입 가능성 • - 식품, 유통, 레저 등 주요 기업군 경우 상장사와 비상장사 등 법인별 경영상황 다르고 지배구조 달라 • 기업군별로 단순 통합에는 상당한 고민이 필요할 듯

  11. 업 체 정 보 • 파리바게뜨, 과일젤리 ‘PB Style Fruit’ 출시 (식품저널 9.15) • - 투명한 젤리 속 신선한 과육 넣은 제품으로 포도, 사과, 복숭아, 체리, 망고, 오렌지 등 6가지 맛 • - 6개입(1만2,000원) 선물세트로도 구입 가능 • 롯데제과, 러시아에 초코파이 공장 준공 - 연간 생산능력 300억원 (식품저널 9.16) • - 모스크바 남서쪽 120㎞ 떨어진 칼루가州 오브닌스크市 위치, 부지 4만354평, 연면적 8,165평 대지에 • 약 1,000억원 투자해 설립 • - 연간 생산능력 300억원, 초코파이를 시작으로향후 빼빼로, 칸쵸, 자일리톨껌 등도 생산 계획 • - 약 12조원 러시아 과자시장 적극 공략 위해 공장 준공, 주요 판매지역 모스크바, 우랄 시베리아 등 • - 롯데제과, 지난 2월과 7월 베트남과 인도에 초코파이 공장 준공 등 지난 2년간의 초코파이 현지공장 • 프로젝트가 이번 러시아 공장 준공으로 성공적 마무리, 롯데 초코파이 유라시아 벨트 구축 • - 국내 건ㆍ빙과 각각 점유율 40%대의 독보적 1위, 올해 국내 1조6,000억원, 해외 4,000억원 이상을 • 달성, 업계 최초 2조원 매출 계획 • 롯데칠성, 필리핀 펩시 1,170억원에 인수 (식품저널 9.16) • - 필리핀 문틴루파시 소재 PCPPI(Pepsi Cola Products Philippines, Inc.) 주식 34.4%를 • 약 44억4,700만PHP(약 1,170억원)에 인수계약 체결, 최대주주 • - PCPPI, 65년 펩시가 설립, 85년 보틀링체제 전환, 97년 펩시의 필리핀 독점 보틀러로 운영 • 08년 필리핀 증시 상장, 필리핀 전역 11개 공장과 106개 지점 소유, ‘펩시콜라’, ‘마운틴듀’, • ‘게토레이’, ‘7-UP’, ‘립톤’ 등 생산ㆍ판매, 음료시장 점유율 15%로 코카콜라 이어 필리핀 내 2위 • - 높은 성장률 기록 동남아 지역으로 영역 확대 계기, 커피, 생수 등 비탄산 및 밀키스 등 접목 예정

  12. 업 체 정 보 • 동아원, 기능성 ‘활성밀가루’ 제조ㆍ판매 독점 계약 (식품저널 9.16) • - 대구가톨릭대로부터 기술이전을 받은 ㈜하이폭시와 뇌질환 예방 치료에 효과적인 활성밀가루 • 제조ㆍ판매 위한 독점 라이선스 계약 체결 • - 활성밀가루, 물을 활용해, 밀 구성 식이섬유인 아라비노자일란과 베타글루칸이 주요 활성성분으로 • 작용할 수 있도록 만든 기능성밀가루로 노화 촉진하는 활성산소종 감소로 치매 및 뇌졸중 등 뇌질환 • 예방과 치료 효과 • - 대구가톨릭대 연구팀과 지속적 연구개발 및 협력 통해 다양한 식품군으로 개발, 상품화 공급 계획 • 오리온 초콜릿 넣은 제품 가격 인상 (파이낸셜뉴스 9.17) • - 원가부담 이유로 가격인상 단행, 핫브레이크와 초코칩쿠키 가격 인상 예정 • 파리바게뜨, 美 맨해튼에 매장 오픈 (식품저널 9.17) • - 파리바게뜨 미국14호점으로 45평 규모, 34개 좌석 갖춘 카페형 매장 • - 아침부터 저녁까지 시간대별로 나누어 아침 출근 직장인 위한 샌드위치, 수프, 크라상 등과 • 점심 식사대용 Hot 샌드위치 및 식사 대용 빵, 저녁 쇼트케이크, 커피 등 디저트 제품 등 • 현지 특성과 상권 철저히 분석한 마케팅 전략 펼칠 계획 • - 금번 맨해튼점을 거점으로 2011년부터 미국 현지 가맹사업 시작할 계획 • 빵집회원 800만명 통합카드의 힘 - 전국 4200여개 매장서 이용 가능 (식품일보 9.23) • - SPC그룹, 2000년 8월 외식업계 최초 통합 브랜드카드 '해피포인트카드‘ 출시 • - 파리크라상 파리바게뜨 배스킨라빈스 던킨도너츠 등 SPC 10개 브랜드 4200개 매장 사용 가능 • - 회원수 03년 100만명 돌파후 매년 100만명씩 늘어 현재 800만명 돌파 • - 전체 회원 65%20~30대, 멤버십카드 통해 브랜드 충성도 높이고 축적 고객 데이터베이스로 • '맞춤 마케팅' 가능 • - 지난해 8월 어린이 전용카드 '키즈카드' 내놓은 데 이어 앞으로 해피포인트카드 고객층별 다양화 방침

  13. 업 체 정 보 • 동원그룹, 해태음료 인수 추진 (식품저널 9.24) • - 동원그룹 지주사 동원엔터프라이즈, 해태음료 투자의향서를 매각 주관사 영국 바클레이즈에 제출 • - 해태음료 지분 58% 소유 일본 아사히맥주로부터 투자 제안 받은 대상, 동아오츠카 등은 • 사업 중복 등 이유로 인수전에 참여하지 않기로 • - 동원그룹 해태음료 인수 추진, 기존 주력사업인 참치 부문에 음료사업 더해 종합식품업체로서 위상 • 확고히 하기 위한 전략 • 롯데, 파스퇴르유업 인수키로 (식품저널/매일경제 9.27) • - 롯데, 한국야쿠르트 소유 파스퇴르유업 지분 100%(84만6,005주)를 600억원가량에 인수 잠정 합의 • - 인수 주체로 롯데삼강, 롯데칠성음료, 롯데햄을 조율중 롯데삼강 통해 인수키로 최종 결정 • - 파스퇴르유업 부채 270억원, 롯데가 떠안기로 의견 접근. 조만간 계약 체결할 예정 • CJ 내년 3월 자일로스공장 가동 - 설탕-밀가루와 함께 주력품목 육성 (식품일보 9.28) • - CJ제일제당, 신성장동력으로 '자일로스' 선택, 기존 주력상품 설탕과 밀가루와 함께 소재식품에 박차 • - 필리핀 민다나오섬에 '자일로스' 원료 공장, 내년 3월 본격 생산체제 돌입, 연간 1만 5000톤 생산 예정 • - 기존 자일로스, 주로 옥수수속대와 자작나무 줄기 등 추출하여 원료 한정 따른 가격변동성이 단점. • CJ, 세계최초 야자나무 열매에서 자일로스 추출, 친환경 및 가격 경쟁력도 갖췄다는 평가 • - 전 세계적으로 자일리톨 포함 당알콜류 시장, 2조원 성장. 충치예방 위한 츄잉껌, 사탕, 제과류, • 의약품, 구강위생제 등 상품군 더욱 다양해지고 있어 수요는 계속 증가 전망 • - 공장 본격 가동하는 2011년 300여억원, 2013년 600여억원 매출 계획, 안정적 원료 수급과 마케팅 • 통해 현재 자이로스 점유율 세계 1위 핀란드 '다니스코'사와 경쟁 • - 이 사업은 자본금 140억원 투입, CJ제일제당 45%, 빙그레 11%, 도요타상사 34% 참여

  14. 업 체 정 보 • 뚜레쥬르 우리쌀 신제품 4종 매출 급증 - '탕종법' 활용 흑미 찹쌀 제품 눈길 (식음료신문 9.29) • - 흑미 제품 가공해 개발한 ‘흑미찹쌀크림치즈’, ‘흑미찹쌀흑임자잼’, ‘흑미찹쌀식빵’ 3종 출시 이어 • ‘우리쌀케익’ 선보여 • - 100% 국산 쌀로 만든 흑미 신제품 3종, 출시 이후 매출 급증, 스테디셀러 제품 자리매김 기대 • - ‘우리쌀케익’, 고소한 맛 으로 어른 선물용 많이 애용, ‘흑미찹쌀크림치즈’와 ‘흑미찹쌀흑임자잼’, • 쫄깃한 흑미 찹쌀 빵에 달콤한 크림 치즈와 고소한 흑임자 잼 각각 들어가있는 것이 특징 • ‘흑미찹쌀식빵’, 찹쌀의 쫄깃한 식감 제품으로 토스트 조리시 더욱 식감이 살아나 좋은 반응 • - 찹쌀을 끓여서 숙성시킨 반죽을 본 반죽에 넣어 빵을 만드는 ‘탕종법(湯種法)’ 제빵 공정 거쳐 • 일반적 방법으로 만든 제품보다 재료 본연의 쫄깃함을 훨씬 잘 살림 • - 우리 먹거리 대한 고객들 관심 증가, 다양하게 쌀 제품 즐기고자 하는 욕구 반영 • 뚜레쥬르 우리쌀케익(왼쪽)과 흑미찹쌀크림치즈.

  15. 업 체 정 보 • 뚜레쥬르, 분당에 테스트 매장 오픈 (월간 빠띠씨에 10월호) • - 현 1,300여개 매장 운영 뚜레쥬르, 분당 서현역 인근에 트스트 점포 오픈 • - 본사 생산 냉동생지 대신 매장에서 직접 반죽, 치아파타, 캄파뉴, 샤워브레드 등 건강빵 등을 제조 • - ‘전통 빵집’ 이미지 강조 뚜레쥬르 움직임, 신규점포를 카페형 선보인 파리바게트와 다른 노선 선택 • - 건강빵, 매장에서 직접 만드는 빵 등 제과점 본질적인 면을 강조, 경쟁력 강화 예정 • 크리스피 크림도넛, 제과류 제품 강화 (월간 빠띠씨에 10월호) • - ‘베이커드 크리에이션’을 출시, 크러핀 4종, 풀어파츠 4종, 베이글 2종 등 제과류 제품 강화 • - 크러핀 : 머핀 위에 다양한 토핑 올린 제품, 오리지날, 블루베리, 바나나월넛, 더블초코칩 등 • - 풀어파츠 : 빵 속에 토핑을 넣은 제품. 치즈, 소시지, 베이컨, 햄&에그 등 4종

  16. 해 외 정 보 • 유제품 섬유소 함량 높여주는 대두 다당류 (식품저널/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9.1) • -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당뇨 위험 감소, 변비 개선 등 식이섬유소의 장점에도 불구 유제품에 첨가시 • 식감에 손상을 줄 수 있어 이를 개선하는 낮은 점도의 섬유소 공급원 필요 • - 캐나다 궬프대학 연구진, 오크라 추출, 정제한 낮은 점도 섬유소 수용성 대두 다당류(soluble soybean • polysaccharide, SSPS)를 유음료, 푸딩, 저지방 아이스크림 등에 첨가, 레올로지측정, 관능 테스트 • - 수용성 대두 다당류 최대 혼입 비율 : 유음료 4%, 푸딩 4%, 저지방 아이스크림에는 2% • - 수용성 대두 다당류 강화 제품, 소비자의 수용성 식이섬유 섭취량 증가에 도움 • 캐나다, 염분절감 규제에 업계 반발 - 버거킹 등 맛 변화에 소비자 감소 우려(식품음료신문 9.1) • - 염분 절감 조사와 연구 목적 캐나다정부 TFT인 Sodium Working Group, 조사 보고서 • 캐나다인 하루 평균 염분 섭취량 3400㎎, SWG 권장량 2300㎎ 비해 47.8% 높은 수치 • - SWG, 2016년까지 염분 섭취량 2300㎎으로 점차 절감방침 마련, 정부에 요청, 언론 매체 홍보 • - Campbell 등 일부 식품업계 이 계획 적극 동참하나, 대부분 업체 현실적 어려움과 비용 증가로 반발 • - 다국적 프랜차이즈, 염분 저감화 따른 맛의 변화 및 음식 보존 악영향 따른 추가 보존비용 부담 이유로 • 강력 반발 • 호주, 식품 과민증 소비자용 제품 성장 (식품저널/KOTRA 9.6) • - 식품과민증(Food Intolerance) : 특정 식품성분 분해 및 흡수 장애, 특정 성분 민감한 반응 증상 • 밀 글루텐, 우유 유당 성분 분해 못하는 경우 등 • - 식품 과민증 소비자 위한 전문식품, 종류 및 유통채널 다양. 수요도 지속 증가추세 • - 호주 식품 과민증 전문식품 수요, 09년 전년비 6% 증가한 1억7,740만 호주달러(1억5,780만 달러) • - 가장 높은 점유율은 유당 관련 식품 : 호주 인구 약 10%인 203만여명 유당 과민증 및 증가 추세 • 유당 과민증 위한 제품 : 무유당 아이스크림, 무유당 유제품(우유, 치즈, 요구르트 등), 무유당 분유 등

  17. 해 외 정 보 - 무글루텐 식품 : 글루텐 과민증, 전체 인구의 약 0.2%로, 2010년 추정 규모 약 4만4,000명 전년비 12% 성장. 무글루텐 식품은 파스타, 제과 제빵류, 유아식품 등 유통 - 당뇨병 관련 식품 : 당뇨병 환자용 사탕류, 버터, 제과 및 제빵류 제품 유통 - 시장진출 전략 : 소비자 식습관 맞는 제품·포장방법 개발, 호주규정 맞는 식품포장법 및 라벨링필수 자료 : Euromonitor International

  18. 해 외 정 보 • 가뭄여파로 커피값 13년래 최고 - 지난 6월 이후 무려 44%나 폭등세 (식품일보 9.13) • - 남미 등지 가뭄으로 곡물 수확량 급감 전망 따라 곡물 가격 급등. 커피값 급등 및 공급 부족 우려 고조 • - 뉴욕 국제거래소 아라비카 커피 12월물 선물가격, 파운드당 1.94달러로 13년 만에 최고치 경신 • 지난 6월 이후 44% 폭등 • - 브라질 베트남 등 주요 수출국, 커피 사재기 검토. 미국 보유 커피 재고, 10년 만에 최저 수준 • - 美 종합식품업체 J.M.스머커, 폴저스, 던킨도너츠, 밀스톤 등에 커피 소매가격 10% 이상 인상 • 세계 2위 식품업체 크래프트푸즈 및 그린마운틴커피로스터 등 가격 10~15% 인상 • 포화지방ㆍ트랜스지방 적은 콩기름 개발 (식품저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9.24) • - 미주리 대학교 연구진, 천연적으로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 낮은 기름 생산해내는 콩 개발 • - 자연수분과정 통해 올레산(올레인산) 풍부하고, 안정화, 더욱 몸에 좋은 콩기름 개발 • 올레산 함량을 20~80%로 증가시키고, 콩기름 내 포화지방 함량을 25%까지 감소 • - 다음 단계로 경제적으로 실행가능한 수확량 낼 수 있는지 판단 단계에서 예비연구결과 낙관적 • - 환경 따라 올레산 함량 차이 많으나 미주리 북부 올레산 70~80%, 미주리 남부 일관되게 80% 나타냄 • 中멜라민 함유 식품 규제 강화 - 실명등록제와 납품 전 검사제 도입 (식품일보 9.27) • - 도소매시장 팔리는 모든 멜라민 기록, 납품전 검사 명문화 등 식품•사료산업 멜라민 사용줄이는데역점 • - 유제품 기업, 시장 납품 전 모든 제품 멜라민 검사. 일반식품 역시 모든 유제품 검사 실시 • - 모든 유제품 안전 감독 철저 지시 및 식품 안전성 감독할 공무원을 관련 기업들에 파견 • 中 상습•고의적 식품 위해사범 ‘극형’ (식음료신문 9.28) • - ‘식품안전을 위협하는 범죄활동 처벌에 관한 통지’ 발표, 상습•고의적 먹거리 위해사범 처벌 대폭 강화 • - 상습적 식품 위해사범은 사형 판결후 집행유예 또는 감형 못하며 불법 취득 재산 몰수 명시 • - 중국 식품안전사고, 08년 멜라민분유 파동 이후에도 폐기처분될 멜라민분유의 시중 유통, 석회밀가루 • , 쓰레기 식용유, 발암물질 함유 식용유, 공업용 소금 절인 독버섯 등 심각한 사회문제 대두

  19. 식 품 정 책 • 이물보고, 처분 행정완화 요청 - 방사선조사 표시 명칭의 변경도 (식품일보 9.1) • - 국내 식품관련단체대표, 식품이물보고와 행정처분 완화를 보건복지부와 식약청 등 관련부처 요청키로 • - 방사선조사식품 표시 명칭 변경, 영양성분 함량•색상모양표시(신호등 표시), 대형유통업체 • 불공정거래 개선, 대형유통업체의 도매업 진출 등에도 공조 • - 최근 정부 및 국회 식품안전규제 입법활동 강화로 식품업계 활동 크게 위축, 업계 안전수준 향상 노력 • 에도 불구 지원 및 정책적 배려 부족 입장 • 우리나라는 식품을 얼마나 수입할까요? - 2010년 '수입식품등 검사연보' 발간•배포 (식약청 9.7) • - 식약청 09년 수입식품현황 분석결과, 금액 8,434백만달러로 08년 대비 14.5% 감소,중량 11,302천톤 • 3.7% 감소, 255,341건으로 0.2% 증가 • - 주요 수입현황 • 1. 밀가루 제조용 밀 : 1,980천톤(11% 감소), 488백만달러 • 2. 식용유지류 등 제조•가공 원료 사용 원료용 제품 : 1,919천톤(08년 1,904천톤), 948백만달러 • 3. 옥수수 : 1,444천톤, 348백만달러 • - 수입국가(중량기준) : 미국 2,944천톤(26.1%), 호주 2,184천톤(19.3%), 중국 2,158천톤(19.1%) • 수입국가(금액기준) : 중국1,864백만$(22.1%), 미국 1,797백만$(21.3%), 호주 767백만$(9.1%) • - 홈페이지 발표한 검사연보에 총 수입 검사현황, 검사종류, 품목군, 품목, 국가, 부적합 사유 등 구성 • 치즈류 영양성분 표시 의무화 - ‘축산물의 표시기준 개정(안)’ 입안예고 (식품저널 9.10) • - 국립수의과학검역원, 10일 치즈류 영양성분 표시 의무화 한 ‘축산물의 표시기준 개정(안)’ 입안예고 • - 자연치즈, 가공치즈에 영양성분 표시, 카페인 ㎖당 0.15㎎ 이상 함유 축산물에 ‘고카페인 함유’ 표시 • 영양성분 표시대상 축산물에 내용량과 함께 해당 열량 표시 • - 표시사항 표시주체, 기존 ‘영업자’에서표시대상 축산물 ‘처리·제조·가공·수입하는 영업자’로 명확화

  20. 식 품 정 책 • 고열량ㆍ저영양 식품 어린이 시청시간 광고 제한 (식품저널 9.10) • - 식약청, ‘광고제한 및 금지대상 고열량ㆍ저영양 식품’ 제정 고시 • - 어린이 기호식품 중 고열량ㆍ저영양 식품, 오후 5시~7시까지어린이 주 시청 프로그램에 광고 제한 • - 어린이 주 시청대상 프로그램 : 어린이 대상 드라마, 어린이 대상 퀴즈와 게임, 동요, 어린이 대상 교육 • 및 정보프로그램, 어린이 대상 다큐멘터리, 어린이 대상 애니메이션, 기타 어린이 대상 프로그램 규정 • - 식약청장은 고열량ㆍ저영양 식품 목록을 작성, 정보제공을 요구하는 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 식품이물정책토론회…규제•처벌 가혹 (식음료신문 9.11) • - ‘식품이물 합리적 정책방안 모색 토론회’ : 김창민 식공협회 법령분과위원장, 유경모 기업소비자 • 전문가협회장, 김연화 한국소비생활연구원장, 최용훈 식약청 식품관리과 사무관, 임세희 보건복지부 • 사무관, 박기환 중앙대 교수, 김용현 한국식품공업협회 이사, 식음료신문 이군호 대표 등 9명 토론 • - 기업 : 현행 식품이물 정책이 기업에 너무 가혹해 완화 또는 자율에 맡겨달라 • 정부 : 이물 사고 경우 식중독 등 다른 사건에 비해 위해도 적은 것 사실이지만 소비자 불신으로 • 이슈화되는 만큼 간과할 수는 없으며 특히 쥐나 칼날 등 위해도 높은 이물은 규정 강화 불가피 • 개선의견 : 식품이물 문제는 정부 해결보다 객관적 중립적 중재위원회를 구성, 소비자 보상 등 기준을 • 마련해 합리적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 이물보고 의무화 규정을 악이용하는 블랙컨슈머 • 방지 대책도 심도 있게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 제시 • - 이물의 합리적 정책 방안 • * 엄격한 규제 산업 경쟁력 약화 가능성, 관련 통계 외국 유출 땐 경제에 악영향 • * 이물 기준 재정립 등 과감한 제도 개선 절실 • * 국민 정서 기반으로 정책 시행…부작용 다발 • * 통계 공개•블랙컨슈머 과잉보상이 문제 확대 • * 위해없는 단순 이물 정부 관여는 행정력 낭비 • * 혐오성 큰 이물 중재위 통한 보상 제도화를 • * 이물 제로•원인 규명 어려워 추측 보도 자제를

  21. 식 품 정 책 • * 유통업체 사각지대…대기업만 부각도 불공평 • * 영세업체 설비 투자 위한 정부 지원 뒤따라야 • - 이물관리 국가가 계속해야 하는가? • * 이물 범위 줄이고 위해성 판단 절차 구체화를 • *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통해 합의점 찾아야 • * 순 이물은 보고 않고 기업 차원서 해결하되 • * 위해도 높은 품목만 정부 차원서 규제하길 • 더독해진 블랙 컨슈머에 비상령 - 의도적으로 악성 민원을 제기 빈발 (식품일보 9.13) • - 기업 상대로 구매상품 대해 보상금 등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악성 민원 제기 소비자(블랙 컨슈머) • 수법이 갈수록 지능화해 업체들 골치 • - 업체에 전화, 사과·보상 요구하던 과거와 달리 동일 의사소견서 발부, 다수 업체에 보상요구 등 전문화 • - 기업 소비자상담실 회원모임 ‘기업소비자전문가협회’, 실제 원인 뚜렷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일한 • 민원 제기했다고 ‘블랙 컨슈머’ 단정할 수도 없어 힘들며 업체 공동 대응 필요하지만 실제 구체적 • 대안 만들기도 힘든 실정 • - 대한상공회의소, 300개 기업(대기업 150개, 중소기업 150개) 대상 조사 결과 • 소비자로부터 부당한 요구 받은 경험 있는 기업 07년 61.1%, 08년 87.1% • - 부당 요구유형 : 적정 수준 넘는 과도한 보상 요구(53.7%), 규정에 없는 환불•교체 요구(32.4%), • 보증기한 지난 후 무상수리 요구(13.9%) 등 순 • 기업의 75.8%는 부당한 요구 수용한 적이 있다고 응답 • 청소년 과자와 음료등 과다섭취 - 1인당 하루 평균 3.5회 가량 먹어 (식품일보 9.23) • - 식약청, 07~09년 전국 영유아, 어린이, 청소년 6천625명대상 과자·당류 하루평균 섭취빈도 조사결과 • - 연령대별 : 1~6세 영유아 3.15회, 7~12세 어린이 3.24회, 13~19세 청소년 3.93회

  22. 식 품 정 책 • - 종류별 : 과자류 0.8회, 당류 0.5회, 빵류 0.3회, 유제품류 1.0회, 음료류 0.7회, 기타 0.2회 순 • - 품목별 : 과실음료 0.23회, 아이스크림 0.22회, 탄산음료 0.2회, 가공우유 0.2회, 빵류0.2회,쿠키0.2회 • - 과자·당류 많이 섭취 상위 5%의 과체중ㆍ비만비율 : 15.12%로 전체평균 12.5%보다 높음 • 음료와 주류 섭취량은 상위 5% 그룹이 81.73g으로 5% 미만 그룹 46.63g의 거의 두 배 수준 섭취 • 식품 수출국 현지 제조업체 출입ㆍ검사 - 식품위생법 일부개정법률안 입법예고 (식품저널 9.24) • - 수입식품 안전관리 강화 위해 우리나라 식품위생 당국이 수출국 현지 제조업체 대해 출입 및 검사 • 할 수 있는 법적 근거 마련 • - 수입자에게 ‘수입식품 등의 목적 외 용도 사용 및 판매 금지’, ‘수입신고 시 허위서류 제출 금지’, • ‘검사결과 부적합 처분 받아 반송 제품 수입 금지’ 등 의무 부여 • - 영업신고 및 폐업신고 시 지자체장 등이 사업자등록ㆍ폐업 필요한 정보를 관할세무서장에 통보 • 관할세무서장이 의무적으로 지자체장에게 폐업신고 및 사업자등록 말소 정보 제공 • - 식품 위해발생 우려 낮은 일부 식품접객업자 경우 2년마다 식품위생교육 받도록 교육 주기 완화 • 집단급식소 근무 조리사와 영양사 직무를 법률에 규정 • - 품목제조보고 위반 시 영업정지를 폐지, 과태료만 부과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