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0 likes | 676 Views
제 3차 FX 사업과 전망, 논쟁들. 목차. 주제 선정 이유 제 3 차 FX 사업을 다루기 전에 -한국의 전투기 도입과정. - KFX 와 제 1차 FX 사업. 목차. 제 3차 FX 사업 -후보기체들 -문제점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 논쟁들 앞으로의 결과 예측과 본인의 견해 참고문헌 Q&A. 주제선정 이유. 제 3차 FX 사업은 한국의 무기도입 사업중 가장 큰 예산이 들어갈 사업이며 그만큼 논쟁도 많은 사업임.
E N D
목차 주제 선정 이유 제 3 차 FX사업을 다루기 전에 -한국의 전투기 도입과정. -KFX와 제 1차 FX사업
목차 제 3차 FX 사업 -후보기체들 -문제점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 논쟁들 앞으로의 결과 예측과 본인의 견해 참고문헌 Q&A
주제선정 이유 • 제 3차 FX 사업은 한국의 무기도입 사업중 가장 큰 예산이 들어갈 사업이며 그만큼 논쟁도 많은 사업임. • 밀리터리에 관심이 있거나 그렇지 않다 하더라도 이번 사업은 지난 제 1차 FX사업처럼 세간의 논쟁이 될 가능성이 높음. • 무기 도입과정에서의 예산 사용과 이해가 필요함.
제 3차 FX 사업을 다루기 전에 • 한국의 전투기 도입과정 • KFX와 제 1차 FX 사업
한국의 전투기 도입과정 • F-4E: 68대 • 70년~80대 미국으로부터 율곡사업의 일환으로 FMS방식으로 도입 및 주한미군 퇴역 기체 저가로 구입.
한국의 전투기 도입과정 • F-5E/F: 170대 • 70년대 미국으로부터율곡사업의일환으로FMS방식으로 도입 및 82년 제공호라는이름으로라이센스생산.
한국의 전투기 도입과정 • F-16 C/D 블록 32: 32대 • 86년 피스브릿지1 사업으로 39대 도입.
한국의 전투기 도입과정 • KF-16 블록 52:134대 • 91년 KFP사업을통해 140대 직도입 및 국내라이센스생산.
한국의 전투기 도입과정 • F-15K: 60대 • 2002년 제 1차 FX 사업을 통해 40대 도입, 2008년 제 2차 FX 사업을 통해 21대 도입.
KFP와 제 1차 FX사업 • KFP(Korean Fighter Program)사업은 1980년대 전두환 정권당시 시작. • 결국 최종후보로 F/A-18C/D 호넷과 F-16 C/D 파이팅 팰콘 블록 32으로 최종후보가 압축. • F/A-18C/D 호넷으로 선정되나 당시 제작사인 맥도널 더글라스가 가격을 25%나 올림. • 이와중에 제너널 다이나믹스가 획일적으로 개량된 K F-16 C/D 블록 52를제안
KFP와 제 1차 FX사업 • 이에 91년 제너럴 다이나믹스의 KF-16 C/D 블록52로 최종 선정됨. • 기종변경에 대해 말이 많았으나 블록 52로 획일적으로 개량되면서 AIM-120 암람 공대공 미사일을 통한 장거리 공격 가능 및 레이더와 전자전 기기등이 획일적으로 개량된 것이었으며 당시 F-16 계열로는 한국이 최초로 인도받음. • F-18 C/D 호넷에 비해 운영및 유지에 있어 상당히 수월하고 비용도 낮아서 이 선택은 옳은것으로 평가받음.
KFP와 제 1차 FX사업 • KFP 사업을 통해 KF-16을 획득했으나 기존 F-4D등의 노후화 및 북한의 MIG-29 도입, 일본의 F-15J도입등으로 F-15C/D급 중형전투기 도입을 필요로 함. • 당시 냉전종식으로 인한 군축으로 인해 방산업계로써는 상당한 관심을 가지게 됨. • 93년 국방부는 중기계획으로 120대의 전투기 도입을 계획하나 120대는 부담스러운 수량이며 E-X, KC-X, KTX-2 사업등이 몰려서 사업진행을 늦춤
KFP와 제 1차 FX사업 • 결국 1998년에 사업을 진행하고 2000년에 선정하려고 했으나... • 1997년 외환위기 발생 • 도입을 뒤로 미루고 40대 구매로 대폭 삭감되고 20대는 상황에 따라 추후 구매로 결정.
KFP와 제 1차 FX사업 • 당시 국방부는 기술이전및 성능부분에 중점을 두며 업체간 치열한 경쟁을 유도함. • 최종 단계에서 라팔과 F-15K가 접전을 펼쳤고 몇몇 논란이 있었지만 F-15K가 선정됨. .
KFP와 제 1차 FX사업 • 결국 한국은 전투기 도입과정에서 업체간 철저한 경쟁을 유도하였으며 그과정에서 낮은 가격과 최신 성능을 보장받음. • 논란은 많았지만 전문가들은 한국의 결정을 옳다고 판단함.
제 3차 FX사업 • 후보기종과 특징들 • 논쟁들
후보기종들과 특징들 • F-35 • F-15SE • 유로파이터타이푼
앞으로의 결과 예측과 본인의 견해 • 결과적으로 이런 문제에도 불구하고 한국 공군은 300~400대 수준의 전투기 유지를 원함. • 결과적으로는 도입을 할수 밖에 없음. • 또한 주변국의 스텔스기 개발과 도입은 무시할수 없음
러시아 • 러시아는 2010년 1월 PAK-FA라는 스텔스기를 시험비행에 성공. 현재 3,4호기까지 테스트중임.
일본 • 일본은 지난 도호쿠 대지진으로 F-2B 12대의 손실및 F-4J의 퇴역일정이 급함에도 불구하고 2011년 12월, 가장 유력했던 F/A-18 E/F 슈퍼호넷이 아닌 F-35를 도입하기로 결정.
북한 • 북한은 2010년 군사퍼레이드에서 S300(혹은 중국제 FT-2000)에 흡사한 지대공 시스템을 공개한바 있으며 이는 한국 공군에게 위험요소가 될 것임.
참고문헌 • 황재연, 박재석, 김정환, 2006, 『2007 한국군 연감』, 군사연구 • 양욱, 2007,『하늘의 지배자, 스텔스』플래닛 미디어 • 홍희범 2012년 8월, 9월『월간 플래툰』, 호비스트 • 2011년 10월 『월간 항공』 단행본「 Silent Eagle」
참고문헌 • 보잉, 사일런트 이글(http://www.boeing.co.kr/ViewContent.do?id=60702&aContent=F-15SE%20%EC%82%AC%EC%9D%BC%EB%9F%B0%ED%8A%B8%20%EC%9D%B4%EA%B8%80%20(F-15%20Silent%20Eagle)
참고문헌 • EUROFIGHTER FOR KOREA, (http://www.eurofighter.co.kr/) • F-35 한국 공식 온라인 알림공간, (http://www.lmf35.com/)
참고문헌 • 이미지 참고-대한민국 공군-미 공군-Ace Combat 6(Bandai-Namco.co)-Love, Elections, & Chocolate(Sprite)-엔하위키-위키백과
Q&A • 시간이 모자르거나, 차후 의문이 생기시면블로그(http://ksdd5713.egloos.com)트위터(twitter.com/NuGunGaEChinGu)로 문의하시면 답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