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 likes | 708 Views
1. 우리 민족과 국가의 성립. (1) 하나로 뭉친 겨레. 처음으로 세운 나라 고조선. 고조선 → 삼국시대 → 남북국시대. 선사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 ( 가야 ). 발해 통일신라. 구석기 → 신석기 → 청동기 → 철기. 처음으로 세운 나라 고조선. ◊ 구석기 ① 도 구 : 뗀석기 ( 주먹도끼 ) ② 사는 곳 : 동굴 ③ 식 량 : 열매 , 사냥 ④ 불을 사용 ( 난방 , 음식 익혀 먹음 ) 이동 생활 , 채집 생활. 처음으로 세운 나라 고조선.
E N D
1. 우리 민족과 국가의 성립 (1)하나로 뭉친 겨레
처음으로 세운 나라 고조선 고조선 → 삼국시대 → 남북국시대 선사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발해 통일신라 구석기 → 신석기 → 청동기 → 철기
처음으로 세운 나라 고조선 ◊ 구석기 ① 도 구: 뗀석기(주먹도끼) ② 사는 곳: 동굴 ③ 식 량: 열매, 사냥 ④ 불을 사용(난방, 음식 익혀 먹음) 이동 생활, 채집 생활
처음으로 세운 나라 고조선 ◊ 신석기 ① 도 구: 간석기 (돌괭이, 돌보습, 돌낫, 갈돌, 갈판) ② 사는 곳: 움집 ③ 식 량: 농사, 고기잡이, 사냥 ④ 빗살무늬 토기
처음으로 세운 나라 고조선 ◊ 청동기 ① 도 구: 청동기 (청동검, 청동 거울) (농기구는 석기 사용:돌괭이, 반달 돌칼) ② 사는 곳: 평야나 하천에 부족사회 구성 지붕 얹은 움집(겉:지상 가옥) ③ 식 량: 농사, 가축 기르기 ④ 민무늬 토기 지배 계급 발생(계급 사회)-고인돌
처음으로 세운 나라 고조선 ◊고조선의 건국 •기원전 2333년, 단군왕검 •도읍지: 아사달 •‘홍익인간’의 정신 •단군의 건국 이야기 -환웅 이주/ 바람, 구름, 비의 신/ 곰, 결혼
처음으로 세운 나라 고조선 ◊ 고조선의 발달 •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세워짐 •영토:요령지방, 만주, 한반도 북부 → 한반도 북서부 중심(중국과 충돌 이후) •계급사회: 왕 밑에 여러 관직, 왕권 부자 세습 • 8개조의 법: 고조선의 사회 모습 - 엄격한 사회 질서, 사유 재산 제도, 계급 사회
처음으로 세운 나라 고조선 ◊ 고조선에 뒤이어 일어난 나라들 •철기 문화 보급으로 여러 곳에 나라가 일어남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생활 모습 -철로 농기구와 무기 만듦 -농기구 발달로 본격적인 벼농사 -철을 중심으로 나라 사이의 무역
힘을 겨루며 성장한 세 나라 ◊ 고구려 ① 시조: 주몽, 압록강 유역 졸본(산간) ② 도읍지: 국내성→ 평양성 ③ 국가 제도 정비: 고국천왕 ④ 전성기: 광개토대왕, 장수왕(5C) ⑤ 불교 수용: 소수림왕
힘을 겨루며 성장한 세 나라 ⑥ 고구려의 성장과 발전 •가장 먼저 나라의 모습 갖춤 •소수림왕- 불교 수용, 태학(인재 양성)설립 •광개토대왕- 영토 확장 •장수왕- 국내성→ 평양성 천도, 남하정책 •을지문덕 장군- 살수대첩(수 나라) •양만춘 장군- 안시성 싸움(당 나라)
힘을 겨루며 성장한 세 나라 ◊ 백제 ① 시조: 온조, 한강 유역(평야) ② 도읍지: 위례성→ 웅진→ 사비 ③ 국가 제도 정비: 고이왕 ④ 전성기: 근초고왕(4C) ⑤ 불교 수용: 침류왕
힘을 겨루며 성장한 세 나라 ⑥ 백제 성장과 발전 •삼국 중 가장 먼저 전성기 •근초고왕 - 왕권 강화: 유학 발달(왕인, 아직기 등 학자 일본 파견) 왕족의 지방 파견(22개 담로) 역사책 ‘서기’(박사 고흥) 편찬 - 영토 확장: 한강 이북, 가야 복속, 마한 통합 - 중국과 일본 진출 •박사 제도(인재 양성) •장수왕 남하 정책 이후- 위례성→ 웅진 천도 신라와 군사 동맹 이후- 웅진 → 사비 천도 •무령왕릉- 백제의 국력 회복을 알려주는 문화재
힘을 겨루며 성장한 세 나라 ◊ 신라 ① 시조: 박혁거세, 금성(경주) ② 도읍지: 금성 ③ 국가 제도 정비: 내물왕 ④ 전성기: 진흥왕(6C) ⑤ 불교 수용: 법흥왕 (이차돈의 순교)
힘을 겨루며 성장한 세 나라 ⑥ 신라의 성장과 발전 •삼국 중 가장 늦게 전성기(소백산맥) •법흥왕- 불교를 국교로 공인 후 왕권 강화 •진흥왕 - 화랑제도 정비(인재양성) - 한강 유역 차지, 가야 정복: 중국과 직접 교류 - 새로 개척한 영토에 순수비 세움 - 호국 불교(황룡사, 법주사) - 삼국 통일의 기반 마련
힘을 겨루며 성장한 세 나라 ◊ 가야의 성장과 발전 • 1C경 낙동강 유역, 6가야 독립적 성장 •초기: 금관가야(수로왕) 중심 철기 문화 융성 후기: 고령의 대가야 중심 → 하나의 나라 이루지 못하고 신라에 정복 당함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철기 문화 발달(수출) → 신라와 일본 문화에 많은 영향 •문화재: 철제 갑옷, 철제 투구, 기마인물모양토기, 금동관 등
힘을 겨루며 성장한 세 나라 ◊ 삼국 문화의 특징 •고구려 - 씩씩하고 굳센 기상 - 고분 벽화: 고구려인들의 생활 모습 (무용도, 수렵도, 연꽃무늬) - 대표적 문화재: 광개토대왕릉비, 무용총, 장군총, 안학궁 터, 평양성 터
힘을 겨루며 성장한 세 나라 •백제 - 온화함과 섬세함 - 일본 문화에 많은 영향 - 대표적 문화재: 송산리 고분(무령왕릉), 공산성, 미륵사지석탑, 정림사지5층석탑, 백제금동대향로
힘을 겨루며 성장한 세 나라 •신라 - 씩씩함, 섬세함이 조화(고구려와 백제의 영향) - 대표적 문화재: 천마총, 금관총, 분황사석탑, 첨성대, 안압지, 금관, 금귀걸이
힘을 겨루며 성장한 세 나라 ◊일본 고대 문화 형성에 많은 영향 - 삼국시대 이전부터 일본에 건너감 •고구려: 승려 혜자-쇼토쿠 태자의 스승 승려 담징- 호류사 금당벽화 •백제: 아직기, 왕인- 학문과 유학 전파 불경과 불상, 5경 박사 보냄 •신라: 배 만드는 기술, 성과 제방 축조술 전파 •가야: 스에키 토기의 발달에 직접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