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 likes | 598 Views
1. DDT 와 PCB 의 생물 농축 [1] 생물 농축 : 중금속이나 유기 농약 등의 오염 물질이 물 속에 유입되었을 때 분해되지 않고 먹이 연쇄를 통해 상위 단계로 농축되는 현상 1) 해로운 성질 ⓐ 분해가 잘 안됨 ( 지속성 ) ⓑ 물에 잘 녹지 않음 ⓒ 지방에 잘 녹음 ( 지용성 ). 2) 피해 - 최종 소비자의 생명을 위협 = 철새들이나 물고기 의 떼죽음 , 기형 물고기 3) 오염 물질 ⓐ 중금속 : 수은 , 카드뮴 , 납
E N D
1. DDT와 PCB의 생물 농축 [1] 생물 농축: 중금속이나 유기 농약 등의 오염 물질이 물 속에 유입되었을 때 분해되지 않고 먹이 연쇄를 통해 상위 단계로 농축되는 현상 1) 해로운 성질 ⓐ 분해가 잘 안됨(지속성) ⓑ 물에 잘 녹지 않음 ⓒ 지방에 잘 녹음(지용성)
2) 피해 - 최종 소비자의 생명을 위협 = 철새들이나 물고기 의 떼죽음, 기형 물고기 3) 오염 물질 ⓐ 중금속 : 수은, 카드뮴, 납 ⓑ 농약 성분 : 살충제(DDT, BHC), 살균제, 제초제(고엽제) ⓒ 합성 화학 물질: PCB, 벤젠, 유기 염소계 용제 등
[2] DDT의 생물 농축 DDT 란 :DichloroDiphenylTrichlorethane ① 싸고 가장 효과적인 합성 살충제 ② 1873년 개발되었고 1946년 미국에서 처음 사용(1948년 노벨상) ③ 맛이나 냄새가 없으며 물에는 녹지 않고 지질에 잘 녹는 흰색의 가루. ④ 모기나 파리를 없애기 때문에 말라리아, 발진티푸스 퇴치에도 효과 [자료해석] DDT의 생물 농축
2) 농축 현상 ① 분해 시간이 길고 동물 지방에 축적 ② 토양과 토양수속에 침전 ③ 플랑크톤과 원생 생물 ④ 오염먹이 사슬을 따라 상위 단계로 갈수록 더욱 높은 농도로 농축
3) DDT농축에 의한 피해 ① 상위 단계로 갈수록 생물 농축 - 대머리 독수리의 DDT 농축량은 호수 물속보다 약 100만배 ② 최종소비자가 심각한 영향을 받음 예) 대머리 독수리 같은 최종 소비자 의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③ 내성을 갖는 말라리아 모기 발견
4) 다량 중독시 징후와 증상 ⓐ 혀,입술,얼굴의 감각이상 ⓑ 불안, 현기증, 진전 ⓒ 자극에 대한 과민성 반응 ⓓ 강직성 및 간대성 경련. 연구1
5) 사용 현황 ㉠ 1970년대부터 DDT가 환경과 건강 에 미치는 악영향이 우려 ㉡ 1972년 6월 미국은 곡식에 DDT를 살포하는 것을 전면적으로 중단 -병의 치료에 사용되는 경우만 제한적으로 사용 허가 ㉢ 열대지역의 많은 나라에서는 아직도 말라리아를 없애기 위해 사용한다. ㉣ 우리나라는 1976년 생산을 금지, 1979년부터는 사용이 금지.
[3] BHC : Benzene hexachloride 1) 유기 염소계 살충제 -8개의 이성체 혼합물 2) 임상적으로 체외 기생충약으로 사용 3) 중독 징후 및 증상 : DDT와 비슷한 증상 -진전, 운동실조증, 경련. 허탈 등.
농 축 과 정 그 림
농축 배율 생태계 구성원 농약농도 (ppm) 영양단계 [자료해석]DDT의 생물 농축 최종소비자 조류 25 5000000 목표: DDT가 생물체에 유입되었을 때 먹이 사슬을 통해 농축됨을 이해한다. 정리 2차소비자 큰 물고기 2 400000 1차소비자 작은물고기 0.05 10000 생산자 플랑크톤 0.04 8000 무기환경 물 0.000005 1
[자료해석]DDT의 생물 농축 플랑크톤 = 0.04/0.000005= 8000 작은 물고기 = 0.05/0.04 = 1.25 큰 물고기 = 2/0.05 = 40배 새 = 25/2 = 12.5 배 2. 상위 영양 단계 생물이 하위 생물을 잡아 지속적으로 잡아 먹게 되면 DDT가 분해되거나 배설되지 않고 체내에 잔류하기 때문
연구1 [연구1] 먹이 사슬을 최소화하거나 분해시키는 물질 개발
1. DDT와 PCB의 생물 농축 [1] 생물 농축: 중금속이나 유기 농약 등의 오염 물질이 물 속에 유입되었을 때 분해되지 않고 먹이 연쇄를 통해 상위 단계로 농축되는 현상 1) 해로운 성질 ⓐ 분해가 잘 안됨(지속성) ⓑ 물에 잘 녹지 않음 ⓒ 지방에 잘 녹음(지용성) 2) 피해 - 최종 소비자의 생명을 위협 = 철새들이나 물고기 의 떼죽음, 기형 물고기 3) 오염 물질 ⓐ 중금속 : 수은, 카드뮴, 납 ⓑ 농약 성분 : 살충제(DDT, BHC), 살균제, 제초 제(고엽제) ⓒ 합성 화학 물질: PCB, 벤젠, 유기 염소계 용제 등 [2] DDT의 생물 농축 DDT 란 ① 싸고 가장 효과적인 합성 살충제 ② 1873년 개발되었고 1946년 미국에서 처음 사용(1948년 노벨상)
① 싸고 가장 효과적인 합성 살충제 ② 1873년 개발되었고 1946년 미국에서 처음 사용 (1948년 노벨상) ③ 맛이나 냄새가 없으며 물에는 녹지 않고 지질에 잘 녹는 흰색의 가루. ④ 모기나 파리를 없애기 때문에 말라리아, 발진티 푸스 퇴치에도 효과 2) 농축 현상 ① 분해 시간이 길고 동물 지방에 축적 ② 토양과 토양수속에 침전 ③ 플랑크톤과 원생 생물 ④ 오염먹이 사슬을 따라 상위 단계로 갈수록 더욱 높은 농도로 농축 3) DDT농축에 의한 피해 ① 상위 단계로 갈수록 생물 농축 - 대머리 독수리 의 DDT 농축량은 호수 물속보다 약 100만배 ② 최종소비자가 심각한 영향을 받음 예) 대머리 독수리 같은 최종 소비자 의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③ 내성을 갖는 말라리아 모기 발견
② 최종소비자가 심각한 영향을 받음 예) 대머리 독수리 같은 최종 소비자 의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③ 내성을 갖는 말라리아 모기 발견 4) 다량 중독시 징후와 증상 ⓐ 혀,입술,얼굴의 감각이상 ⓑ 불안, 현기증, 진전 ⓒ 자극에 대한 과민성 반응 ⓓ 강직성 및 간대성 경련. 5) 사용 현황 ㉠ 1970년대부터 DDT가 환경과 건강에 미치는 악 영향이 우려 ㉡ 1972년 6월 미국은 곡식에 DDT를 살포하는 것을 전면적으로 중단 -병의 치료에 사용되는 경우만 제한적으로 사용 허가 ㉢ 열대지역의 많은 나라에서는 아직도 말라리아를 없애기 위해 사용 ㉣ 우리나라는 1976년 생산을 금지, 1979년부터는 사용이 금지.
㉢ 열대지역의 많은 나라에서는 아직도 말라리아를 없애기 위해 사용 ㉣ 우리나라는 1976년 생산을 금지, 1979년부터는 사용이 금지. [3] BHC : Benzene hexachloride 1) 유기 염소계 살충제 -8개의 이성체 혼합물 2) 임상적으로 체외 기생충약으로 사용 3) 중독 징후 및 증상 : DDT와 비슷한 독증상 유 -진전, 운동실조증, 경련. 허탈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