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0 likes | 643 Views
일본 지진피해 복구현황 및 한일 교역 영향. 2011.05.13. 일본사업처. I. 지진 복구 현황 및 영향. II. 산업별 영향. Ⅲ. 한일 교역에 미치는 영향. I. 지진 복구 현황 및 영향. 3.11( 금 ) 14:46, 규모 9.0 대지진 발생 사망 및 실종 24,823 명 (5.10 현재 ) (95 년 . 고베 지진 사망자 6,436 명 ). 쓰나미 피해 심각 지역. 130km. 진앙지. 373km. 원자력안전보안원 , 7 단계로 상향 (= 체르노빌 )
E N D
일본 지진피해 복구현황 및 한일 교역 영향 2011.05.13 일본사업처
I. 지진 복구 현황 및 영향 II. 산업별 영향 Ⅲ. 한일 교역에 미치는 영향
I. 지진 복구 현황 및 영향
3.11(금) 14:46, 규모 9.0대지진 발생 사망 및 실종 24,823 명(5.10 현재) (95년. 고베 지진 사망자 6,436명) 쓰나미 피해 심각 지역 130km 진앙지 373km
원자력안전보안원, 7단계로 상향 (=체르노빌) 도쿄전력, 원전 안정(원자로 냉온정지상태)까지 6-9개월 소요 예상 센다이 도쿄
동북전력 피해발전소 557만kW 동북전력 총 1655만kW (지진피해 33.5%) 전력 피해 오나가와(원전) 217.4만kW 원자력발전소 화력발전소 센다이(화력) 44.6만kW 도쿄전력 공급 지역 동북전력 공급 지역 신센다이(화력) 95만kW 홋카이도 최대 60만kW 하라마치(화력) 200만kW 동경전력 피해발전소 1489.6만kW 동경전력 총 6448.7만kW (지진피해 23. 1%) 후쿠시마(1원) 469.6만kW 니가타현 원전330만kW 후쿠시마(2원 440만kW 서일본 최대 100만kW 히로노(화력) 380만kW 중 160만kW 정지 800만 Kw 부족 히타치나카(화) 100만kW 전력수요 제한 ( 제한송전 중지, 사용전력 삭감(15% 수준)의무화 검토 ) 가지마(화력) 440만kW 중 320만kW 정지 최대수요 4,650만 ⇒ 5,200만 Kw 공급 가능 6,000만 Kw
인프라 피해 및 복구 공항 : 센다이공항(일부 국내선) 제외 정상 운항 항만 : 15개 항만 모두 이용가능 상태 도로 : 고속도로 전구간 복구, 직할국도 99% 복구 철도 : 4월말로 거의 복구 완료 도로, 공항, 항만 복구현황 신칸센 및 일반철도 복구현황
피해규모 및 GDP 영향 지진 피해 15~25조 (GDP의 3~5%, 코베지진10조엔) GDP 2.1% 하락 요인 복구 수요 (정부예산 5년간 20조 이상) GDP 1.6% 상승 요인 ’11년 0.4%(민간평균) - 0.8%(일본은행), ‘12년 2-3% 성장 - 부정적 측면 : 방사능 누출, 전력부족 등 피해 확산 - 긍정적 측면 : 복구수요(고베3년), 세계경제 호조 ※ 고베지진시 복구특수 등으로 3년간 (’95~’97) 경제성장 지속
엔화 환율 1$=82.98엔(3.10일) 76.25엔 (3.17일) 엔화강세 요인 - 복구자금 마련 → 대출 회수, 해외자산 매각, 개인 송금수요 증가 - 지진 보험금 지급 확보 (*코베지진 보험 청구 6.5만건, 783억엔) - 코베 지진시의 학습효과 및 기대심리 ※코베지진시,3개월 만에 15% 절상 (100엔→85엔) 80엔대 복귀 18일, G7 외환시장 개입 합의 ’11년, 80~90엔 전망
II 산업별 영향
지진 피해지역 500여개 부품업체 자 동 차 부품공급 연쇄 차질 140,000 46,600 3월 약 40만대 감산 15,000 31,000 42,000 32,000 35,000 23,000
●정상 조업 ▲부분 조업 X조업 정지 4.18일, 전공장 생산 재개 - 가동률 50% 수준 - 150여 품목 조달 곤란 완전정상화, 11-12월 르네사스6월 생산 재개 (자동차용 주문형 반도체)
웨이퍼 세계시장 60% 생산 피해공장 5~7월 중 재가동 준비 반도체 생산 영향 발생 우려 전기 전자 일본산 MCU (도시바, 르네사스 등) 한국시장 60% 이상점유 정상조업 지연시 수급불안 가능 반도체 생산장비 (캐논, 니콘 노광기 등) 생산 재개, 영향 미미
석유 화학 에틸렌 생산 능력(730만톤) 30%피해, 정상조업 2개월 이상 소요 화학산업 전반에 영향 5월 재개 예정 피해공장 생산재개(4.4~) 생산재개(3.15~) 생산재개(3.30~)
에틸렌 생산 차질 기초소재 대일 수출 증가 (석유화학합성원료 대일수출 3월 281% 증가) 핵심제품 공장피해 조달 차질, 가격 상승 ㅇ파라크실렌 (폴리에스텔 원료) 일본산, 한국시장 53.6% 점유 JX 등 일본기업, 생산감소로 수출중단 검토 지진후ton당 200달러 이상 급등(4월 가격 1800달러대) ㅇ알루미늄 페이스트(전극소재) 일본산, 한국시장 30.7% 점유 일본 2위업체(아사히화성) 조업 중지 장기화
●정상 조업 ▲부분 조업 X조업 정지 철강 금속 철강 생산 거점 대부분 정상 조업 시작 • 스텐레스박판 생산 차질 • - 닛폰스틸&스미킹(업계 1위) • 가시마공장7월 정상화 예정 • ※애로지원센터 지원요청 접수 • → 유럽 3개국 정보 제공 지원 • 건설용 자재 및 범용 제품 위주의 대일수출 증가 전망 X 닛폰스틸&스미킨금속(스텐레스박판) ●동양정박(스텐레스박판 가공)
농수산식품 • 강의내용 일부 녹음불량으로 삭제 • 동북지역 농수산업 비중, 전국의 약 30% • ㅇ농업피해 8,500억엔 수준, 수산업 피해액 산정 곤란한상황 • 방사능 유출로 피해 확산, 장기화 전망 • ㅇ 방사능 피해지역 생산 및 출하 제한 • ㅇ 일본산 농수산 식품 수입제한 조치 확산 • 농수산식품, 한국산 수요 증가 예상 한국적인 것만 일본 공급 부족 식품 생수, 통조림, 가공식품 등
Ⅲ 한일 교역에 미치는 영향
1. 부품소재 조달, 예상외로 순조 지진피해중소기업 애로 신고 건수 8건에 불과 • ㅇ지진피해 애로지원센터 설치 (3.17일) • - 언론 홍보, 홈페이지 배너 설치 • - KOTRA 고객 20,000개사, 부품수입기업 1,000개사 안내 (200개사 전화안내 병행) • ㅇ 애로사항 접수 현황 : 8건 • - 부품조달 애로 4건 • - 수출 애로 4건 (바이어의 방사능안전확인서 요구 등) 3월 대일수입, 전년 동기비 증가 ㅇ 지진 발생 이후 (3.12~3.29), 전년 동기비 12.4% 증가 • ㅇ대일수입 증가율 :1월 23.6% → 2월 7.0% → 3월 8.4%
2. 대일 수출, 확대기조 지속 3월 대일수출,큰폭 증가세 지속 ㅇ 지진 발생 이후 (3.12~3.29), 전년 동기비 51.5% 증가 • ㅇ대일수출 증가율 : 1월 57.3% → 2월 38.7% → 3월 53.8% 증가 [주요 수출증가품목] 석유제품 301.1%, 스테인리스강 평판제품 84.1%, 차량부분품 48.1% [식품류 수출 급증] 생수 785.5%, 다시마 406.0%, 라면 123.3% 등 중소기업 수출 직접 피해 제한적 ㅇKOTRA 일본지역 지사화업체 피해현황 조사 결과 • - 165개사 중 11개사(7%) 만이 직접 피해 (납품연기 등) 경험
3. 일본 지진 안정 후 고부가가치 부품소재, 한일 파트너쉽 강화 ㅇ 일본기업 협력 ⇒ 자연재해 대응 가능한 Supply Chain 구축 추진 ㅇ 글로벌 공급기지 역할 강화 <생산차질 품목 중 국내기업 공급가능 주요 품목> 에틸렌 (미쓰비시케미컬), PVC (신에쓰, 가네카), 가성소다 (쇼와덴코) PET필름 (데이진), 폴리실리콘(엠세텍), 광학필름 (소니케미컬) 등 지진 복구수요 대응을 통한 일본시장 진출 확대 ㅇHelp Desk 접수 Inquiry : 32사 (소형발전기, 건전지, 건축자재 등) ㅇSONY 방한 조달상담회 개최 (4.21일) ㅇ 일본 대형 유통/건자재 기업 초청 상담회 개최 (4.22일) - 일본 1,2위 유통업체인 AEON, 이토요카도참가
목 차 Ⅰ 시장기회와 신시장 Ⅱ 신시장별 진출전략 및 주요사업 자동차부품 전자부품 신성장 산업 한류 마케팅
I. 한일 무역 키워드 ▲361 = 282 - 643 243/361x100 = 67.1 55.6 vs 32.3
I-1. 일본 경제 및 산업 키워드 42년 3위 1.5% 20% and 51%
I-2. 일본 시장변화 키워드 엔고=19.2% 조달확대 53.5% vs 40.8% 삼성>All Japan 현대>일본차 중년여성 -> 젊은 여성
1. 일본 산업 특성 ㅇ강한제조업, 높은 대기업 비중 ㅇ포춘500 일본기업 주업종 자동차 와 전기전자 ㅇ대세계 흑자, 대일 적자 품목 ㅇ한중소, 일대기업 협력필요 ㅇ 공격적인 마케팅활동 확대 ㅇ 인프라 확충, 중소기업 수출 경쟁력 강화 - 가격 : 규슈 물류센터 신설 - 기술 : 인력교류, M&A 등 2. 엔고 ㅇ 해외조달 ㅇ 시장문턱 3. 한국 이미지 개선 ㅇ제조업 재평가 : 자동차, 전기전자 ㅇIT 강국 : 모바일, 공공정보화 ㅇ 한류확산 : Hit 소비재 등장 ㅇ 일본의 성장 유망 시장 ㅇ 한국의 선도분야이나 대일 비즈니스 경험 및 역량 부족 - 양국간 교류 및 협력 촉진 으로 비즈니스 기회 확대 4. 소비자인식 변화 Made in Japan 프리미엄 약화 ㅇ 일본의 자발적인 관심 ㅇ소비자층 확대 ㅇ 유통망을 활용, 효율적인 시장진출 전략 필요
Ⅱ 신시장별 진출전략 및 주요사업 자동차부품 전자부품 한류 마케팅
Ⅱ. 신시장별 진출전략 및 주요사업 1. 자동차부품 전략방향 한국산 부품 채용 초기단계 마케팅 기회 확대 - 완성차기업과Autoparts Plaza 확대 : HONDA 신규 추진 - 1차 벤더 초청 상담회 개최 친환경 테마 부상 EV부품 시장 선점 수출목표 : 3년 내 자동차부품 대일적자 해소(10억불) 3
Ⅱ. 신시장별 진출전략 및 주요사업 주요사업 □Autoparts Plaza : 2개사 ㅇ 참가규모 : 40개사 /회 • 추진방향 : 전시상담회+ 개별기업 프레젠테이션 병행 추진 • 전기자동차 부품 출품 확대 ☞ 기추진Autoparts Plaza (5회) 수출 예상 : ’11.1.1억불, ‘12. 1.3억불 - 신규부품은 소수 차종 적용 후 대상차종 확대→ 수출증가 지속 (단위: 천달러) 4
Ⅱ. 신시장별 진출전략 및 주요사업 □Autoparts Plaza 후속 상담회: 2회 □자동차부품 1차 벤더 초청 상담회: 4회 5
Ⅱ. 신시장별 진출전략 및 주요사업 2. 전자부품 전략방향 • 글로벌기업 조달수요 밀착 지원 : 필요시 방문 상담 병행 한국산업전 개최 및 IT연계를 통한 성과제고 주요사업 계획 □글로벌 전자기업 초청 조달 상담회 : 10회 (3월) (5월) (2월) (3월) (3월) □도쿄 한국산업전 ㅇ 시기,장소 : 9.6-7, 도쿄 뉴오타니 호텔 ㅇ 참가규모 : 한국기업 130개사 (부품 80개사 + ICT 50개사) ㅇ 병행사업 : GP Japan (일본 글로벌기업 30개사 참가 6
Ⅱ. 신시장별 진출전략 및 주요사업 3. 한류마케팅 [미용, 건강식품, 문화콘텐츠] 전략방향 한류 붐을 대일수출로 연결하기 위한 한류 연관품목 마케팅 강화 일본의 대형 유통채널 판매망 활용, 지자체 협력사업 확대 주요사업 계획 □일본 대형 유통체인 초청 상담회: 6개사 9
Ⅱ. 신시장별 진출전략 및 주요사업 □일본 한방시장 진출 사업 • ㅇ 우수한방제품 수출로드쇼 (Out-bound) • - 시기/장소 : 11월, 오사카 • - 참가기업 : 50개사 • - 주요사업 : 수출상담회, 한방 의료관광설명회 □한국 향토명품산업전 • ㅇ 시기,장소 : 9월, 오사카 • ㅇ 협력기관 : 행정안전부, 지역진흥재단 • ㅇ 전시품목 : 전통건강식품, 주료, 선물용품 등 • ㅇ 참가기업 : 80개사 • ㅇ 특기사항 : ’10년 1회 개최, 행안부 지속 추진 요청 10
Ⅱ. 신시장별 진출전략 및 주요사업 • □ 한류스타 라이센싱 상품박람회 (지식서비스사업팀) • ㅇ 시기,장소 : 11.7-8, 오사카(뉴오타니 호텔) • ㅇ 개최규모 : 50개사 • ㅇ 전시품목 : 방송, 영상, 캐릭터, 미용, 패션 등 한류 컨텐츠 • ㅇ 참 관 객 : 10,000명 • ㅇ 기대효과 : 한류 연관상품의 토탈 마케팅 전개 • 문화컨텐츠 대일수출 확대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