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 likes | 355 Views
Revision 0/2007.10.25. 한국의 해외건설 세계 5 강 진입. - 상품과 기술 Brand 전략 -. 이 복 남 韓國建設産業硏究院. 주요목차 . 한국의 해외건설 목표 세계건설시장 전망 한국의 해외건설 시장 전망과 전략 방향 세계 5 강 진입을 위한 Brand 전략 Global Leading Player 양성 전략 전략 가시화를 위한 국가 전략. 한국의 세계건설시장 목표. 한국의 해외건설 시장 목표 사례 . 건설산업의 장기비전 설정 및 세부전략.
E N D
Revision 0/2007.10.25 한국의 해외건설 세계5강 진입 - 상품과 기술 Brand 전략- 이 복 남 韓國建設産業硏究院
주요목차 • 한국의 해외건설 목표 • 세계건설시장 전망 • 한국의 해외건설 시장 전망과 전략 방향 • 세계5강 진입을 위한 Brand 전략 • Global Leading Player 양성 전략 • 전략 가시화를 위한 국가 전략
한국의 세계건설시장 목표 한국의 해외건설 시장 목표 사례 건설산업의 장기비전 설정 및 세부전략 • 2003년 건교부/대한토목학회 연구결과 • => 2025년까지 해외시장 점유율 11% 목표 • 설문조사 시 80%가 동의 2010년 플랜트 수주 300억불 달성을 위한 플랜트 수출산업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 2004년 산업연구원 연구 결과 • => 300억불은 해외플랜트 시장의 25% 비중 임. 제1차엔지니어링기술진흥기본계획 • 2002년 과학기술부 발표 • => ’02년 0.18%에서 ’07년까지 해외시장의 3%로 확대
한국의 세계건설시장 목표 한국의 해외건설 시장 목표 사례 건설교통 R&D 혁신로드맵 보고서 • 2006년 건교부/건설교통평가원 연구결과 • => 2012년까지 해외시장 점유율 목표 10% 해외건설 선진국 도약을 위한 제도적 기반구축 방안 • 2006년 건교부/한국건설기술연구원 • => 2010년까지 해외시장 점유율 목표 10% 해외건설시장에 대한 국가의 목표 시사점 • 2000년도 이후부터 국가의 목표가 최소 10% 상회 • 소요기간은 최소 5년 최대 20년 정도 예상 • 공통과제 • 해외전문가 양성, 제도의 선진화(글로벌화), 금융지원 • 정부의 창구 일원화 등
세계건설시장 전망 해외 건설시장 전망 2009년까지 고유가 유지 전망 • Global Insight사 배럴당 60달러 이상 가정 • 매년 5~6% 성장세 유지 • 현재 유가는 90달러에 육박 5% 이상을 전망하는 기관 • Global Insight(미국) • Intechno(스위스) 국제 유가와 해외건설시장과의 상관관계
세계건설시장 전망 세계 건설시장 장기 전망 * Fourth Annual Construction Web Event (World Construction Outlook), Global Insight, 26 September 2007
세계건설시장 전망 세계 건설시장 단기 전망 전체 건설시장 전망 • ’06~’11 사이 • 일본이 유일하게 감소 • 향후 5년간 연 평균 시장 성장 주거용 제외 건설시장 전망 • ’06~’11 사이 • 일본이 유일하게 감소 • 향후 5년간 연 평균 시장 성장 • 세계 최고 성장세는 베트남(16.2%) *World Construction Outlook, Global Insight, 26 September 2007 (Fourth Annual Construction Web Event)
한국의 해외건설 시장 전망과 전략 방향 해외건설 세계5강 진입 기준 세계5강의 모습(목표) • 연 평균 수주액 300억불 지속 달성 • 연 평균 매출액 200억불 지속 • ’06년 기준 세계225대 기업 매출액의 8.9%에 해당
한국의 해외건설 시장 전망과 전략 방향 대한민국 G5 플랜트 강국보고서 G5 플랜트 강국의 모습(2015) • 플랜트 1,000억불 수주/년 • 세계시장 점유비 10% 달성(현재 3%) • 미국→중국→프랑스→일본→인도→(한국) ’07년 G5 플랜트강국 보고서 • Global No.1 제품 3개 보유 • 담수플랜트·해양플랜트·LNG플랜트 • 국내 3大 수출상품 • 수출 기여도 15% 달성 • Global Top 15 플랜트업체 3개 확보 *대한민국 G5 플랜트 강국 보고서, 한국플랜트산업협회·ADL·매경TV, 2007.5
한국의 해외건설 시장 전망과 전략 방향 해외건설 세계5강 진입 기준 2006년 기준 세계 10강의 해외시장 점유율 모습 • 미국 17.1%(51개 기업군), 38,298백만 달러 • 프랑스 15.0%(8개 기업군), 33,683백만 달러 • 독일 11.5%(6개 기업군), 25,890백만 달러 • 일본 8.4%(15개 기업군), 18,754백만 달러 • 중국 7.3%(49개 기업군), 16,289백만 달러 • 스페인 5.7%(8개 기업군), 12,751백만 달러 • 영국 5.2%(5개 기업군), 11,703백만 달러 • 이태리 3.0%(11개 기업군), 6,790백만 달러 • 한국 2.9%(10개 기업군), 6,452백만 달러 • 네넬란드 2.7%(2개 기업군), 6,055백만 달러 2006년 Top 225기업들의 해외시장 모습 • 해외 매출 총액 : 2,244억 달러 • 신규 수주 총액 : 3,002억 달러
한국의 해외건설 시장 전망과 전략 방향 비 산유국과 산유국의 경제발전 경로 산업단지 물류·교통 주택·도시 서비스산업 중심으로 개편 비 산유국의 경제발전 경로 경제성장기반 투자 국민 삶의 질 투자 신 성장동력에 투자 석유생산시설 사회간접시설 석유연관시설 금융·레져 도시·주택 산유국의 경제발전 경로 석유경제 중심 투자 석유대체산업 투자 신 성장동력에 투자
한국의 해외건설 시장 전망과 전략 방향 성장하고 쇠퇴하는 지역 제 2의 인도를 꿈꾸는 베트남, 오일 머니에 힘입은 중동 시장이 급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아시아 GRDI 에 따른 소비 시장 기회 • 베트남: 중국∙인도에 이어 아시아 소비 시장을 이끌 전망 • 카자흐스탄: 카스피해 자원 부국으로서 서서히 관심 대상으로 등장 러시아 베트남 중국 인도 사우디, UAE 슬로바키아 • Declining • 계속 성장 중이나, 신규 진입은 어려운 단계 • 주요 도시에서 2nd-Tier도시 이동 필요 Peaking • 빠른 성장세 보이며 현대식 소비시장으로 전환 • 대형매장 헝가리 중 동 카자흐스탄 Closing • 현대식 소비 패턴 정착(40~60%) • 진입기회 급감 • 특화 진출 전략 필요(할인점, 가전 또는 의류 전문 매장) • Opening • 관심시장으로 진입하는 단계 • 시장 모니터필요 • 과거와 달리 오일 머니의 자국 내 재투자 확대로 소득, 소비 확대 • 사우디, UAE 등의 소비 시장 급성장세 • 특정 브랜드의 MS 낮아 진입 장벽 상대적으로 낮은 편 주: GRDI(Global Retail Development Index) 자료: A.T.Kearney, ‘Emerging Market Priorities for Global Retailers’, April 2006, p. 15
한국의 해외건설 시장 전망과 전략 방향 한국이 주력할 시장의 가치판단 시장 규모와 비중 • 아시아권의 비중이 37% -> 48%로 확대 • 중동지역은 변화 없이 현상 유지 <권역별 건설시장 점유비> 중동권의 경제 안정화 향상 뚜렷 <안정화되어가는 중동경제> • Fourth Annual Construction Web Event • (World Construction Outlook), Global Insight, 26 September 2007
한국의 해외건설 시장 전망과 전략 방향 주력해야할해외시장의 고유역량이필요한 이유 • BRICs • 러시아와 중국은 생산기술역량이 뛰어남. 시장은 크지만 위험부담이 높은 지역 기타 아시아권과 아프리카, 그리고 중동권에는 차별화된 기술 필요 • Fourth Annual Construction Web Event • (World Construction Outlook), Global Insight, 26 September 2007
세계5강 진입을 위한 Brand 전략 세계5강 진입을 위한 한국건설의 브랜드화 Top 10 Brand Product 선정 시 고려 • 시장과 성장성이 큰 상품 • 보편적이지 않는 기술과 독창성과 희귀성 중시 • 국내외 실적을 통해 세계시장에서 인지도가 높아진 상품 • 부가적인 효과 창출이 가능한 상품 Top 10 Brand Technology 선정 시 고려 • 한국건설을 대표 할 수 있는 기술 보유 • 다소 부족하더라도 역량 개발을 통해 보유해야 할 기술 • 보편적이지 않지만 희소성으로 인해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 • 가시적으로 보여 줄 수 있고 또 종합기술이 연합되는 기술
세계5강 진입을 위한 Brand 전략 세계5강진입을 위한 상품과 기술 Top 10 Brand Technology Top 10 Brand Product • 초고층 수직 양중 공법 • 해상초고층 부재 모듈화 공법 • 교량 상판 교체 공법 • 해저·하저 침매터널 공법 • Top-Down 및 Lift-Up 공법 • 철근 모듈화 공법 • U-City 통합기반 기술 • 공사 현장 정보관리 IT기술 • 현장 물류관리시스템 기술 • 초고강도 콘크리트 시스템 기술 • 신도시와 도심 재생 사업 • 고급아파트 단지 • 주상복합·초고층건물 • 초고속도로 • 도시철도 • 고속철도 • 국제허브공항 • 원자력·화력 발전플랜트 • 석유·화학 및 GTL플랜트 • 담수화플랜트
20.0% GRUPO ACS KBR BECHTEL VINCI SKANSKA AB 60.0% 전문화 다변화 FCC HOCHTIEF FERROVIAL CHINA CHINA STATE CON. METALLURGICAL ROYAL BAM GROEP TECHNIP CENTEX 100.0% 0.0% 50.0% 100.0% 내수시장 해외시장 Global Leading Player 양성 전략 해외건설 시장의 Leading Player 발주방식과 위험분담 • 수직통합 역량 보유 필수 • 역량 확보 수단으로 “M&A” 시장 포트폴리오 • 자국과 해외시장 균형 상품 포트폴리오 • 단순화에서 다양화로 해외시장의 Players • 자국 내 업체의 0.1% 이하 • 기업의 규모가 점점 커짐 • => 1위와 10위 차이가 2.2배 • 1위 국가와 10위 국가 • => 6.3배 차이 글로벌 기업들의 사업구조와 시장 다변화 전략
Global Leading Player 양성 전략 세계5강 진입을 위한 Leading Player International Top 200대 진입 기업군 양성 • 30억 달러 클럽 기업군(Global Star) 5개 • 15억 달러 클럽 기업군(International Star) 5개 • 1억 달러 클럽 기업군(National Star) 15개 • 5천만 달러 클럽 기업군(Rising Star) 20개 Global Top Expert그룹 • 5천명 이상 양성 • 국내 전체 기술인력의 1%를 Global Expert그룹으로 양성 • => 국내 등록 기술자 : 약 570,000명
전략 가시화를 위한 국가 전략 목표 달성을 위한 국가 전략 제시 전담 조직 및 역할 분담 • 범정부·범산업 차원에서 창구 총괄 법과 제도의 글로벌화 • 해외건설 관련 법은 ‘Negative’개념으로 전환 해외시장 점유율 목표 확대 • 금융시스템 혁신 필수 글로벌 브랜드화 • 국가와 공동작업 필수 글로벌 기업과 전문가 양성 • 소수 정예지만 소수 내 인적 인프라는 강하고 풍부하게
전략 가시화를 위한 국가 전략 세계5강 진입 전략 실행 요구 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