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 likes | 377 Views
3 . 세계 문학의 흐름 [2] 중세 문학. 01 산중문답. 3. 세계 문학의 흐름 [2] 중세 문학 01 산중문답 ( 山中問答 ). 작품 정리. 학습 목표.
E N D
3. 세계 문학의 흐름[2] 중세 문학 01산중문답
3. 세계 문학의 흐름[2] 중세 문학 01 산중문답(山中問答) 작품 정리
학습 목표 • ‘산중문답’은 중국 당나라 때의 작품으로, 한가로운 정취를 간결하면서도 함축적으로 표현한 시다. 시를 통해 한시의 갈래인 근체시의 특징과 한시의 시상 전개 방식을 살펴보고, 당시 사람들의 이상향을 고찰해 보자. 또한 간결하면서도 색채감 있는 시어로 표현된 작품을 통해서중세 한문 문명권의 특징과 문학의 아름다움을 느껴보자.
제재연구 • 갈래: 한시, 근체시(칠언 절구) • 율격: 외형률 • 성격 : 서정적, 이상적, 낭만적, 탈속적, 회화적 • 어조: 한가롭고 낭만적 • 제재: 산속의 한가로운 삶 • 주제: 세속을 벗어난 자연 속의 한가로운 삶
제재 연구 • 특징 • 동양적 자연 친화 사상이 드러남. • 신선 세계의 지향(도교 노장 사상의 영향). • 복사꽃을 통해 선경에 대한 동경 암시. • 이상적, 낭만적, 탈세속적 표현.
글쓴이 소개 이백(李白,701~762) • 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 •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 자는 태백(太白) • 두보와 함께 중국의 대표적인 시인 • ‘시선(詩仙)’이라 칭송됨
핵심 강의 • ‘산중문답’의 구성 : ‘기-승-전-결’의 4단 구성 기 삶의 모습에 대한 자문 승 진정한 자유와 평화 전 이상 세계의 전개 결 세속과의 완전한 결별
근체시의 형식미를 지켜 7언 절구로 표현함. 7언 절구에서는 압운이 ‘기, 승, 결’구의 끝에 온다. 핵심 강의 • 근체시의 특징을 보여 주는 ‘산중문답’ 압운 : 산(山), 한(閑), 간(間)
핵심 강의 • 의미상 대비를 이루는 공간 속세 이상향 인간 세상 푸른 산, 별천지
핵심 강의 • ‘산중문답’의 시어 이해
시구 풀이 • 問余何意棲碧山어찌하여 푸른 산에 사느냐 내게 묻길래, • 笑而不答心自閑웃을 뿐 답하지 않되 마음 절로 한가롭네 • 桃花流水杳然去복사꽃 물 따라 아득히 흘러가니 • 別有天地非人間 별천지 이곳은 인간 세상 아니라오. 삶의 모습에 대한 자문 산중 생활에 대한 문답: 선경 진정한 자유와 평화 이상 세계의 전개 탈속적 이상 세계의: 후정 형상화 세속과의 완전한 결별
기구(起句) • 승구(承句) 핵심 강의 • 한시의 시상 전개: 기승전결 • 시상을 불러 일으킨다. • 시상을 발전시킨다. • 전구(轉句) • 시상을 전환시켜 변화를 준다. • 승구(承句) • 시상을 마무리 지어 주제를 유도한다.
전구(轉句) • 후구(後句) 핵심 강의 • 한시의 시상 전개: 선경후정(先景後情) • 객관적 사실이나 정경 제시. • 주관적 감성이나 정서를 표현 • - 주제나 사상 등 작자의 창작 의도
핵심 강의 • 근체시의 형식 • 글자 수가 고정적이다. • (1구 5자 혹은 7자) • 구절의 수도 짝수 구를 만들어야 한다. • (절구는 4구, 율구는8구, 배율은 12구 이상) • 압운은 고시와 달리 반드시 평성자로 한다. • 압운은 5언시의 경우 수구에 운을 놓지 않고, 7언시의 경우는 수구에 운을 놓는 것이 원칙. • (짝수구는 무조건 압운을 해야 한다.)
‘산중문답’을 통한 동양인의 이상적인 세계관 • 세속의 번거로움을 초월하여 자유와 이상을 만끽하며 자연 속에 동화되어 살아가는것은동양적인 신선 사상과 이상 세계관이다. 이 시는 ‘복사꽃’을 통해 무릉도원을 암시하고, 속세를 벗어난 자연에서 그 의미를 찾으며 동양적 이상세계를 잘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이상 세계는 곧 이백이 일생 동안 꿈꾼 세계로 세속적인 모든 것에 구속되기를 거부한 이백의 자유분방한 성격과 낭만적인 생활관을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
3-[2] 중세 문학 • ’산중문답’을 읽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 (1) 이 시에 나오는 ‘푸른 산〔碧山〕’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말해 보자. 예시 답| ‘푸른 산’은 단순히 자연을 의미할 수도있으나 여기에서는 세속(인간 세상)을 벗어난 이상향의 세계로 볼 수 있다.
(2) ‘웃을 뿐 답하지 않되 마음 절로 한가롭네.’에 담겨 있는 시적 화자의 심정은 어떠할지 짐작해 보자. 예시 답| ‘웃을 뿐 답하지 않되’는 화자가 세속의 번거로운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진정한 자유와 평화의 경지에 있음을 짐작하게 해 준다. 또, ‘마음 절로 한가롭네.’라는 구절을 통해 화자는 이미 속세의 고뇌를 벗어난 마음을 지니고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화자의 심정은 속세를 떠나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평화롭게 살아가는 마음이라고 볼 수 있다.
(3) ‘복사꽃〔桃花〕’이 상징하는 바는 무엇인지 작품에서 찾아보자. 예시 답| ‘복사꽃’은 동양의 전통적인 선경인 무릉도원을 암시하는 소재이다. 따라서 이 시의 ‘복사꽃’은 이상향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시에서 이상향을 의미하는 또 다른 시어는 인간 세상과 대비되는 ‘별천지’라고 할 수 있다.
2. ‘산중문답’의 표현상의 특징에 대해 생각해 보자. • (1) 이 시에서 사용한 시어의 특징은 어떠한지 설명해 보자. 예시 답| 이 시는 불필요한 군더더기 없이 간결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푸른 산’, ‘복사꽃’ 등과 같이 간결하면서도 색채감이 있는 시어가 쓰였다.
(2) 이 시에서 주로 활용한 감각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예시 답| ‘푸른 산’, ‘복사꽃’을 통해 색채감을 드러내고 있다. 또, 3행에서 물 따라 흘러가는 복사꽃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연상하게 하여 회화적인 느낌을 준다. 따라서 이 시에서 주로 활용한 감각은 ‘시각’이다.
다음은 도연명의‘도화원기(桃花源記)’의 일부분이다. 이 작품과 ‘산중문답’을 함께 읽고, 중국인들이 생각한 이상향(유토피아)의 이미지는 어떤 것이었을지 짐작해 보자. 예시 답| 중국인들이 생각하는 이샹향의 이미지는 일반적인 인간 세상과는 동떨어진 곳으로 복사꽃이 피어 있는 아름답고 한가로운 자연의 모습이다.
4. 다음은 허난설헌의 ‘몽유광상산시(夢遊廣桑山詩)’의 서문이다. ‘산중문답’, ‘도화원기’, ‘몽유광상산시’를 참고하여 자신이 상상하는 이상향(유토피아)의 모습을 말해 보자. 예시 답| 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