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 likes | 1.2k Views
시각 / 시각장애 / 원인 / 진단 이해. 정 동 일. 강의 순서. 시각에 대한 이해 시각장애에 대한 이해 시각장애 원인과 진단. 시각에 대한 이해 I. 시각의 특수성 - 세상과의 통로 , 90-95% 정보습득 - 시각의 기능 구조 ( 눈 + 뇌로 구성된 시각계 ) - 정보습득 등 생존의 기본수단 , 사고의 수단 시각의 조건 - 눈과 뇌가 함께 시각계 구성 ( 정상적 조건 ) - 눈의 가동성 ( 상을 연속적으로 지각 ), 안정성 ( 같은 물건 인식 )
E N D
시각/시각장애/원인/진단 이해 정 동 일
강의 순서 • 시각에 대한 이해 • 시각장애에 대한 이해 • 시각장애 원인과 진단
시각에 대한 이해 I • 시각의 특수성 - 세상과의 통로, 90-95% 정보습득 - 시각의 기능 구조(눈 + 뇌로 구성된 시각계) - 정보습득 등 생존의 기본수단, 사고의 수단 • 시각의 조건 - 눈과 뇌가 함께 시각계 구성(정상적 조건) - 눈의 가동성(상을 연속적으로 지각), 안정성(같은 물건 인식) - 뇌기능이 정상적인 조건 유지되어야 함 - 가시성(물체 크기), 동일성(형태 유지), 영속성, 빛, 크기 - 주의집중, 관심, 동기, 경험, 정서, 성격
시각에 대한 이해 II • 시각기능의 분류 - 시력, 시야, 색각 • 시력 - 시력 : 물체의 존재 및 형태 인식 능력, 세부 판별 능력 - 시력 분류 : 최소가시/분리/가독시력, 버니어시력 - 최소가시력(최소 광선량; 밤하늘 별 구별 능력) - 최소분리시력(분리 두점 인식 최소간격, 눈의 해상력) - 최소가독시력(읽고 판단할 수 있는 문자 또는 형태 최소 크기 판단) - 버니어시력(두개의 선이 어긋나 있는 것 인식) • 용어 이해 - 중심시력 : 물체의 상이 망막의 중심 - 주변시력 : 중심와를 제외한 망막 주변 보는 시력 - 나안시력(보유 시력), 교정시력(안경이나 렌즈에 의한 시력) - 원거리시력(5M이상), 근거리시력(0.3-0.4M)
시각에 대한 이해 III • 시력의 측정 - 일반적인 시력 : 5M 거리 측정, 원거리시력, 중심시력, 나안시력 - 소수식 시력표(한천식/스넬른 시표) : 0. 1, 0.2(5-6M 거리에서 볼 수 있는 시력) - 0.04시력(시력표 맨위을 못 읽는 시력 0.1 시력이 나오지 않는 아동의 경 우 0.1 시표 볼수 있는 거리(2M/5M) - 지수(F.C) : 손가락 셀수 있는 시력(0.5M에서 셀수 있는 시력, F.C. 50CM) ☞ 0.1 시표를 1M에서도 읽지 못하는 경우 손가락 수를 알아맞히는 거리 측정 - 광각(LP) : 광각 ☞ 시각장애아동의 시력을 상세히 파악하여 생활과 학습에 활용, 시력표 이외 측정 시력 파악 요령 습득 필요 • 시야 - 시야 : 눈이 한 점을 주시하는 영점에서 볼 수 있는 범위 - 수직시야(눈썹에서 빰, 140도), 수평시야(단안 150도, 양안 사용 180도) • 색각 - 색각(색맹, 색약) : 물체의 색채 구별(색지각력), 색각 결함자 인구 8.4%( 여<남), 색각 결함자는 시각장애로 간주않음 (SBS 스페셜, 핀지랩 섬, 전색맹(마스쿤)인 인구 10%, 300년전 재앙) - 유형 : 빨간색, 초록색 결함
시각계 I • 눈의 구조
시각계 II • 눈의 구조도
시각계 III • 시각 경로 : 자극(빛) →각막 →전방 →동공 →수정체 →초자체 →망막(상) →시세포(빛에너지-전기에너지) →시신경 →대뇌 • 공막: 눈의 맨 바깥을 싸는 막으로 눈의 형태를 유지 • 각막: 공막의 일부로 눈 앞쪽을 싸는 투명한 막 • 동공 : 홍채의 중심부 구멍, 빛의 양 조절, 동공의 크기(홍체가 조절) • 홍채 : 수축성 막, 빛의 양 조절, 카메라의 조리게 • 수정체: 볼록 렌즈 모양으로 탄력성이 있으며 빛을 굴절시킴 • 모양체: 수정체의 두께를 변화시켜 원근을 조절 • 맥락막: 색소가 있어 암실 작용을 하며, 사진기의 어둠 상자 • 유리체: 눈알의 속을 채우는 액으로 눈의 모양을 유지 • 공막과 결막: 공막(눈의 흰자위 안구 보호막), 결막(눈의 보호막) • 망막: 물체의 상이 맺히는 곳으로 시세포 분포
시각계 IV • 안근육: 눈 운동, 눈 조절 • 안근육 이상 증세 - 양안시에 문제, 사시(양눈으로 초점을 맞추지 못함) - 안구진탕증: 고정 주시(초점) 불가, 눈동자 빠르게 움직임 - 시각장애아동: 거리에 따른 안구의 조절 곤란 및 어려움 • 시신경 -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 - 신경절 세포섬유 다발 • 뇌: 대뇌 피질의 시각령 (좌 피질: 우측 시야, 좌 피질 : 우측 시야)
눈과 카메라 구조 비교 • 눈과 카메라 구조
시각발달 과정 I • 안구의 형성: 태내 4개월(눈의 기본 구조 결정) • 시력의 발달 - 신생아 : 빛을 느끼는 정도, 순의 움직임 감지 - 5-6세 : 성인의 시력으로 발달 • 출생시 - 발달내용 : 빛에 반응, 손에 반사작용 보임, 타 자극보다 사람의 얼굴 선호 - 저시력 아동 : 선천성 안구진탕증 확인 필요 - 시각발달 양육 : 얼굴 맞대기 • 출생후(1세) 시력 발달 자극 방법 - 사람의 얼굴, 동작활동, 반사거울, 빛 자극, 색깔이 있는 양말 등으로 손,발, 발에 관심 유도 - 1m 거리에서 자극, 좋아하는 장난감 동시 제시, 시야의 높낮이 고려 - 거울 가리고 보여주는 놀이, 조작이 가능한 다양한 사물 제시
시각발달 과정 II • 출생후(2세-3세) - 사물(모양, 색상 고려) 짝짓기, 굵은 크레용 사용 - 장남감, 음식, 옷 등 친숙한 사물 확인, 구별 - 모양과 무늬 있는 사물 제시 - 숨바꼭질 놀이 • 출생후(4-5세) - 종류별, 짝짓기(옷, 단추, 차, 장남감 등) - 그림 보고 설명한 후 행동하기, 모방하기 - 전경과 배경 구분하기 - 모형과 실제사물 짝짓기 - 배경에 따라 대조되는 색을 사용 - 그림 색칠하기, 그림과 단어 짝짓기
시각발달 과정 III(저시력) • 출생후(1세) - 말로 의사 전달, 얼굴 접촉, 조명을 아동 뒤에 설치하고 상호작용 - 멜빵 띠 사용하여 부모 앞에 위치 - 엎드려서 하는 활동 제공, 촉감이 다양한 이불 제공 - 선, 곡선, 코너와 꼭지점 손으로 살펴 보게함 - 사물 전체 소개, 정해진 환경음 제공(물 떨어지는 소리, 냉장고, 세탁기), 각종 감각 단서 동시제공, 거울놀이, 공굴리기 • 출생후(2-3세) - 자조기술 사용 격려, 옷의 세부 구별 기회 제공, 음식 담기 - 자유로운 이동 기회 제공(사물에 대한 구두 설명) - 일반아동과 똑 같은 시각 자극 제공 - 위, 아래 등 기본개념 경험 기회 반복 제공 - 전경과 배경 구분 안됨 • 출생후(4-5세) - 시각기술 활용 최대 방법 지도, 타인의 활동 해석 방법 지도
시각장애의 원인 • 년대별 시각장애 주 원인(우리나라) - 1960년대 : 영양결핍과 불결한 위생(비타민 부족, 세균성 눈질환) - 1970년대 : 외상 등의 재해 - 1980년대 : 고령화 사회(백내장) - 1990년대 : 성인병 사회(당뇨병과 망막증, 황반변성증) • 미국의 1970년대 - 녹내장(13%), 망막색소변성증(12%), 노인성 백내장(8%), 시신경위측증, 당뇨병성 망막증 • 시각장애 주 요인 - 각막과 수정체의 역기능으로 인한 굴절이상(근시, 원시, 노안 및 난시) - 각막 질병(빛이 흐리게 투과) - 수정체 혼탁(백내장, 65세 이상 75%, 85세 이상 95%) - 망막손상(망막의 혈액순환 및 색소상피의 손상) - 안근육의 이상, 시신경 이상, 기타 안구 관련 질환
시각장애의 원인(선천적 1) • 백색증 - 개념 : 홍채에 빛이 너무 많이 들어오는 것을 막지 못하는 질환 - 증상 : 빛에 대해 민감함, 빛이 많을 경우 보는데 어려움 있음 - 워인 : 유전적, 망막+홍채+맥락막 →색소 부족 - 대처 : 선글라스, 모자착용, 햇빛 노출 지양 • 무안구증 - 개념 : 안구가 없는 상태(눈꺼풀과 눈썹 정상) - 증상 : 눈이 안쪽으로 쑥 들어간 상태 • 백내장 - 개념 : 수정체가 뿌옇게 되어 있는 상태 - 증상 : 섬광에 민감하게 됨 - 원인 : 산모의 풍진에 감염, 갈락토스미아(신진대사 결함: 우유 유당을 혈당으로 전환 곤란, 정신지체 및 백내장 원인)
시각장애 원인(선천적 2) • 소안구증 - 개념 : 안구가 현저히 적은 것 • 안구진탕증 - 개념 : 안구의 자기 조절력이 없으며, 눈동자가 양 옆이나 위 아래로 움직여서 초점을 맞추지 못하여 시력 저하 유발 - 증상 : 초점을 맞추기 위해 머리를 기울이거나 움직여서 조절 • 패용성 약시 - 개념 : “게으른 눈”, 한 눈을 많이 사용하여 다른 눈의 시력 저하 초래 - 증상 : 방치시 깊이 개념, 시야, 시력 문제 유발 - 원인 : 사시, 한 눈의 심한 근시, 난시 • 시신경 위축 - 개념 : 시신경 발달의 문제 - 증상 : 양안, 단안에 나타남, 호르몬 결핍으로 성장 장애 초래
시각장애 원인(출생시) • 외상 - 원인 : 유도분만, 외상으로 각막혼탁, 망막출혈, 아동학대(출생후) 약물중독, 마약중독(홍채 혈관의 불균형) • 감염 - 원인 : 톡소플라스마(소고기/양고기의 박테리아 산모에 감염→ 시 신경에 영향, 망막의 상처, 안구진탕 원인) • 미숙아 망막증 - 원인 : 미숙아(1.6kg 이하, 인큐베이터 50일 이상) - 조산아의 23%, 전맹
시각장애 원인(후천적) • 후천성 백내장 - 원인 : 노인성, 외상, 염증 - 치료 : 수정체만의 문제인 경우 인공수정체 삽입 • 녹내장 - 원인 : 안압(눈 내부의 압력)이 높아서 발생→시신경이 파괴 - 증상 : 40대 이후 발생 - 치료 : 약물과 레이저 치료 안압 낮추어줌 • 고혈압성 망막증(시신경 위축), 당뇨병성 망막증(중도실명자의 주 요인) • 눈의 굴절과 근육 이상 - 증상 : 근시, 원시, 난시(상이 찌그러짐), 사시(완치 가능) ☞ 시각계 질환결 기능문제 참조(78-880
현대 안과학 발달 동향 • 인공안구의 개발 - 안경에 부착한 축소형 카메라→피부의 회로→시신경 자극 • 근시교정 라식수술 - 각막 수술(빛의 굴절 조정), 각막의 두께 조절 수줄 • 근시 신교정 시술: 인공렌즈 삽입, 라식수술, 노안렌즈(다초점 안경를 렌즈에 옮김), 인공망막, 각막재생술 ☞ 인공망막 - 망막에 마이크로칩(시신경에 전달) ☞ 각막재생술 - 줄기세포 배양 - 태반의 내막인 양막 사용 각막 재생 - 좋은 눈의 각막 세포 채취 배양하여 투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