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 likes | 457 Views
Stock Information. 주주현황. 주가 / 거래량 추이. 2004.10.31 기준. ( 거래량 , 만주 ). ( 주가 , 원 ). 4. 71.5 억원. 1. 3. 2. 주가현황. 2003 2004. *2002,2003 년 최대주주 (7,900,000 주 ) 무배당 , 2004 년 최대주주 100 원 배당. Nongwoobio Biz Model. 무 , 고추 , 수박 , 배추 등의 ‘ 종자생산전문기업 ’. 해외법인 ( 연구소 ).
E N D
Stock Information • 주주현황 • 주가/거래량 추이 2004.10.31 기준 (거래량,만주) (주가,원) 4 71.5 억원 1 3 2 • 주가현황 2003 2004 *2002,2003년 최대주주(7,900,000주)무배당, 2004년 최대주주 100원 배당
Nongwoobio Biz Model 무, 고추, 수박, 배추 등의 ‘종자생산전문기업’ 해외법인 (연구소) 북경세농종묘 유한공사 • 설 립 일 : 1981.10 • 자 본 금 : 71.5억원 • 임 직 원 : 257명 • 대표이사: 고희선, 조대현 • 결 산 기 : 매년 10월 고추 무 수박 배추 참외 메론 양파 오이 피망 . . . . 전 세계 20여 개국 해외법인 종자회사 재배농가 PT KOREANA Seed Indonesia Nongwoo Seed America Inc 본 사 (경기도 수원시) 각 도별 8개 지점 900여 개 시판상 재배농가 여주육종연구소 (생명공학센타) 남부육종연구소 (밀양) 국내 연구소
매출분석 1 전년 대비 매출 24.4% 증가(수출 31.2% 증가)한 29,534백만원 달성 • 전체 매출액 추이 • 국내매출 추이 • 수출추이 (백만원) (백만원) (백만원) 29,534 (24.4%) 26,352 (23.6%) 3,182 (31.2%) 23,749 21,324 2,425 • 전년대비 23.6% 증가한 26,353백만원 달성 - 국내 종자시장 정체 속 시장 점유율 확대 - 국내 경쟁사 대비 연구개발력 우위가 입증된 한 해 • 전년대비 31.2% 증가한 3,182백만원 달성 - 미국, 일본, 중국지역 매출 급증세 - 매출비중 43.7%인 고추종자의 매출 급증 • 전년대비 24.4% 증가한 29,534백만원 달성 - 2001년 이후 매출 하락세 반전 - 국내매출 보다 수출 증가가 두드러진 한 해
매출분석 2 스피드 꿀수박, 청대 봄무 등 신품종이 매출 증가에 큰 기여… • 품종별 매출추이 • 신품종 매출(매출비중) 추이 (백만원) (%) (백만원) 21.0% 10,000(26.3%) 6,204 (74.2%) 7,918 15.0% 7,035(12.3%) 6,266 3,562 3,357(92.6%) 2,570 2,324(9.5%) 1,744 • 신품종의 매출 큰 폭 증가가 전체 매출 성장 견인의 주 원인 - 수박(스피드 꿀수박), 무(청대봄무)의 신품종 매출 큰폭 증가 - 신품종의 매출 비중이 전년대비 약 74% 증가 • ‘무’가 최대 매출 100억원, ‘수박’이 92.6% 최고 증가율 기록 - ‘무’가 매출 100억원(국내매출 91억원)으로 국내 시장 약 38% 점유 - 배추종자의 매출 소폭 하락속에 고추,수박 등은 큰폭 증가세 기록
수익분석 고부가가치 신품종의 매출증가로 영업이익 77.5% 증가 • 영업이익(율) 추이 • 영업외 부문 • 순이익(율) 추이 (백만원) (백만원) (백만원) (%) (%) 26.0% 17.1% 18.2% 7,688 (77.5%) 8.9% 5,066 (138.7%) 4,331 2,122 • 전년대비 영업이익 77.5% 증가, 이익율 7.8% 향상 - 고부가가치 신품종의 매출비중 증가가 이익율 향상 원인 • 영업외수지 전년 (-)21억원에서 (-)10억원으로 개선 - 한국농수산방송의 1,890백만원 지분법 평가이익 발생 - 재고자산 폐기손실이 매출대비 전년에 비해 감소 • 전년대비 순이익 138.3% 증가, 이익율 8.2% 향상 - 주당순이익 155원(’03)에서 376원(’04)으로 증가
신품종 지속 출시 연구개발에 역량 집중 • 연구개발 지속 투자 • 고기능성 품종 개발 수출 규모/비중 확대 • 해외시장 적극 개척 • 해외법인/연구소 인프라 확대 전략 품종 집중 육성 해외시장 개척 • 웰빙 트렌드에 부합하는 품종 개발 • 상대적 취약 품종 적극 개발 결 론 매출 및 수익 향상을 위해 연구개발, 해외시장 개척에 역량 집중
연구개발 1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한 고 기능성, 친환경 품종개발이 목적 • 연구개발 Road Map • GM 기술 이용 時 - 수확량 증대 - 친 환경(농약절감) - 의약품 개발(백신, 생체활성물질, 항암제 등) • 미래육종 조직배양 관행육종 DNA Marker GMO • DNA Marker 활용 時 - 신속,정확한 육종 - 다양한 병 저항성 게통육성 - 현대육종의 필수 조건 • 현재육종 1990’s 후반 ~ 관행육종 형질전환:GMO* 생명 공학 기술 1980’s • 생산성 향상 • 고 기능성 품종 개발 • 고전 육종한계 극복 • 새로운 유전자원 개발 • 환경친화적 품종 개발 DNA Marker:Marker를 이용한 육종 1970’s DNA Marker 조직배양:유전자원 확보,약배양 1950’s GMO F1 Hybird :잡종강세 조직배양 *GMO :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유전자 변형 작물
연구개발 2 고객만족을 목표로 농우바이오 중심의 효율적인 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축, 운영 中 • 농우바이오 연구개발 목표 • 연구개발 네트워크 품 질 무/배추/고추/토마토/참외 양배추/브로콜리/컬리플라워 형질전환/마커개발/병리 수박/오이/호박 당근/양파/파 학 교 최종 소비자 영양 만족 내병성 품종 (생명공학센터) 여주육종연구소 남부육종연구소 국 내 해 외 친 환경 농업 구현 멕시코 고추/토마토 중국용 현지 성능검정 Nongwoo Seed America Inc 북경세농종묘 유한공사 기능성 품종 PT KOREANA Seed Indonesia 최종 소비자 건강 증진 연구기관 정부기관 동서남아시아 박과
연구개발 3 품종보호 등록건수로 알 수 있는 업계 최고 기술력 보유 • 연구개발비 추이 • 연구원 현황 • 품종 보호 출원 추이 (백만원) (건) (%) 생명공학 4 (박사 2, 석사 2) 19.2% 19.5% (자료:종자관리소 2005.3) 6,150 (6.7%) 50 32명 해외품종 8 (석사 8) 국내품종 20 (박사 3,석사 17) 5,766 23 27 (2005.3 기준) • 2005년 6.7% 증가한 6,150백만원 연구개발에 투자 예정 - 2001년 이후 5년 동안 250여 억원의 연구개발비 투자 • 전체 연구인력의 50% 이상이 10년 이상 장기 근무 - 다수의 장기 근속자 보유로 연구의 연속성 보장 - 총 32명 중 5명 박사 인력 보유 • 경쟁사 대비 최다의 등록 및 심사건수 보유 - 농우바이오 품종보호등록건수 27건 - 농우바이오 품종보호 심사중인 건수 23건 *품종보호제도 :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품종에 대한 품종 생산ㆍ판매에 관한 독점적 권리를 인정(종자산업법 제2장 제2절 11조 ~ 제8절 107조)
연구개발 4 • 2005 연구개발 진행과제 • 연구개발 성과 - 특허관련 • 국제 특허 출원 중 • 고추의 형질전환 기술(PCT 출원중) – 국내 동시 출원 중 - 세계 최초로 고추를 대량으로 형질전환할 수 있는 방법 개발 - 동서남 아시아용에 내병성 유전자를 형질전환하여 상업화하고자 함. - 기술 선진국에 본 특허가 등록되는대로 로열티 계약을 맺을 예정임. • NWB-CMS를 이용한 무의 웅성불임 계통 개발(중국, 일본) • 국내 특허 등록 • GLOase 유전자 및 PMI 유전자를 함유한 재조합 벡터, 상기 벡터로 형질전환된 식물 및 그 식물의 생산 방법(특허 제 04711131호) • CGMMV-저항성 형질전환 박과 작물을 제조하는 방법(10-2003-0003482) - 종자 및 토양 감염되는 바이러스의 일종인 CGMMV에 저항성인 대목 개발 - 자연계에 존재하는 박과류에는 CGMMV에 저항성인 유전자원이 밝혀지지 않았음
연구개발5-1 무, 고추, 수박, 배추 등의 고 기능성 품종 개발 진행 중…. • 연구개발 진행현황 - 국내품종
연구개발 5-2 대한민국이 세계적으로 강한 김치 관련 품종의 해외 품종 개발 중… • 연구개발 진행현황 - 해외품종
연구개발 5-3 웰빙 트렌드에 부합한 토마토 품종 집중 개발 중 • 연구개발 진행현황 - 전략품종 • 웰빙 바람에 의한 토마토, 브로콜리, 파프리카, 컬리플라워, 양배추 등 신선채소 시장의 꾸준한 수요증가에 적극대응
해외시장 개척 1 고추, 무 등을 주력품종으로 2007년 수출 70억원 달성 !! • 해외 시장 추진 현황 및 전망 • 수출 전망 • 미국,일본 등 5개국 매출비중 88.5%, 무/고추 매출비중 73.4% (백만원) (%) 향후 전략품종 현재 주요품종 수출비중(’04) 브로콜리,토마토 미국 고추 31.9% 16.7% 배추 일본 무(봄,여름,가을무) 18.6% 13.2% 중국 고추,토마토 무,배추 13.7% 12.5% 7,000 (40.0%) 10.8% 인도 토마토,양배추 고추 12.9% • 해외 법인 활용 품종의 현지화 지속 추진 • 무,고추 등 한국이 강한 품종으로 승부 • 전략품종 개발에 역량 집중 인도네시아 토마토,양배추 고추 11.4% 5,000 (25.0%) 4,000 (25.7%) 3,182 (31.2%) • 3개 해외법인 2004년 총 매출 66억원, 순이익 10억원 주요역할 설립일 매출(’04) 연구개발/시장개척 북경세농종묘 유한공사 1994.4 4,600 백만원 연구개발/시장개척 PT KOREANA Seed Indoseina 1997.1 367 백만원 Nongwoo Seed America Inc 연구개발/시장개척 1999.4 1,687 백만원
해외시장 개척 2 각 지역별 해외법인과 종자회사를 통한 마케팅 채널 구축 • 주요 해외 지역별 진행현황
2005 경영계획 • 2005년 매출 전망 • 2005년 영업이익(율) 전망 (백만원) (백만원) (%) 국내시장 32,000 (6.3%) • 국내 종자시장 규모는 정체 또는 소폭 감소 예상 - 약 1,200억 원 내외의 시장 형성 예상 • 시장 경쟁구도 변화를 틈탄 타겟 마케팅 실시 • 우수한 신품종 출시를 바탕으로 Brand 마케팅 실시 • 약 900여 개 시판상 대상 적극적 마케팅 30.2% 4,000 (25.7%) 29,534 26.0% 3,182 9,656 (25.6%) 28,000 (6.3%) 7,688 해외시장 26,353 • 4개의 글로벌 다국적 기업이 종자시장 30% 점유 - 특히 GM시장의 거의 100% 점유 • 한국이 강한 고추, 무, 배추 품종으로 세계시장 겨냥 • 품종 후진국인 중국, 인도 시장 등 대규모 시장 공략 • 전체매출 전년대비 6.3% 증가한 32,000백만원 달성 - 내수 소폭 증가속에 수출 급증세 지속 예상 • 영업이익 전년대비 25.6% 증가한 9,656백만원 달성 - 품종의 부가가치 향상으로 매출대비 수익성 급증 - 국내 시장보다 상대적으로 수익성 우수한 해외매출의 증가
2005 1Q(’04.11~’05.1)예상실적 전년 동기 대비 매출 및 영업이익 증가세 지속 • 1분기 매출 추이 • 1분기 품종별 매출 추이 • 1분기 영업이익(율) 추이 (백만원) (백만원) (백만원) (%) 12,858 (4.6%) 12,288 812 (79.7%) 452 45.0% 43.8% 5,789 (7.7%) 5,377 12,046 (1.8%) 11,836 • 전년대비 4.6% 증가한 12,858백만원 달성 - 해외시장 매출의 성장세 지속 (해외시장은 매년 4분기(8~10월) 매출이 가장 많음) • 고추품종의 매출 회복과 무품종의 매출 감소 - 오이, 참외(메론) 품종의 매출 급 성장 중 - 월동무 시장의 성장으로 봄무시장 감소 (2004년 4분기 월동무 품종 전년대비 66.7% 성장) • 영업이익 전년 대비 7.7% 증가한 5,789백만원 - 수출비중 증가와 고부가 품종 개발로 영업이익율 지속 상승 중 * 기업회계기준법 제 10호 규정에 의거 재고자산 폐기손실금액을 매출원가로 계상함에 따라 전년도 영업이익을 수정하였음
농우바이오 중장기 전략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진정한 종자전문 다국적 기업의 면모 확보 • 1981년 설립(90년 법인 전환) • 2002년 4월 코스닥 상장 • 2005년 이후 제2의 도약기 진입 • 해외시장 개척과 매출의 증대 • 체계적인 국내 시판상 관리 체제 구축 • 생명공학센터 개설과 육종에 기술 접목 •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신품종 지속 출시 • 미래품종 개발을 위한 연구인력 지속 확보 • 신 육종 자원 발굴을 통한 신품종의 개발 • GM작물 품종의 확보 • 세계시장 진출을 위한 연구개발/마케팅 인프라 적극 확대 • 2007년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 대단위 연구소 개소 및 연구인력 확충 • 국내 시판상 및 채종관리소 전국대상 구축 • 다품종 개발로 시장 다변화 대응 농우바이오 2005 ~ 2010 1970 ~ 1998(IMF 前) 2000 ~ 2004(IMF 以後) • 한국경제 급성장 채소소비량 증가 채소종자시장 급팽창 • 종자회사들의 전근대적 기업형태에서 현대적 기업으로 변모 • 고추, 무, 배추과 작물 육종에 세계적 품종 개발 • 다국적 기업의 국내 시장 진출과 합병기업의 구조조정으로 인한 산업침체 • 다국적 기업의 연구원 퇴사 및 연구투자 감소로 품종개발 약화 • 소규모 기업의 급증으로 가격 경쟁 심화 • 농산물 수입급증으로 농가소득 감소 • 종자 후진국에서의 다국적 기업 경쟁 심화 • 생명공학기술의 육종에 대한 영향력 증가 • 국내 농산물 시장의 개방 확대와 시장 규모 감소 • 최종 소비자의 고 기능성 채소에 대한 욕구 증가 시장환경
Investment Summary • 사업 부문 국내시장 : 시장 점유율 향상 해외시장 : 우수품종으로 매출 신장 • 국내 제1의 연구개발 능력을 바탕으로 한 국내 시장 지배력 강화 • 국내 다국적 기업들 상대로 연구개발력/마케팅 채널 비교우위 확보 • 토마토, 브로콜리 등 전략상품에 연구개발 능력 집중 • 세계적으로 경쟁력있는 품종인 고추, 무, 배추의 해외시장 진출 가속화 • 일본, 미국 등 선진시장에서는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승부 • 교배종 전환율 낮은 중국, 인도 등 해외시장에서의 경쟁력 보유 • 배당관련 부문 • 차등배당을 통한 일반주주 우대정책과 시중 금리의 2배에 달하는 배당 수익율 (단위:원,%) • 영업외 부문 – (주)한국농수산방송의 지분 7.26% 보유로 지분법 평가이익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