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4

공정사회와 복지사회

공정사회와 복지사회. 서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 이 승 훈. 목 차. 공정성의 본질 자유주의와 Rawls 공정한 시장경제 복지사회의 필요성과 문제 공정사회와 복지사회. 공정성의 본질. 공정성은 사회적 개념 . cf. R. Crusoe 사회생활에서 개인의 권리와 의무 , 그리고 행동의 자유 와 결과에 대한 책임 이 적절히 획정되어 있는가 ? 사회가 불공정하면 억울한 사람이 많은 법 . 그런데 그 逆도 성립하나 ?

idola
Download Presentation

공정사회와 복지사회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공정사회와 복지사회 서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 이 승 훈

  2. 목 차 • 공정성의 본질 • 자유주의와 Rawls • 공정한시장경제 • 복지사회의 필요성과 문제 • 공정사회와 복지사회

  3. 공정성의 본질 • 공정성은 사회적 개념. cf. R. Crusoe • 사회생활에서 개인의 권리와 의무, 그리고 행동의 자유와결과에 대한 책임이 적절히 획정되어 있는가? • 사회가 불공정하면 억울한 사람이 많은 법. 그런데 그 逆도 성립하나? • 공정성에 대한 개인별 인식이 사람마다 다르고 그 사회의 공식적 인식과도 다르면?

  4. 공정성의 본질 2 • 특히 소득분배의 기준 : “누구나 인간답게 살 몫을 보장받아야” vs. “생산에 기여한 만큼 분배받아야” • 생산에 기여한 정도가 인간답게 살 몫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의 공정한 분배는? • 사회복지혜택은 수혜자의 권리인가, 아니면 시혜자의 배려인가?

  5. 자유주의와 Rawls • Nozick : “개인은자신을 소유한다.” 개인은 행동 결정의 권한을 보유 (자유) 하고 그 결과 (권리와 의무) 를 책임진다. • Rawls : “개인의 능력은 각자의 노력만으로 배양된 성과가 아니다.” 개인 능력의 성과는 반드시 그 개인만의 성과가 아니다.

  6. 자유주의와 Rawls 2 • Homestead Principle (John Locke) : 누구의 소유도 아닌 자원에 노동을 가하여 생산한 재화는 노동을 수행한 사람의 소유. • Difference Principle : 개인의 능력은 각자의 이익만이 아니라 그 사회 최약자를 돕는 데 쓰여야. 최약자를 돕는 차등만 정당. • Marx의 잉여가치설 : 이윤은 근로자가 생산한 가치를 착취한 것.Homestead P.!

  7. 자유주의와 Rawls 3 • 차등원칙은 개인능력의 사유를 어느 정도 부정하므로 능력배양 유인을 약화시킬 우려. • 그러나 차등원칙은 ‘최저임금제’와 ‘affirmative action’ 등 최약자에 대한 몇 가지 배려를 요구하는 시장주의. 시장주의 > 차등원칙 > 사회주의

  8. 공정한시장경제 • 사유재산권에 기초한 시장교환 • 자유로운 생업 선택을 허용하는 사회적 분업 • 각 생업은 나 아닌 남들이 쓸 물자를 생산하여 소득을 얻고, • 이 소득으로 다른 사람들의 생업이 생산한 물자를 구입하여 생활

  9. 공정한시장경제 2 • 시장신호 (가격 등) : 무엇이 더 필요하고, 무엇이 덜 필요한지? • 기업(개별 생업 등) :사적 이익 추구의 생산 • 더 필요한 물자는 가격이 오르므로 이 물자를 생산하는 생업을 이익으로 포상 • 덜 필요한 물자 생산에 대한 징벌도 유사. • 시장의 상벌기능은 이기심을 방임하여 사회적 필요에 맞는 자원배분을 유도.

  10. 공정한시장경제 3 • 시장경제의 공정성은 결국 교환의 공정성 - 애초에 보유한 재산권의 정당성 - 능력 행사와 보상에 대한 합의과정의 공정성 - 계약 이행의 공정성 • 공정한 시장경제의 소득분배는 결국 생산에 기여한 정도로 귀결. 이 소득으로 생활이 불가능한 저소득층은?

  11. 복지사회의 필요성과 문제 • 스스로 생계를 유지하지 못하는경쟁실패자, 재난피해자, 사회적 약자를 방치하는 사회는 공정한가? 사회복지의 필요성 • 사회 복지 : 경쟁실패자, 재난피해자, 사회적 약자에 대한 사회적 보조 • 복지재원은 경쟁 성공자의 소득에서 조달.

  12. 복지사회의 필요성과 문제 2 • 복지혜택이 수혜자의 ‘공정’한 몫이라면 성공자의 생산기여도만큼 받은 몫은 ‘불공정’한 소득! • 열심히 일하고 공정하게 경쟁하여 얻은 소득을 ‘불공정’하다고 규정하는 사회라면 경쟁 성공자는 그 사회를 불공정하다고 느낄 것.

  13. 공정사회와 복지사회 • 생활능력이 없는 집단을 굶어 죽도록 방치하는 사회 : 공정사회일 수는 있어도 결코 바람직한 사회는 아님. • 복지혜택을 수혜자의 권리로 규정하고 경쟁성공자의 소득을 불공정한 소득으로 규정하는 사회 : 억울한 사람들을 양산하는 사회. • 복지사회는 시장경제의 비정한 공정성을 사회복지의 배려로 보완한 사회.

  14. 공정사회와 복지사회 2 • “공정한 시장경제를 실현하고 국민적 합의로 재원을 출연한 복지국가” 對 “사회복지가 실현되어야 공정사회라고 규정하여 시장경제의 공정성을 인정하지 않는 복지국가”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