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0 likes | 828 Views
서버운영체제. 6 장 . 사고를 대비한 백업. 2013 년도 2 학기 5 주차. Windows Server 2008 백업 기능 [P265]. 백업 / 복원의 기본 개념 사고는 언제나 발생할 수 있 으며 , 이러한 사고를 대비하기 위한 방편 중에서 반드시 해야 할 것이 백업 기존의 폴더 또는 파일을 다른 안전한 장소에 보관해두는 것이 백업 (Backup) 문제가 생기면 백업했던 데이터를 원래대로 복원 (Restore) ( 또는 복구 )
E N D
서버운영체제 6장. 사고를 대비한 백업 2013년도 2학기 5주차
Windows Server 2008 백업 기능[P265] • 백업/복원의 기본 개념 • 사고는 언제나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고를 대비하기 위한 방편 중에서 반드시 해야 할 것이 백업 • 기존의 폴더 또는 파일을 다른 안전한 장소에 보관해두는 것이 백업(Backup) • 문제가 생기면 백업했던 데이터를 원래대로 복원(Restore) (또는 복구) • Windows Server 2008에서는 자체적으로 백업 기능을 제공 • 그러므로 백업은 별도의 하드디스크나 다른 컴퓨터의 공유 폴더에 하는 것이 필수 • 복구는 삭제된 일부 폴더만 복구할 수도 있고, 볼륨 전체를 복구할 수도 있다.
<실습1> Windows Server 2008의 백업 실습 [P265] • Brain Server 초기화 • Brain Server 폴더 삭제하고 압축 다시 풀기 • 백업 데이터를 저장할 별도의 하드 디스크 장착 • Brain Server OFF •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 - [Add] • [Hardware Type]에서‘Hard Disk’ 선택 • [Select a Disk]에서 “Create a new virtual disk” 유지 • [Select a Disk Type]에서 SCSI 유지 • [Specify Disk Capacity]에서 40GB로 설정 • [Specify Disk File]에서 파일명을 ‘backup.vmdk’로.
<실습1> Windows Server 2008의 백업 실습 [P265] • [Select a Disk Type]에서 SCSI 유지 • [Specify Disk Capacity]에서 40GB로 유지하고, “Store virtual disk as a single file” 선택 • [Specify Disk File]에서 파일명을 ‘backup.vmdk’로 설정하고 <Finish> 클릭
<실습1> Windows Server 2008의 백업 실습 [P265] • 추가된 하드디스크 확인하고 창 닫기 • Brain Server 부팅 [관리도구] [컴퓨터관리] [디스크관리] 40GB 디스크 전체를 K 드라이브로 지정 파티션 이름은 “백업전용”으로 지정
<실습1> Windows Server 2008의 백업 실습 [P265] • 백업 기능 설치 • [관리도구]-[서버관리자]-[기능]-[기능추가] • [기능선택]에서 ‘Windows Server 백업기능’확장해서 ‘Windows Server 백업’만 체크 • [설치선택확인]에서 <설치>버튼 클릭해 설치 진행 • 설치가 완료되면 창 닫기
<실습1> Windows Server 2008의 백업 실습 [P265] • 기본적인 백업 연습 • [관리도구]-[Windows Server 백업]-[한번백업] • [백업옵션]에서 지금은‘다른 옵션’만 선택할 수 있음
<실습1> Windows Server 2008의 백업 실습 [P265] • [백업 구성 선택]에서 ‘사용자 지정’선택 (C 드라이브만 백업하기 위함임)
<실습1> Windows Server 2008의 백업 실습 [P265] • [백업 항목 선택]에서 C 드라이브만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 (시스템 복구를 사용합니다 옵션도 체크되어 있음)
<실습1> Windows Server 2008의 백업 실습 [P265] • [대상 형식 지정]에서 ‘로컬 드라이브’ 유형이 선택된 상태에서 <다음> 클릭 • 다른 컴퓨터로 백업하는 경우 ‘원격 공유폴더’선택
<실습1> Windows Server 2008의 백업 실습 [P265] • [백업 대상 선택]에서 ‘백업 대상’을 K 드라이브로 선택 (C 드라이브를 K 드라이브로 백업하는 것임)
<실습1> Windows Server 2008의 백업 실습 [P265] • [고급 옵션 지정]에서 ‘VSS 복사본 백업(권장사항)’이 선택된 상태에서 <다음> 클릭
VSS 복사본 백업 [p. 269] • VSS (Volume Shadow copy Service) • Shadow Copy, Volume Snapshot Service • VSS 복사본 백업은 백업이 만들어지는 동안 볼륨의 내용물이 바뀌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함 • 복사본을 만들 때 다른 프로그램이 사용하고 있는 잠긴 파일을 복사하는 특별한 기능이 있음 • VSS 복사본 백업은 응용 프로그램이 백업 중인 볼륨에 데이터를 계속 기록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관리자가 사용자를 잠그거나 일부 파일을 빠뜨리지 않고서도 언제든지 백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
<실습1> Windows Server 2008의 백업 실습 [P265] • [확인]에서 <백업> 버튼 클릭해 백업 진행
<실습1> Windows Server 2008의 백업 실습 [P265] • [Window server 백업]에서 백업된내용 확인
<실습1> Windows Server 2008의 백업 실습 [P265] • Windows 탐색기에서 K 드라이브 확인 Capture
<실습1> Windows Server 2008의 백업 실습 [P265] • C 드라이브에서 중요 파일 삭제 후 백업으로 복원해 보기 • 탐색기에서 ‘C:\Program files\Common files\Vmware 폴더 삭제 휴지통도 비우기 • [관리도구]-[Windows Server 백업] 실행 • [작업] 창의 ‘복구’클릭 • 복구 마법사 [시작] 에서 ‘이 서버(컴퓨터이름)’가 선택된 상태에서 <다음> 클릭
<실습1> Windows Server 2008의 백업 실습 [P265] • [백업 날짜 선택]에서 날짜 선택 (기본은 가장 최근 날짜임)
<실습1> Windows Server 2008의 백업 실습 [P265] • [복구 유형 선택]에서 ‘파일 및 폴더’ 선택 • 드라이브를 통째로 복구하려면 ‘볼륨’을 선택한다
<실습1> Windows Server 2008의 백업 실습 [P265] • [복구할 항목 선택]의 ‘사용 가능한 항목’에서 C:\Program Files\Common\Vmware\ 선택
<실습1> Windows Server 2008의 백업 실습 [P265] • [복구 옵션 지정]에서 ‘복구 대상’은 ‘원래 위치’ 선택 • ‘다른 위치’를 고르면 백업했을 때와 다른 위치로 복원
<실습1> Windows Server 2008의 백업 실습 [P265] • [확인]에서 <복구> 클릭해서 복구 진행
<실습1> Windows Server 2008의 백업 실습 [P265] • [Window Server 백업]에서 복구 내역 확인 • Windows 탐색기에서 C:\Program Files\Common\Vmware\ 확인 Capture
전체 백업과 증분 백업 (1) [P273] • 전체 백업 • 볼륨(또는 드라이브)을 전부 백업하는 것 • 시간이 오래 걸리고 백업할 때마다 디스크 공간이 많이 필요
전체 백업과 증분 백업 (2) [P274] • 증분 백업 • 변경된 내용에 대해서만 백업 • 1회 전체 백업외에는, 백업하는 속도가 상당히 빠르다 증분 백업은 처음에는 무조건 전체 백업을 해야 함. 증분 백업 이후에는 시스템 성능이 약간 느려지는 단점이 있음.
<실습2> 증분 백업 실습 [P275] • 디폴트인 전체 백업 설정 변경하기 • [관리도구] – [Windows Server 백업] • [작업] – ‘성능구성설정’ [백업 성능 최적화] – ‘항상 증분 백업 수행’ 선택
<실습2> 증분 백업 실습 [P275] • 디폴트인 전체 백업 설정 변경하기 • [관리도구] – [Windows Server 백업] • [작업] – ‘성능구성설정’ [백업 성능 최적화] – ‘항상 증분 백업 수행’ 선택
<실습2> 증분 백업 실습 [P275] • 1회째 전체 백업 수행 (증분 백업도 처음은 전체백업) • [Windows Server 백업] – [작업] – ‘한번 백업’ • [백업 구성 선택] 에서 ‘사용자 지정’ 선택 • [백업 항목 선택]에서 ‘K 드라이브’가 빠져 있는가 확인 • [대상 형식 지정]에서 ‘로컬 드라이브’ 선택 확인 • [백업 대상 선택]에서 ‘K 드라이브’로 선택 • 백업 수행
<실습2> 증분 백업 실습 [P275] • [Windows Server 백업] – [작업] 에서 ‘한번백업’ 클릭 • [백업 구성 선택] 에서 ‘사용자 지정’ 선택 • [백업 항목 선택]에서 ‘C 드라이브’만 선택되어 있나 확인 • [대상 형식 지정]에서 ‘로컬 드라이브’ 선택 확인 • [백업 대상 선택]에서 ‘K 드라이브’로 선택
<실습2> 증분 백업 실습 [P275] • 백업 수행
<실습2> 증분 백업 실습 [P275] • [Windows Server 백업] – ‘상태’ – ‘마지막백업’ – ‘자세히 보기’
<실습2> 증분 백업 실습 [P275] • 같은 방식으로 ‘3회 증분 백업’ 수행 • C 드라이브 변경해 놓기 – 바탕화면 Boot 폴더 한번 더 복사 • 백업 수행
<실습2> 증분 백업 실습 [P275] • [Windows Server 백업]에서 백업 확인 Capture
백업 일정 예약 [P278] • 백업 일정 예약 개요 • 백업을 진행하는 중에는 시스템 성능이 느려짐 • 백업은 시스템이 별로 사용되지 않는 야간이나 새벽, 또는 주말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함 • 백업 일정을 예약해 놓고 지정한 시간에 자동으로 백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음 • 백업 일정을 예약할 때는 다음 3가지를 설정 • 전체 또는 특정 볼륨만 백업할 것인가? • 언제 백업하고 또 얼마나 자주 백업할 것인가? • 어느 장소에 백업할 것인가? • 예약백업 참고사항 • 예약백업이 저장되는 디스크는 포맷된다. • 예약백업이 저장되는 디스크는 탐색기에서 보이지 않도록 숨긴다.
<실습3> 백업 일정 예약 [P279] • 예약 백업용 새 하드디스크 준비 • [Virtual Machine]>[Virtual Machine Settings]에서 50GB 하드 디스크 추가
<실습3> 백업 일정 예약 [P279] • [관리도구]-[컴퓨터관리]-[디스크관리] 에서 하드디스크 포맷 볼륨 이름 “예약백업용” 드라이브는 “R”
<실습3> 백업 일정 예약 [P279] • 백업 일정 예약 • [관리도구]-[Windows Server 백업]-[작업]-[백업일정] • 백업일정마법사 [시작]에서 <다음> 클릭 • [백업구성선택]에서 ‘사용자지정’ 선택 • [백업항목선택]에서 ‘로컬디스크(C)”만 선택
<실습3> 백업 일정 예약 [P279] • [백업시간지정]에서 하루 한번 새벽(오전) 2식에 백업
<실습3> 백업 일정 예약 [P279] • [대상 디스크 선택]-<사용가능한 디스크 표시>-50GB 디스크 선택
<실습3> 백업 일정 예약 [P279] • 포맷된다는 경고메시지 <예> 선택 • [대상 디스크 레이블 지정]에서 <다음> 클릭 • [확인]에서 <마침> 클릭하면 R 드라이브 포맷 자동 진행 • 예약전용으로 하면 R 드라이브 없어짐. 탐색기에도 나타나지 않음. E 드라이브로 인식해서 포맷하겠다는 메시지 나오면 <취소>
<실습3> 백업 일정 예약 [P279] • [Windows Server 백업]에서 예약정보 확인
<실습3> 백업 일정 예약 [P279] • 예약 백업 수행 • 시스템 시간을 1시 57분으로 변경하기 위해 제어판의 [시간 및 날짜] 실행 • <날짜 및 시간 변경> - 오전 1시 57분으로 변경
<실습3> 백업 일정 예약 [P279] • 잠시 후 시스템 시간이 오전 2시가 되면 예약 백업 진행됨. 깜빡 거리는 하드 디스크 아이콘 확인
<실습3> 백업 일정 예약 [P279] • Ctrl+Alt+Del – [작업관리자]- [프로세스] 탭에서 백업 프로세스인 ‘wbengine.exe’가 CPU 및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을 확인 (전체 백업으로 오래 걸림)
<실습3> 백업 일정 예약 [P279] • [관리도구]-[Windows Server 백업] 에서 백업된 결과 확인
<실습3> 백업 일정 예약 [P279] • 다음날 오전 1시 57분으로 시간변경, 예약백업이 완료되면 [관리도구]-[Windows Server 백업] 에서 백업된 결과 확인 (증분 백업으로 빨리 끝남)
<실습3> 백업 일정 예약 [P279] • 예약 백업된 데이터 확인 • [관리도구]-[컴퓨터관리]-[저장소]-[디스크관리] • 50GB 디스크2에서 우클릭한후 ‘드라이브 문자 및 경로 변경’선택
<실습3> 백업 일정 예약 [P279] • <추가> 클릭하고 R 드라이브로 지정
<실습3> 백업 일정 예약 [P279] • 탐색기에서 R 드라이브를 열어 예약 백업된 데이터 확인 Capture
<실습4> 부팅이 안 될 경우 복구 [P285] • Brain Server 망가뜨리기 • Brain Server 셧다운 •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에서 100GB Hard Disk 선택한 후 <Remove> 클릭 • Brain Server 부팅 부팅 실패 [Virtual Machine]-[Power]-[Power O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