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5

아스피린

아스피린. 전자공학부 200520173 이호준. 목차. 1. 주제 선정 이유 2. 아스피린의 역사 3. 아스피린의 구조 4. 아스피린의 작용기전 5. 아스피린의 효과 및 부작용 6. 아스피린의 복용법. 주제선택이유. 물질의 근원 화학 화학식 약 아스피린. 아스피린의 역사 - 1. 히포크라테스 (460 B.C ~ 377 B.C.) 는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이 고통을 완화시킨다는 것을 발견 . 아스피린의 역사 - 2.

gerda
Download Presentation

아스피린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아스피린 전자공학부 200520173 이호준

  2. 목차 • 1. 주제 선정 이유 • 2. 아스피린의 역사 • 3. 아스피린의 구조 • 4. 아스피린의 작용기전 • 5. 아스피린의 효과 및 부작용 • 6. 아스피린의 복용법

  3. 주제선택이유 물질의 근원 화학 화학식 약 아스피린

  4. 아스피린의 역사 - 1 히포크라테스(460 B.C ~ 377 B.C.)는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이 고통을 완화시킨다는 것을 발견.

  5. 아스피린의 역사 - 2 요한 안드레아스부흐너 (Johann Andreas Buchner) 1828년 버드나무 에서 쓴맛 나는 노란 결정 발견. 그 물질에 버드나무의 라틴어 표현인 살릭스(Salix)를 본떠 살리신(Salicin)이라는 이름 붙임.

  6. 아스피린의 역사 - 3 사실 부흐너 전에 브루냐텔리(Brugnatelli)와 폰타나(Fontana)가 먼저 발견했으나 증명 하지 못함. 1829년에 앙리르루(Henri Leroux)라는 프랑스 화학자가 약 1킬로그램의 버드나무 껍질에서 약 25그램의 살리신 결정 추출 성공. 1838년에 라파엘레피리아(RaffaelePiria)라는 이탈리아 화학자가 살리신 결정에서 효능이 더 강한 산을 추출해 살리실산이라고 명명함 1853년에 샤를제라르트(Charles Gerhardt)가 아세틸살리실산(아스피린) 최초로 합성에 성공했으나 불순물이 많이 섞여 사용할 수는 없었다.

  7. 아스피린의 역사 - 4 헤르만콜베 (Hermann Kolbe) 1859년 독일의 화학자 헤르만콜베(Hermann Kolbe)가 개발한 방법이 더욱 효과적이라 후에 콜베의 방법으로 살리실산 제조.

  8. 아스피린의 역사 - 5 펠릭스호프만 (Felix Hoffmann) 1890년대 후반 살리실산은 쓴맛과 섭취시 위장 점막을 손상시켰기 때문에 아세틸살리실산을개발.

  9. 아스피린의 역사 - 6 가장 알려진 이야기 이지만 확실하지는 않음. 같이 연구했던 하인리히드레서(Heinrich Dreser)나 아르투르아이헨그륀(Arthur Eichengrin)이 개발했다고도 함. 당시 호프만은 제약회사인 바이엘(Bayle)에서 일하고 있었기에 바이엘사는 이 화합물에 ‘아스피린’(“a”는 아세틸에서, “spirin"은 독일어로 살리실산인Spirsaure에서 따왔다.)이란 상호명을 붙여서 1899년부터 판매하여 지금에까지 이르고 있다. 아스피린은 분말이었으나 1904년에 바이엘이 알약형태로 개발

  10. 아스피린의 역사 -7

  11. 아스피린의 역사 - 6 1982년의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베르크스트룀(Sune K. Bergström, 1916-2004), 사무엘슨(Bengt I. Samuelson, 1934- ), 베인(John R. Vane, 1927-2004) 표적인 생리활성물질 중 하나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PG)을 순수분리해 구조를 연구했고, 유도체들이 생합성되는 과정 및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프로스타글란딘에 의해 생체 내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변화를 설명할 수 있게 하였음.

  12. 아스피린의 구조- 1 아스피린 (아세틸살리실산)의 결정 모양

  13. 아스피린의 구조- 2 아스피린의 결정모양

  14. 아스피린의 구조- 3 아스피린(aspirin)은 아세틸살리실산 (acetylsalicylic acid)이라는 유기 화합물로 방향족 벤젠 분자에 카르복실기와에스테르기가 결합된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15. 아스피린의 구조- 4 에스테르화 반응 아스피린 합성 반응

  16. 아스피린의 작용기전-1 아스피린 작용 간단히 요약 1. 세포손상이 되면 2. 사이클로옥시제네이즈(cyclooxygenase, COX)라는 효소로 인해 3. 혈전과 염증,통증, 홍조, 발열을 야기시키는 호르몬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이 분비 4. 이 프로스타글란딘 이라는 물질을 막기위해 아스피린으로 COX를 차단

  17. 아스피린의 작용기전 - 2 아스피린과 COX가 합성하여 COX를 억제하는 모습

  18. 아스피린의 작용기전 - 3 COX (cyclooxgenase) 효소의 두 가지 종류와 구조 (a) cyclooxgenase-1(COX-1) -세포의 구성성분으로 되어있음. 대부분 조직에 항시 발현 -주로 혈관 내피세포, 위 점막 및 콩팥 등에 존재 -위 점막 보호 작용, 콩팥 혈류를 조절하는 항상성 기능 (b) cyclooxgenase-2(COX-2) -염증 매개 물질(cytokine)에 의해 생성. -염증부위에서 염증반응을 일으키고 유지함 -암과 연관이 있는, DNA 손상을 유발하기도 함

  19. 아스피린의 작용기전 - 4 COX 효소가 체내에서 일으키는 반응 *COX-1 효소 - 트롬복산: 1)혈관의 수축 2) 혈소판 응집 작용 촉진. 심장마비(heart attack)와 뇌졸중(stroke)의 원인 가능 - 프로스타글란딘: 점액 분비를 촉진시켜 산으로부터 위벽을 보호 * COX-2효소 - 프로스타글란딘: 1)통증을 유발하고 염증생김 2)모세혈관 확장 작용을 하여 체온을 조절 - 프로스타사이클린 1)혈관을 확장  2)혈소판의 활성을 차단

  20. 아스피린의 작용기전 - 5 Cox-1과 Cox-2의 상반된 작용 Cox-1 효소는 -혈액 응고. 혈관 수축 물질인 Thromboxan A2 생성. -위 점막 보호 물질 생성. -즉,Cox-1을 억제하면 혈전 예방은 가능하나 위 점막이 상함 Cox-2 효소는 -염증 유발 물질, 체온 상승 요인인 Prostaglandin E2 생성. -혈전을 예방하고 혈관 확장 물질인 Prostacyclin(PGI2)의 생성. -즉, Cox-2 를 억제하면 염증은 억제되지만 혈전이 조장되고 혈압이 상승하게 됨. -심장병이나 혈관에 병태가 있는 자는 더욱 악화.

  21. 아스피린의 작용기전 - 6 그렇다면 아스피린은 Cox-1와 Cox-2 중 무엇과 작용하는가? 두 개 다 작용한다. - 이로 인한 문제점

  22. 아스피린의 효과 및 부작용-1 아스피린 효과 -진통작용 -해열작용 흔히 쓰이고 알고 있는 것 -소염작용 -심근경색증효과가 있다는 연구 -뇌경색증 결과가 있지만 -암예방 반드시 의사의 진료에 따라서 사용할 것

  23. 아스피린의 효과 및 부작용-2 아스피린의 부작용 - 아스피린 알레르기 - 위장장애 : 낮은 산도로부터 위점막은 우리의 위장을 보호한다. 그런데 아스피린은 위점막이 만들어지는 것을 막기 때문에 아스피린을 먹게 되면 위장이 쉽게 위산에 의해 다치게 되고 따라서 출혈이 일어날 수 있다. - 심장병이나 혈관에 병태가 있는 사람은 더욱 악화

  24. 아스피린 복용법 심순환기 질환의 예방 목적의 경우 : 하루에 100 mg보다 많은 양의 아스피린이 필요하지 않다. (반드시 의사의 처방 필요) 염증이나 통증 의 경우 : 아스피린 1회 0.5~1.5g 을 1일 2~3회 복용 (심순환기 질환이 없는 경우)

  25. Reference • 화학으로 이루어진 세상 - k.매데페셀헤르만, F.하이머, • H.-J.크바드베크제거 지음 • 아스피린의 역사 - 다이어무이드제프리스 • http://www.bayeraspirin.co.kr/whats/origianl.asp • http://pain.bayer.com/treatment/asa_work_en.html • http://pain.bayer.com/treatment/active_ingredient_en.html • http://www.sciencetimes.co.kr/ • http://www.koreahealthlog.com/ • http://user.chollian.net/~handor/index.html • http://inventors.about.com/library/inventors/blaspirin.htm • http://www.eao.chups.jussieu.fr/polys/certifopt/saule_coxib/theme/1vane2003.pdf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