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 likes | 732 Views
국제유가 동향과 전망. 2012. 7. 이달석. 에너지경제연구원. 차 례. 국제유가 변동 추이 국제유가 변동 요인 향후 유가 영향 요인 국제유가 전망. I. II. III. IV. 2. 국제유가 변동. I. 국제유가 변동 추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고유가 상황 지속 - 두바이유 : $124.22(3/14, 연중 최고 ) ⇒ $89.15(6/22, 연중 최저 ) - WTI : $109.58(2/24, 연중 최고 ) ⇒ $77.89(6/28, 연중 최저 ).
E N D
국제유가동향과 전망 2012. 7 이달석 에너지경제연구원
차 례 국제유가 변동 추이 국제유가 변동 요인 향후 유가 영향 요인 국제유가 전망 I. II. III. IV. 2
국제유가 변동 I. 국제유가변동 추이 • 지난해에이어 올해도 고유가 상황 지속 - 두바이유 : $124.22(3/14, 연중 최고) ⇒ $89.15(6/22, 연중 최저) - WTI : $109.58(2/24, 연중 최고) ⇒ $77.89(6/28, 연중 최저) < 국제유가 변동 추이 > 3
두바이유 가격 변동 I. 국제유가변동 추이 • 국제유가는 1/4분기에 상승세를 보이다가 4월 중순 이후 하락세 전환 - 1/4분기 상승세는 이란 핵문제로 인한 지정학적 불안에 기인 - 2/4분기 하락세는 유로존 위기 등 세계경제 불확실성에 기인 < 두바이유 가격 변동 추이 > 4
주요 유종별 가격 I. 국제유가변동 추이 • 두바이유 1∼7월 평균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3% 상승 • - 상반기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5% 상승 < 주요원유의 기간별 가격($/b)> 주: 7월 23일까지의 가격 5
이란 핵문제와 이란 제재(1) II. 국제유가변동 요인 < 이란 핵문제 주요 일지 > 6
이란 핵문제와 이란 제재(2) II. 국제유가변동 요인 • 미국, 이란의 석유수출 봉쇄를 위한 국방수권법(NDAA) 서명(‘11.12.31) - 6.28일 부터 발효, 우리나라를 포함한 20개국에 대해 예외조항 적용 < 국방수권법 주요 내용 > 7
이란 핵문제와 이란 제재(3) II. 국제유가변동 요인 • EU, 이란 석유금수와이란 원유 수송선박과 관련된 보험제공 금지 결정 • (‘12.1.23) - 7.1일 부터 발효, 최대 95%의 유조선이 제재에 영향 ※ 사고배상책임보험(P&I) 등 대형 선박들의 보험ㆍ재보험은 EU가 독점 < EU의 이란 제재 주요 내용 > 8
이란 핵문제와 이란 제재(4) II. 국제유가변동 요인 • 12.6월기준 이란원유의 수출차질 물량은 지난해수출물량의 약 40% - PIW 추정 80만b/d, EIA 추정 100만b/d < 이란 원유 수출(2011.1~9월) > 9
세계 석유수요 II. 국제유가변동 요인 • 12.상반기 세계 석유수요 0.6백만b/d(0.7%) 증가, 총 89.1백만b/d (IEA) • - OECD 0.1백만b/d 감소, 비OECD 1.2백만b/d 증가 • 중국과아시아 신흥국이 수요 증가 주도 - 상반기중국의 수요증가 기여율은 42% < 지역별 석유수요 증가(12.상반기) > 10
비OPEC 생산 II. 국제유가변동 요인 • 12.상반기 비OPEC 생산 전년비 0.6백만b/d 증가, 총 53.2백만b/d (IEA) • 북미 지역이 생산 증가 주도 • - 캐나다 오일샌드와 미국 셰일오일 생산 증가에 기인 < 비OPEC 지역별 생산 증가(12.상반기) > 11
OPEC 생산 II. 국제유가변동 요인 • 12.상반기 OPEC 생산은전년 대비 약 2.3백만b/d 증가, 총 38.0백만b/d • - 원유 31.6백만b/d (2.0백만b/d↑), NGL 6.1백만b/d (0.3백만b/d↑) < OPEC 생산 추이 > 12
OPEC 회원국별 생산 II. 국제유가변동 요인 • 12.상반기 중 OPEC 생산목표(30.0백만b/d)를 1.6백만b/d 상회 < OPEC 원유 생산(백만b/d) > 13
OPEC 여유생산 능력 II. 국제유가변동 요인 • OPEC의 여유 생산능력 다시 감소세 전환 - 2.3백만b/d(08.8월)⇒ 6.8백만b/d(09.3월)⇒ 3.1백만b/d(12.6월) < OPEC 여유생산능력 추이) > 14
석유재고 II. 국제유가변동 요인 • 대규모 공급초과(1분기 1.3백만b/d, 2분기 2.1백만b/d)로석유재고 증가 - 상반기 미국원유재고는 과거 5년 평균을 6% 상회 < 미국의 원유 및 휘발유 재고 변동 > 원유재고 휘발유 재고 15
미 달러화 가치 II. 국제유가변동 요인 • 4월 이후 유로존 재정위기 심화로 달러화 강세 지속 • - 달러화 가치 변화에 따른 산유국과 소비국의 구매력 변화 • - 투기성 자금의 원유시장 유출 < 달러-유로 환율과 WTI 가격 > 16
원유선물시장 자금 유출입 II. 국제유가변동 요인 • 이란 핵문제 등장 후 Nymex 원유선물시장 비상업 순매수 규모 증가 - 144.5천계약(1.3일) ⇒254.6천계약(2.28일) ⇒ 172.8천계약(7.17일) <NYMEX Non-Commercial 원유 순매수 추이> 17
주가지수와유가 II. 국제유가변동 요인 • 세계 경기회복에 대한 우려감과 기대감에 따라 원유가격 등락 • - 유로존 재정위기에 대한 우려, 미국경제 불안으로 하락 • - 주요국 경제지표 개선 소식으로 상승 < 주가지수(DJIA)와 WTI 가격 > 18
세계 경제상황 III. 향후 유가 영향 요인 • 하반기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은 지속될 전망 • - 그리스 등 유로존 긴축정책 이행 여부 • - 미국경제 회복세 지연, 중국 경제의 경착륙 가능성 • 내년에는 유로존 경제위기가 진정되면서 올해보다 높은 성장률 유지 < 세계 경제전망(IMF, 2012.7월)> 19
세계 석유수요 III. 향후 유가 영향 요인 • 하반기 세계 석유수요 0.8백만b/d 증가, 연간 0.7백만b/d 증가 예상 • - 고유가 및 세계 경기침체로 수요 증가세 둔화 • 내년 상반기 세계 석유수요 1.1백만b/d 증가예상 -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줄고 신흥국을 중심으로 수요 증가 < 주요 기관의 12.하반기 석유수요 증가 전망 (백만 b/d) > < 주요 기관의 13.상반기 석유수요 증가 전망 (백만 b/d) > 20
비OPEC 생산 III. 향후 유가 영향 요인 • 하반기 비OPEC 공급 0.5백만b/d 증가, 연간 0.6백만b/d 증가 예상 • - 오일샌드 셰일오일 등 비전통원유 생산 증가 • 내년 상반기 비OPEC 공급 0.7백만b/d 증가 예상 - 캐나다, 미국, 브라질 등이 생산 증가 주도 < 주요 기관의 12.하반기 비OPEC 공급 증가 전망 (백만 b/d) > < 주요 기관의 13.상반기 비OPEC 공급 증가 전망 (백만 b/d) > 21
대OPEC 원유요구량 III. 향후 유가 영향 요인 • 대OPEC 원유요구량은 12.하반기 20만b/d, 13.상반기 10만b/d 감소 ※ 대OPEC 원유요구량 = 세계 수요 - 비OPEC 공급 -OPECNGL • OPEC이현 생산 수준을 유지할 경우 공급초과 상황 지속 • - 사우디의공급조절로 수급균형 유지 예상 < 대OPEC 원유 요구량 > 22
여타 요인들 III. 향후 유가 영향 요인 • 지정학적 위험 • - 이란제재와 더불어 핵협상이 지속될 전망 • ※ 핵협상 결렬시 호르무즈해협 봉쇄 위협이나 군사적 충돌 가능성 • - 시리아와 남수단 사태는 내전양상을 보이며 공급차질도 장기화 예상 • 달러화 가치 • - 유로존 경제위기의 향방 • - 미국의 3차 양적완화(QE3) 실시 시점 • 멕시코만 허리케인 피해 여부 • - 허리케인 시즌(6월~11월) 4~8개의 허리케인 발생이 예상되며, • 이중 3등급 이상의 대형 허리케인은 1~3개로 예년 수준(NOAA) • ※ 미국 원유생산의 22%(1.5mb/d), 정제능력의 23%(4mb/d) 밀집 23
시나리오별 원유가격 전망(1) IV. 국제유가 전망 • 기준유가 시나리오 : 12년 하반기 $95/b, 13년 상반기 $99/b - 12.하반기 유가는유로존 재정위기 등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과 석유수요 둔화로 상반기($111/b) 보다낮은 수준에서 형성될 전망 - 13. 상반기 유가는 세계 경제의 회복세가 나타나면서 강세 전망 ※ 세계 경제성장률: 2012년 3.5%, 2013년 3.9%(IMF) - 지정학적 불안이 지속되고 있지만 사우디의 증산 등으로 늘어난 원유재고는 가격 급등을 억제하는 요인 - 산유국의 복지비 지출 확대에 따른 재정소요 증대는 목표 유가 수준을 높임으로써 유가의 하방경직성 초래 24
시나리오별 원유가격 전망(2) IV. 국제유가 전망 • 고유가 시나리오 : 12년 하반기 $108/b, 13년 상반기 $113/b • - 허리케인 피해로 기준시나리오 대비 50만b/d 공급차질 발생 전제 • 저유가 시나리오 : 12년 하반기 $83/b, 13년 상반기 $82/b • - 경제성장 둔화로 기준시나리오 대비 50~80만b/d 수요감소 전제 < 원유가 전망(두바이유 기준, $/b) > 주: KEEI-BS모형에 의한 전망(‘12.7월) 25
주요 기관 유가 전망 IV. 국제유가 전망 • 2012~13년 유가, CGES와 CERA는 약세, EIA, PIRA는강세 전망 주: CGES; Center for Global Energy Studies, CERA; Cambridge Energy Research Associates, EIA;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PIRA; Petroleum Industry Research Associates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