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0 likes | 2.12k Views
스팀 트랩. 암스트롱 인터내셔널 코리아. 목차. 스팀의 기본적인 개념 스팀 트랩의 역할 스팀 트랩의 구조 스팀 트랩의 종류 스팀 트랩 비교 스팀 트랩 선정 스팀 트랩 설치 및 점검 스팀 트랩 문제점 해결. 스팀의 기본적인 개념. 대기압 상태에서의 스팀 생성 1. 물 20 -> 물 100 도 : 현열 (80 kcal) 2. 물 100 -> 스팀 100 도 : 잠열 (540 kcal) => 전열 ( 현열 + 잠열 ) 620 kcal. 스팀의 기본적인 개념.
E N D
스팀 트랩 암스트롱 인터내셔널 코리아
목차 • 스팀의 기본적인 개념 • 스팀 트랩의 역할 • 스팀 트랩의 구조 • 스팀 트랩의 종류 • 스팀 트랩 비교 • 스팀 트랩 선정 • 스팀 트랩 설치 및 점검 • 스팀 트랩 문제점 해결
스팀의 기본적인 개념 대기압 상태에서의 스팀 생성 1. 물 20 -> 물 100도 : 현열 (80 kcal) 2. 물 100 -> 스팀 100도 : 잠열 (540 kcal) => 전열 (현열+잠열) 620 kcal
스팀의 기본적인 개념 가압 (7 barg) 상태에서의 스팀 생성 1. 물 20 -> 물 170도 : 현열 (150 kcal) 2. 물 170 -> 스팀 170도 : 잠열 (490 kcal) => 전열 (현열+잠열) 640 kcal
스팀의 기본적인 개념 7 barg 스팀 (응축수) 시스템 1. 스팀 생성 (보일러) 2. 스팀 분배 / 감압 (배관) 3. 스팀 사용 (열교환 장치) 4. 응축수 회수 / 재사용
스팀 트랩의 역할 • 스스로 작동하는 (self actuating) 밸브 : 스팀만 공급되면 닫혀 있고, 응축수나 공기가 공급되면 배출 => 스팀 트랩
스팀 트랩의 역할 • 스팀 누수 최소화 • 긴 수명 • 부식에 잘 견딤 • 변동있는배압에 원활히 운전 • 이 물질에 원활히 작동 • 동파에 잘 견딤
스팀 트랩의 구조 입구 본체 밸브 오리피스 출구
스팀 트랩의 종류 입구 • Mechanical type : 스팀과 응축수 간의 밀도 차이에 의해 작동 (Inverted Bucket, Float & Thermostatic) • Thermostatic type : 스팀과 응축수 간의 온도 차이에 의해 작동 (wafer, Bellows, Bimetallic) • Thermodynamic type : 스팀과 응축수 간의 열역학적 변화 (압력과 속도의 변화) 차이에 의해 작동 (Controlled disc type)
스팀 트랩의 종류 인버티드 버켓 트랩 • 초기 가동 시 버켓이 가라앉아 있고 이에 따라 밸브는 완전히 열림. • 응축수가 유입되어 바로 배출. 응축수 밸브 열림 이물질 끌어 올림
스팀 트랩의 종류 인버티드 버켓 트랩 • 스팀이 유입되면 버켓이 떠올라 밸브를 닫음. • 스팀과 같이 유입되는 공기, 이산화탄소는 버켓 벤트 홀을 통하여 트랩 상부에 모임. 밸브 닫힘 입구 버켓 떠오름
스팀 트랩의 종류 인버티드 버켓 트랩 • 응축수가 다시 유입되면 버켓이 가라앉기 시작하여 응축수 배출을 준비. 밸브 닫힘 입구 버켓 가라앉기시작 응축수 재유입
스팀 트랩의 종류 인버티드 버켓 트랩 • 밸브가 열리기 시작하면 공기, 이산화탄소가 먼저 배출되고 응축수가 배출. • 버켓 바닥의 이물질은 응축수 흐름에 의하여 끌어 올려져 떠올라 배출. 밸브 열림 입구 이물질 끌어 올림
스팀 트랩의 종류 플로트 & 써모스태틱 트랩 • 초기 가동 시 어느 수위 이상이 되면 플로트가 떠서 응축수가 배출 • 이 때 공기나 이산화 탄소는 써모스태틱 벤트를 통하여 배출
스팀 트랩의 종류 플로트 & 써모스태틱 트랩 • 스팀이 트랩에 도달하게 되면 써모스태틱 벤트는 닫힘 • 응축수가 계속 유입되면 계속 배출
스팀 트랩의 종류 플로트 & 써모스태틱 트랩 • 공기나 이산화탄소가 다시 축적되면 온도가 포화 스팀의 온도 이하로 떨어져 써모스태틱 벤트가 열려 공기나 이산화탄소가 배출
스팀 트랩의 종류 콘트롤드 디스크 트랩 • 초기 가동 시 응축수와 공기는 가열 방 (heating chamber), 디스크가 작동하는 방 (control chamber), 오리피스를 통과하여 배출. 가열방 입구 작동방 디스크 입구 출구
스팀 트랩의 종류 콘트롤드 디스크 트랩 • 스팀이 트랩에 도달하게 되면 빠른 속도에 의해 압력을 낮추어 디스크를 시트 쪽으로 끌어 내림. 입구 빠른 속도의 흐름 시트
스팀 트랩의 종류 콘트롤드 디스크 트랩 • 디스크는 두 시트 면에 닿아 닫히게 되며, • 디스크가 작동하는 방 상부의 응축수가 재증발 증기로 변하면서 계속 디스크가 닫혀 있다가, • 다시 디스크 상부의 재증발 증기가 응축하면, 디스크가 들어 올려져 응축수가 다시 배출. 입구 작동방 디스크는 두 개의 시트에 닿음
스팀 트랩의 종류 바이메탈 트랩 • 초기 가동 시 바이메탈 엘리먼트가 차갑고, 평평하여 밸브가 완전히 열려 있어 응축수와 공기가 운전 압력에서 쉽게 배출. 입구
스팀 트랩의 종류 바이메탈 트랩 • 응축수의 온도가 올라가면 바이메탈 엘리먼트는 팽창하기 시작하고, 구부러지기 시작. 입구
스팀 트랩의 종류 바이메탈 트랩 •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바이메탈 엘리먼트의 힘은 시스템의 운전 압력에 대하여 밸브를 완전히 닫을 수 있을 정도로 충분. 입구
스팀 트랩의 종류 써모스태틱 트랩 • 초기 가동 시 벨로우즈 엘리먼트가 차갑고, 평평 • 밸브가 완전히 열려 있어 응축수와 공기가 운전 압력에서 쉽게 배출
스팀 트랩의 종류 써모스태틱 트랩 • 응축수의 온도가 올라가면 벨로우즈 엘리먼트 내부를 가열하여 증기압을 증가 • 엘리먼트 내부 압력이 시스템 압력과 평형이 되면, 벨로우즈 스프링 힘에 의해 엘리먼트가 팽창하여 밸브 닫음 • 트랩 내부의 온도가 스팀 포화 온도보다 약간 낮아지면, 압력의 균형이 깨지고 벨로우즈가 수축하여 밸브를 열게 됨
스팀 트랩의 종류 써모스태틱 트랩 • 압력 평형식 웨이퍼 스팀 트랩은 압력 평형식 벨로우즈 스팀 트랩의 작동과 거의 비슷 • 웨이퍼는 부분적으로 액체로 채워져 있어 트랩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면 웨이퍼 내부의 액체가 증발되어 압력을 증가시켜 트랩 내부의 시스템 압력보다 높아지면, 밸브를 닫음 • 트랩 내부의 온도가 스팀 포화 온도보다 약간 낮아지면, 압력의 균형이 깨지고 웨이퍼가 수축하여 밸브를 열게 됨 알콜액체 알콜증기 웨이퍼 칸막이 알콜방
스팀 트랩의 종류 급속 응축수 조절 트랩 • 응축수가 배출지점보다 높은 곳으로 회수하거나, • 자연 배출 (gravity drain) 점에서 높은 곳으로 회수하는 경우 • 증가되는 속도에 의해 배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곳에 적용 • 수동 조절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내장형 스팀 바이패스는 응축수 배출 속도를 증가시키는 역할 • 자동적으로 스팀 바이패스 혹은 2 차 스팀을 배출(vent)하여 다른 열 교환 설비에 사용하거나 응축수 탱크를 통해 회수되기 위해서 회수 입구
스팀 트랩 비교 입구
스팀 트랩 비교 영국 ICI 엔지니어링사의 트랩 수명 조사 자료
스팀 트랩 선정 기본적인 필요 자료 (LAMBS) • Load: 응축수 처리량 • Application : 사용처 (예 : 공정용, 라인트랩) • Modulatedor constant : 공급 스팀 압력이 일정 / 변동 • Backpressure : 트랩 출구에서의 배압 • Supplypressure : 트랩 입구에서의 압력
No. No. No. 구간 구간 구간 배관 설치내역 배관 설치내역 배관 설치내역 선정모델 선정모델 선정모델 1 1 1 MH-1 MH-1 MH-1 63.4 63.4 63.4 2 2 2 MH-2 MH-2 MH-2 3 3 3 MH-3 MH-3 MH-3 4 4 4 MH-4 MH-4 MH-4 5 5 5 MH-5 MH-5 MH-5 스팀 트랩 선정 수 계산 • Load: 응축수 처리량
스팀 트랩 선정 수 계산 • Load: 응축수 처리량 , 170 x 3 = 510 kg/h • Application : 사용처, 라인트랩 • Modulatedor constant : 일정한 스팀 압력 • Backpressure : 트랩 출구 배압, 0.0 barg • Supplypressure : 트랩 입구 압력, 10.0 barg
스팀 트랩 선정 수 계산 입구 • 트랩 모델 : 1822, 1/8” orifice • 트랩 용량 : 550 kg/h • 최대 운전 가능 압력 : 17 barg (250 psig)
스팀 트랩 선정 프로그램 이용한 계산 Steam-A-ware 입구 수작업으로 복잡하게 모아야 하는 자료를 일목요연하게 처리 가능
스팀 트랩 설치 및 테스트 • 스팀 트랩 설치 전 • 스팀 트랩을 설치하기 전, 스팀 배관을 스팀이나 압축공기로 청소 (steam / air blowing) 하여 이 물질을 제거 • 스트레이너 스크린을 청소 입구 스팀트랩 설치 위치 ABC A : 점검 / 수리를 위해 접근 가능하게 (Accessible) B : 응축수 배출구보다 낮게 (Below) C : 응축수 배출구에 가깝게 (Close)
스팀 트랩 설치 및 테스트 구성 차단밸브 차단밸브 스팀트랩 스트레이너 드레인 / 점검 밸브 바이패스 드레인 밸브
스팀 트랩 설치 및 테스트 • 동파로 부터의 보호 • 스팀 공급 -> 동파 불가능 • 스팀 공급 차단 -> 스팀 응축 -> 진공 -> 응축수 배출 중지 -> 대기온도 0도 이하 -> 동파 • 트랩에서의 응축수 배출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지 못 한다면 수동 / 자동 동파 방지 배출 장치 필요 • 동파 방지를 위한 사전 조치 • 스팀 트랩을 과도하게 선정하지 말 것 • 응축수 회수 배관은 가능한 짧게 구성 • 응축수 회수 배관은 가능한 자연 배출 / 자동배출장치 • 응축수 회수 배관을 보온
스팀 트랩 설치 및 테스트 • 스팀 트랩 점검 주기 • 스팀 트랩의 수명 연장과 에너지 손실 방지 목적 • 정기적인 점검 필요 • 트랩 크기, 운전 압력, 중요도 등에 따른 적용 기준 (회/년) 입구
스팀 트랩 설치 및 테스트 • 스팀 트랩 점검 방법 • 점검 밸브 : 가장 간단, 정확한 방법 • (재증발 증기와 누출되는 생 증기는 구분 필요) • 점검기 : 스팀 트랩에 점검봉을 대고 청진기를 통하여 청각으로 트랩 상태를 점검 • 고온도계 : 응축수 배출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점검
스팀 트랩 설치 및 테스트 • Steam Star (트랩 관리 프로그램) • 인터넷 웹 환경 하에서 실현 • 고객의 현장 점검 결과를 입력에서 Report까지 • 제품의 불량을 Web을 통해 한눈에 확인 가능 • 스팀 누출로 인한 손실을 금액으로 환산 • 고객 스스로 실시간 관리하고 점검할 수 있는 ID 부여 • 다량의 트랩도 손쉽게 관리
스팀 트랩 문제점 해결 • 스팀트랩이 차갑고 배출이 안되는 경우 • 운전 압력이 너무 높음 • 스팀 공급 압력이 설계치와 다르게 높게 공급 / 오리피스 마모 / 스팀 공급측 조절 밸브 고장 / 스팀 공급측 압력계 낮게 지시 / 응축수 회수측의 압력이 설계치와 다르게 낮음 • 응축수가 스팀 트랩에 도달하지 못함 • 스팀트랩 전단의 스트레이너 막힘 / 스팀트랩 전단 차단 밸브 고장으로 막힘 / 스팀트랩 전단 배관 막힘 • 메커니즘 마모 혹은 결함 (수리 및 교체 필요)
스팀 트랩 문제점 해결 • 스팀트랩이 차갑고 배출이 안되는 경우 • 트랩 본체가 이 물질로 참 (스트레이너 설치) • 버켓 트랩의 버켓 벤트가 막힘 (스트레이너 설치 / 벤트 크기를 키움 / 버켓 벤트에 스크러빙 와이어 (scrubbing wire) 설치) • 플로트 & 써모스태틱 스팀 트랩의 경우 공기 배출이 적절하지 못한 경우 (air binding) • 써모스태틱 스팀 트랩의 경우 벨로우즈가 외부 충격에 의해 파열된 경우 • 디스크 스팀 트랩의 경우 방향을 거꾸로 설치한 경우
스팀 트랩 문제점 해결 • 스팀트랩이 뜨겁고 배출이 안되는 경우 • 스팀트랩이 바이패스 밸브보다 높게 설치되어 있고, 바이패스 밸브가 새는 경우 • 싸이폰 (siphon) 배관이 파손된 경우 • 스팀트랩 전단에 진공이 걸린 경우
스팀 트랩 문제점 해결 • 생 스팀이 누출되는 경우 • 밸브가 완전히 닫히지 않음 • 오리피스에 스케일이 낀 경우 / 부품 마모 • 버켓 스팀 트랩의 경우 워터씰이 깨진 경우 • 물을 채워 넣는다. / 스팀 압력이 변동되는 경우, 전단에 체크 밸브를 설치 • 플로트 & 써모스태틱 스팀 트랩의 경우, 써모스태틱 벤트가 닫히지 않는 경우
스팀 트랩 문제점 해결 • 응축수가 연속 배출되는 경우 • 버켓 트랩, 디스크 트랩의 경우 연속 배출되거나, 플로트 & 써모스태틱 트랩이 설계 용량을 초과한 경우 다음을 확인 • 스팀 트랩 용량이 작음 • 설계 운전 압력보다 낮게 운전되는 경우 • 비정상적으로 스팀이 공급되는 경우 – 응축수가 과량 주입되는 경우
스팀 트랩 문제점 해결 • 열교환이 느리게 되는 경우 • 2개 이상의 기기가 한 스팀트랩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 스팀 트랩 용량이 작음 • 공기 배출이 원활히 되지 않는 경우
스팀 트랩 문제점 해결 • 원인이 불명확한 경우 • 배압이 스팀 트랩 용량을 줄이는 경우 • 응축수 회수 배관이 작은 경우 – 스팀트랩이 과열될 수 있음 • 이웃하는 스팀트랩에서 스팀이 누출되는 경우 – 스팀트랩이 과열될 수 있음 • 응축수 회수 탱크의 벤트가 막힌 경우 – 스팀 트랩이 과열되거나 차가울 수 있음 • 응축수 회수 배관이 막힌 경우 - 스팀트랩이 과열될 수 있음 • 응축수 회수 배관에 진공이 걸리는 경우 – 스팀 트랩이 차가울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