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9

정 약 용 - 실사구시의 위대한 기술관료 -

정 약 용 - 실사구시의 위대한 기술관료 -. 14 조 200603088 김영흥 200802998 김보름 200803086 유혜지. 정약용 , 그는 누구인가 ?. 정약용 ( 丁若鏞 , 1762~1836). 조선 후기의 학자 정인보의 평가 “ 선생 1 인에 대한 요구는 곧 조선사의 연구요 , 조선 근세사상의 연구요 , 조선 심혼의 명예 내지 전조선 성쇠존망에 대한 연구다 .” 실학을 집대성 < 목민심서 >,< 경세유표 > 기술분야에도 뛰어난 업적. 정약용의 생애.

howell
Download Presentation

정 약 용 - 실사구시의 위대한 기술관료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정 약 용 - 실사구시의 위대한 기술관료 - 14조 200603088 김영흥 200802998 김보름 200803086 유혜지

  2. 정약용, 그는 누구인가? • 정약용(丁若鏞, 1762~1836) • 조선 후기의 학자 • 정인보의 평가 “선생1인에 대한 요구는 곧 조선사의 연구요, 조선 근세사상의 연구요, 조선 심혼의 명예 내지 전조선 성쇠존망에 대한 연구다.” • 실학을 집대성 • <목민심서>,<경세유표> • 기술분야에도 뛰어난 업적

  3. 정약용의 생애 http://www.youtube.com/watch?v=sME312ZsRJk

  4. 정약용-기술에도 밝은 실학자 어릴 적 천연두에 걸린 정약용을 치료해준 왕족 출신의 명의 이헌길

  5. 정약용-기술에도 밝은 실학자 • 1777년(16세) 이가환을 만나 이익의 학문을 접하면서 실학사상의 토대를 다짐 ◀ 실학박물관안에 정약용의 저서로 구성되어 있는 기념탑

  6. 정약용-기술에도 밝은 실학자 1. 노량진에 주교(舟橋)를 가설

  7. 정약용-기술에도 밝은 실학자

  8. 정약용-기술에도 밝은 실학자 ▲드라마 ‘이산’ 방송 장면

  9. 정약용-기술에도 밝은 실학자

  10. 정약용-기술에도 밝은 실학자 2. 화성 신도시 건설 사업의 책임자로 활동 ◀ 화성

  11. 정약용-기술에도 밝은 실학자

  12. 정약용-기술에도 밝은 실학자 ▲유형거와유형거 바퀴

  13. 정약용-기술에도 밝은 실학자 ▲유형거

  14. 정약용-기술에도 밝은 실학자 ◀ 거중기

  15. 정약용-기술에도 밝은 실학자 ▲ 거중기

  16. 정약용-기술에도 밝은 실학자 이 외에 화성 공사에 쓰인 장비들 ▲녹로

  17. 정약용-기술에도 밝은 실학자 ▲ 평거 ▲ 동거

  18. 정약용-기술에도 밝은 실학자 ▲ 화성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축성방법

  19. 정약용-기술에도 밝은 실학자 ▲ 화성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축성방법

  20. 정약용-기술에도 밝은 실학자

  21. 정약용 - 선진 기술을 배워야 <기예론(技藝論)> • “사람이 많이 모일수록 그 기술이 정교해지고, 세대가 내려갈수록 그 기술이 더 공교해진다” • 기술의 성격에 대한 우리나라의 최초의 집필

  22. 정약용 - 선진 기술을 배워야 • 인간과 동물의 차이를 삼강오륜과 같은 윤리에서 찾지 않고 기술의 습득과 활용에서 찾았다.

  23. 정약용 - 선진 기술을 배워야 “시대가 지날수록 기술이발전한다” 상고사상 (常古思想) 진보관 (進步觀) 진보관 (進步觀)

  24. 정약용 - 선진 기술을 배워야 “오랑캐들과 사귀어서라도 선진 기술을 배워야 한다”

  25. 정약용 - 선진 기술을 배워야 “위민사상” <도량형의(度量衡議)> <응지논농정소(應旨論農政疏)>

  26. 정약용 - 선진 기술을 배워야 • <도량형의(度量衡議)>

  27. 정약용 - 선진 기술을 배워야 • <응지논농정소(應旨論農政疏)>

  28. 정약용 - 선진 기술을 배워야 ▲ 정약용 유배지

  29. 정약용 - 선진 기술을 배워야 ▲ 여유당(與猶堂)

  30. 정약용 – 기술적 소양이 관료의 필수 조건 <목민심서> • 1818년 완성 • 지방의 수령이 각종 기술을 도입하여 사용할 것을 권장 <경세유표> • 1817년 완성 • 기술을 도입하고 개발하기 위해 국가기관을 신설하거나 정비할 것을 제안

  31. 정약용 – 기술적 소양이 관료의 필수 조건 <목민심서> • 호전 육조(戶典 六條)’ • 농기와 직기를 만들어 백성들의 생활을 능률적이고 넉넉하게 하는 것이 수령의 직무 • 농민이 많은 일을 하면 괴로울 뿐만 아니라 실효를 거둘 수 없다고 지적 • 토지의 용도에 따라 농업을 6과로 전문화할 것을 제안. (곡물, 과수, 채소, 직물, 원료, 축산업)

  32. 정약용 – 기술적 소양이 관료의 필수 조건 <목민심서> • ‘공전 육조(工典 六條)’ • 건축 작업시11가지의 각각의 조목마다 지켜야 할 원칙과 구체적인 시행방법을 제시 • 유형거와거중기의 광범위한 활용을 제안 • 도량형을 국가적 차원에서 통일할 것을 주장.

  33. 정약용 – 기술적 소양이 관료의 필수 조건 <경세유표> • ‘동관공조(冬官工曺)’ • 북쪽에 가서 기술을 배워오는 ‘이용감’을 신설하여 기술을 도입,보급하고 기술자를 양성하자고 제안. • 이용감은오늘날의 과학기술연구소에 해당하는 것. • 기술진흥방안을 가장 분명하게 엿볼 수 있는 글

  34. 정약용 – 기술적 소양이 관료의 필수 조건 • 기술자 육성방안 • 우수한 성적의 기술자를 신분에 관계없이 등용 • 장인들을 한 곳에 모아 기술적 능력을 향상 ▲ 드라마 ‘성균관 스캔들’ 중 정약용

  35. 위대한 기술관료 “정약용”

  36. 백성을 사랑한 정약용 ▲정약용 선생의 묘지

  37.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 위키백과 • http://joyesa.tistory.com/137 • http://blog.daum.net/kimdh5/6682262?srchid=IIMp5Rmq000 • http://ipcs21.com/default/index_view_page.php?part_idx=119&idx=25563 • http://hamdongjin.kll.co.kr/ • http://www.redian.org/news/articleView.html?idxno=18571

  38. 질문 ?

  39. 감사합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