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 likes | 510 Views
12 월 식품정보. 2009 년 12 월 동서유지㈜. 업 계 현 황. 식품기업 고객중심 경영 강화 – 농심 · 유니베라 · 삼립 · 정식품 등 속속 ‘ CCMS’ 획득 ( 식음료신문 12.7) - 공정거래위 운영 ‘ CCMS’ 인증 획득 통해 기업의 고객중심 경영 강화 전망 - CCMS : 기업이 고객 불만 사전 예방 , 클레임 제기시 신속 처리함으로써 기업과 고객 간 문제 자율적 해결하도록 05 년 도입 제도 . ‘ CCMS’ 엠블렘 부착 가능
E N D
12월 식품정보 2009년 12월 동서유지㈜
업 계 현 황 • 식품기업 고객중심 경영 강화 – 농심·유니베라·삼립·정식품 등 속속 ‘CCMS’ 획득(식음료신문 12.7) • - 공정거래위 운영 ‘CCMS’ 인증 획득 통해 기업의 고객중심 경영 강화 전망 • - CCMS : 기업이 고객 불만 사전 예방, 클레임 제기시 신속 처리함으로써 기업과 고객 간 문제 자율적 • 해결하도록 05년 도입 제도. ‘CCMS’ 엠블렘 부착 가능 • - 농심, 2012년까지 고객 클레임 제로(0)화 목표로 전사적 ‘고객안심 프로젝트’ 진행. 선진화 된 고객 상담 • 시스템인 ‘움직이는 사무실’, ‘경영진 핫라인’ 운영 • - 유니베라, 고객 불만 처리 기간 68% 단축시킨 2!2!2!(2시간 이내 의뢰, 2일 이내 1차 답변, 2회 내 종결) • 프로세스로 혁신 • - 삼립식품, ‘CCMS’ 인증 위해 소비자클레임 자율관리 방침 대내외 공포, 소비자담당 부서 확대, 개편, • ‘CCMS’ 실행지침서를 작성, 전 사원 교육 실시 • - 정식품, 두유업계 최초 인증 획득, 고객과 신속한 커뮤니케이션 위해 내부 시스템 구축, 실시간 소비자 • 불만 공유 위한 전담 임직원 대상 SMS 문자 서비스 실시 • - 현재까지 식품업계에서 CJ제일제당, 남양유업, 매일유업, 한국야쿠르트, 해태음료 등 인증 받아 운영중 • 커피전문점 춘추전국시대 - 스타벅스.엔젤리너스 등 11개사 1392개 점포 각축(식품환경신문 12.7) • - 국내 영업중인 브랜드 커피전문점은스타벅스, 할리스, 엔젤리너스, 커피빈, 탐앤탐스, 다비치커피, • 카페베네, 투썸플레이스, 파스쿠치, 빈스앤베리즈, 카페일리 등 11개에 1392개 점포 • - 지난해 국내 커피시장 규모 1조9000억원 중 커피전문점이 5500억 원 매출로 28.9% 차지 • - 스타벅스와 커피빈, 빈스앤베리즈, 카페일리 등은 직영체제. 카페베네 등 나머지 가맹체제 운영 • - 스타벅스 310개 1위, 할리스 213개, 엔젤리너스 211개, 커피빈 185개, 탐앤탐스149개, 다비치 105개 • - 특히 지난해 4월 출범 커피베네 현 100개로 성장세 두드러져. 내년 200개 추가, 300개 점포 목표 • - 이외에 투썸플레이스(점포수 51개), 파스쿠치(43개), 카페일리(18개), 빈스앤베리즈(13개) 등 점포 확대
업 계 현 황 • 제분업계, 쌀 가공산업 활성화 동참(식품저널 12.10) • - 정부쌀 가공산업 활성화 추진에 제분업계, 관련 설비 증설 및 새 생산라인 구축 등 적극 동참 • - 지난해 9월 함평에 국내 최대 쌀 가공공장 건립 운영중인 대선제분, 쌀 가공공장 3배 규모 증설키로 • - CJ제일제당, 다양한 쌀 가공제품 개발 등 쌀 가공사업 본격 진출 검토 • - 한국제분, 2011년 목포공장을 당진으로 이전할 때 쌀 가공라인 구축 방안 검토중 • - 제분업계, 쌀 가공제품 개발에도 적극적 • 동아원과 삼양밀맥스, 쌀건빵 등 쌀가공식품 및 쌀가루 프리믹스 신제품 선보여 • 대한제분과 한국제분, 쌀가루 프리믹스 출시 계획 • - 정부, 8월 ‘쌀 가공산업 활성화 대책’ 발표, 가공용 쌀을 현 생산량 6%에서 2012년 10%로 증대 계획 • 미래 유망한 건강기능식품은?(식품저널 12.10) • - 한국식품연구원개최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을 위한 전략과 신기술’ 심포지엄 • - 고령화사회 진입, 식품 통한 질병예방 의식 확대로 대사증후군 개선 식품, 퇴행성 질병예방 식품, • 비만예방 식품, 심혈관 강화 식품, 면역증강 식품, 혈당강화 식품, 노화방지 식품 등이 핵심 등장 전망 • - 이러한 식품 개발 위해 일반 식품의 건강증진 효과 규명 기술, 정신건강증진 및 뇌기능 활성화 식품 • 개발기술 등 핵심 관련기술 개발 필요 • 곡물 지출 줄고 가공식품 지출 늘어나 - 국내 식품산업 동향(식음료신문 12.10) • - 식품산업 정보인프라 강화 워크샵에서 한국식품연구원 ‘식품산업 동향 및 중장기 전망’ 발표 • - 05년부터 08년까지 전국 전 가구 대상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지출 구성비 조사 결과 • 신선식품, 곡물 지출 비중 감소, 가공식품 지출 비중 증가. 앞으로도 가공식품 지출 비중 더 늘어날 전망 • - 국내 음식료품 제조업, 01년 32조1000억 원에서 07년 42조4000억 원으로 연평균 4.7% 증가 • 과채가공과 유가공 분야 고성장 기록. 알코올 음료, 빵․떡․과자류, 면류 등 성장률은 낮음
업 계 현 황 • - 외식산업,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연평균 8.8% 성장, 07년 57조원 기록. • - 식품유통업, 2001년부터 2008년까지 연평균 11.6% 성장. • 편의점(연평균 17.2%)과 인터넷 쇼핑몰과 같은 무점포 판매(연평균 34.6%) 비중 급격히 증가 • - 08년 31억4400만 달러 가공식품 수출 비해 수입은 109억300만 달러로 연평균 15.6%씩 적자폭 확대 • 최근 채소주스, 김치 등 과채가공품과 막걸리 등 곡물발효주 수출증가율 큰 폭 상승, • 수입면에서는 육가공 및 수산가공품 등 감소, 면류, 식품첨가물, 알코올 음료 등 수입 증가 • - 해외 식품산업 동향 • 미국 : 2000년~2006년 음식료품 제조업 출하액 4742억 달러에서 5854억 달러로 연평균 3.6% 증가 • 육가공 및 과채가공품 수출비중 높고 알코올 음료 및 수산가공품 수입비중 높음 • 일본 : 2000년~2008년 음식료품 제조업 출하액 30조8000억엔에서 30조5000억엔 연평균 0.2% 감소 • 수산가공품 및 빵․떡․과자류 수출비중 높고 수산가공품 및 육가공품 수입 비중 높음 • 유럽연합 27개국 : 동기간 음식료품 제조업 출하액 6735억 유로에서 8078억 유로로 연평균 3.1%증가 • “내년 상반기 국제곡물가격 변동 클 듯” (식품저널 USDA/농수산물유통공사 12.21) • - 농수산물유통공사 운영, ‘국제곡물정보분석협의회’ 분석 • - 내년 국제곡물시장, 수급여건 무난해 안정세 유지 에상되나 상반기 중에는 수요 회복, 달러약세, • 투기자금 유입 등으로 가격 변동성 클 것으로 관측 • - 쌀, 소맥, 옥수수는 올해와 비교해 다소 감소하고, 대두는 생산량 크게 늘어날 전망 • - 쌀, 태풍 피해 입은 필리핀과 가뭄으로 생산량 감소한 인도의 대량 수입 가능성 예상으로 • 12월 들어 가격 급등세 나타내나 세계시장이 20%선 재고율 보이고 있어 조만간 안정세 예상 • - 소맥, 생산량 다소 줄겠지만 교역량 감소해 수급 무난해 보합세 예상 • - 콩, 최대 생산국 미국의 생산량 증가로 전체 재고량 크게 늘어나 안정세 전망 • - 옥수수, 생산량 감소하고 바이오 에탄올 소비 증가해 수급 불안정 분석 • - 첨부 참조 : 주요국별 국제 곡물 수급 동향 및 2010 전망.hwp
업 계 현 황 • 내년 유통업 5.4% 성장 전망 - 신세계 유통산업연구소(식품저널 12.21) • - 신세계 유통산업연구소 발표 ‘2010년 유통업 전망 보고서’ • - 내년 국내 유통업, 올해보다 5.4% 성장한 192조원 규모. 백화점과 온라인 쇼핑몰 약진, 대형마트와 • 편의점은 자기혁신 집중 한 해 될 것 • - 백화점, 고객요구 다양화와 소비패턴 변화에 부응 6.1% 성장 • - 온라인 쇼핑몰, 인터넷 이용 인구 지속적 증가 힘입어 15.8% 성장 • - 편의점, 업태 장점 살린 서비스 강화로 12.2% 성장 • - 할인점과 슈퍼마켓, 출점 부진 등 영향으로 3%대 저성장 분석 • 2009 크리스마스 케이크 - 눈사람 모형, 산타 등 주제별 디자인 깜찍(식음료신문 12.21) • - 파리바게뜨, 12월 초 ‘처음맞는 눈사람 이야기’ 등 3종 출시후 • 22일 19종 크리스마스 케이크 추가 출시 • 모양 자체를 입체감 있게 표현한 것이 특징, 동화 속 아기 양과 늑대 • 모습 표현한 모자 경품제공 • - 크라운베이커리, ‘개구장이 루돌프 3형제의 크리스마스 이야기’ 스토리 • 텔링 접목 케이크. 걸그룹 ‘카라’ 제작한 크리스마스 케이크 판매 이벤트 • 및 카라의 루돌프 목도리 증정 • - 뚜레쥬르, ‘비와 혜선이가 함께하는 환상의 크리스마스’ 테마로 37종 • 크리스마스 케이크 준비 • - 던킨도너츠, 자사 상징 귀여운 아기 곰을 디자인과 장식물에 사용한 • 15가지 케이크 • - 풀무원 계열사 올가홀푸드, 유기농 밀가루와 설탕 사용해 만든 ‘올가 산타 생크림’ 등 케이크 4종 출시 • - 배스킨라빈스, 아이스크림 케이크 20종 선보이고 ‘펭귄 모자’ 증정 • - 롯데제과 나뚜루, ‘스위트하우스 케이크’ 등 케이크 2종 선보이고 캐릭터 무릎담요 및 탁상용 달력 제공 • - 콜드스톤, 키티와 스폰지밥 케릭터 케이크 등 9종의 크리스마스 케이크 선보여
업 계 현 황 • 설탕•원당 가격 고공행진 (식음료신문 12.23) • - 국제 설탕 및 원당 가격 급상승 따라 국내 설탕 가격도 조만간 오를 것이라는 우려 • - 런던 거래소 내년 3월 인도분 설탕가격, 톤당 676달러로 사상 최고치 경신, 상승세 지속 • - 미 달러화 약세, 원자재, 에너지 등 전반적인 상품 가격 상승과 맞물려 가장 큰 원인 날씨 • 최대 산지 브라질 폭우로 사탕수수밭 폐허. 인도 기록적 가뭄으로 수입국 전락, 설탕 공급 부족 가중 • - 전문가들, 브라질이 내년 3월부터 수확하는 사탕수수를 가공, 수출할 때까지 가격 상승 계속되어 • 6개월 안에 20%가량 더 오를 것으로 전망 • - 국내 제당업체는 원당 가격 상승 부담에 수입 완제품 설탕과 경쟁까지 2중고 • 내년 설탕 관세율 40%에서 35%로 인하돼 완제품 설탕 수입 증가 전망 • 크리스마스 케이크 ‘맛’이 가장 중요 (월간 빠띠씨에 1월호) • - 여성 포탈 팟찌닷컴, 200명 회원대상 설문조사 • - 크리스마스 케잌 선택 기준 맛(61%), 브랜드(15%), 사은품(6%) 순 • - 선호 브랜드 파리바게트(41%), 뚜레쥬르(24%), 투썸플레이스(15%) 순 • - 선호 케이크, 생크림케이크, 시폰케이크, 치즈케이크
업 체 정 보 • CJ제일제당, 시장점유율 1위 품목 24개- 05년 14개에서 10개 증가(식품저널 12.2) • - 닐슨의 소매판매 조사결과(연간 시장규모 100억원 이상 품목 중) • - 기존 햇반, 다시다, 설탕, 스팸 등 1위 품목 외 산들애, 하선정 액젓, 해찬들 고추장, 쌈장, 삼호어묵, • 카놀라유 등으로 주로 인수합병 혹은 자체 신규사업 품목 • - 05년 해찬들, 06년 삼호F&G, 하선정 인수 등 인수업체주력품목에서 1위를 기록, M&A 성공적 자평 • - R&D 역량 강화가 핵심적 역할. 과거 설탕, 밀가루 등 소재식품회사 성격에서 최근 고부가 가공식품, • 바이오제품 등 R&D를 강화해 첨단 식품회사로 전환 • - CJ제일제당, 지난해 3조4,949억원 매출. 올해 4조원 달성 예상 • * 닐슨 조사 기준 CJ제일제당 시장점유율 1위 품목(단위 : %) • * 올리고당은 2007년부터 닐슨 점유율 집계 시작(괄호 안은 2007년 수치)
업 체 정 보 • 훼미리마트 ‘유통기한 체크 시스템’, 발명특허대전서 금상(식품저널 12.4) • - 보광훼미리마트 개발 ‘판매 기한 관리 기능 가지는 판매시점 관리 시스템’ • - 유통기한 설정 통합바코드를 제품에 부착, 유통기한 지나 판매될 경우 편의점 계산대에서 경고 메시지 • - 유통기한 관련 고객 클레임 방지 및 기존 POS 활용 가능하여 시스템 구축 및 관리비용 감소 • - 현재 편의점 판매 김밥, 샌드위치 제품과 비닐포장 용기 상품 및 유제품 등에 활용되고 있으며, • 향후 과자류 등 일반 공산품까지 확대 적용 예정 • 롯데삼강, 면ㆍ조미식품에 ‘쉐푸드’ 브랜드- 내년 1월부터 포장 리뉴얼(식품저널 12.8) • - 롯데삼강, 면류와 조미식품 부문에 ‘쉐푸드(chefood)’ 브랜드 신규 • 런칭, 내년 1월 출시 제품의 포장과 이미지를 리뉴얼, 판촉 강화 • - 12월부터 ‘쉐푸드’ 대한 TV 광고 시작, 판매루트도 기존 롯데마트와 • 편의점 중심에서 대형 할인점, 백화점 등으로 다양화할 계획 • - 현재 빙과류, 유지류, 신선식품, 면류 및 조미식품 등 4개 사업부문 중 • 향후 성장률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신선식품과 면류 및 조미식품부문 • 사업 강화 • - 그동안 실적 부진했던 냉동면, 상온면, 케첩, 마요네즈 등 제품 대해 • 원료 차별화, 품질 개선 및 제품 다양화 통해 기존 면류 및 조미식품 • 업체들과 경쟁하며 매출 확대 계획 • - 광고 및 판촉 강화로 면류 및 조미식품부문에서 2010년 1,500억원, • 2011년 1,800억원, 2012년 2,000억원 매출 계획 • - 롯데삼강09년 매출 4,500억원예상, 이중 면류 및 조미식품부문 매출 • 900억원 정도
업 체 정 보 • 쟈뎅, ‘마일드 원두커피백’ (식품저널 12.9) • - 1회 분량 분쇄 원두를 티백에 넣어 뜨거운 물만 부우면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마일드 원두커피백’ • - ‘마일드 아메리카노 원두커피백’과 ‘마일드 헤이즐넛향 원두커피백’으로 구성 • - 1포 기준 가격, 커피믹스와 비슷한 100원대 중반으로, 저렴한 가격과 편리성으로 커피믹스 대결 전망 • 홈플러스 "SSM가맹점에 최저수익 보장" - 지역 소상인 상생방안 발표(식품환경신문 12.9) • - 지역 소상인이 홈플러스 SSM 브랜드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가맹점주가 돼 프랜차이즈 형식 운영 • - 홈플러스, 정보공개서를 공정거래위 등록, 가맹점주 모집 시작. 연내 가맹점주 선발첫 점포 개장 계획 • - 가맹점주 선발시 지역 소상인 최우선 선발, 기존 동네 슈퍼마켓을 가맹점 전환 방안도 검토 • - 가맹점주최초 투자비(가맹비, 상품준비금, 가맹보증금 등) 부담, 홈플러스나머지 점포임차보증금, • 권리금, 법률자문 및 IT 시스템 구축, 인테리어 공사비 등 투자비용 부담 • 연간 최저수익 5천500만원 보장, 폐업시 대부분 초기투자비 환불 • - 홈플러스 상생프랜차이즈 모델, 국내 최초 시도로 지역소상인과 상생, 소비자 권익보호, 고용창출, • 지역상권과 경제 활성화, 외국인투자 활성화 통한 국가 이미지 제고 등 효과 창출해 나갈 것 • 서강대, 내년 하반기 라면 출시(식품저널 12.9) • - 이산화탄소 이용, 지방과 염분 함량을 일반 라면 절반 수준 줄인 라면제품 내년 하반기 선보일 계획 • - 내년 초 학내 기술지주회사 아래 자회사 ‘서강푸드’(가칭) 설립, 인터넷 쇼핑몰과 TV 홈쇼핑 등 통해 • 라면제품 판로 개척방침 • 동서, 스위스 삼각 초콜릿 ‘토블론’ (식품저널 12.10) • - 1867년 스위스 베른지방 탄생. 코코아 원두, 스위스 신선 우유, 캘리포니아 아몬드와 꿀, • 설탕과 계란흰자로 만든 누가 플레이크, 멕시코산 천연 꿀 등 사용 • - 화이트, 밀크, 다크 3종, 개별포장 토블론 원바이원 비롯, 초콜릿바 400g, 100g, 50g, 35g 출시
업 체 정 보 • SPC그룹, 우리밀 농가와 1사 1촌 협약(식품저널 12.10) • - 파리크라상, 우리밀 주요 재배 지역인 전북 군산오산마을과 ‘우리밀 사랑 1사 1촌’ 협약식 • - 우리밀 재배면적 확대 지원, 마을 일손 돕기, 홈스테이 등 체험활동으로 우리밀 재배농가와 유대 확대 • - 비알코리아, 전남 해남 한아리마을과, 샤니, 전남 강진 오산마을과 협약 예정 • - SPC그룹, 군산, 해남, 강진, 부안, 하동 등 지자체와 협약 맺고 올해 7,000여톤 우리밀 수매 • 계열사 파리바게뜨, 던킨도너츠, 샤니 등 통해 20여종 우리밀 제품 출시 • 내년 2만 톤 우리밀 수매 계획 • 올가홀푸드, ‘친환경 수제 케이크’(식품저널 12.11) • - 올가홀푸드, 유기농 밀가루와 유기농 설탕으로 만든 크리스마스 케이크 4종 • - 친환경 인증 받은 잡곡, 과일, 야채와 유정란, 유기농 올리브유 등 사용 • 화학팽창제, 제빵개량제, 합성유화제 사용 않음, 장식과일 역시 통조림이 아닌 친환경 제철과일 사용 • 빙그레, 크라운제과 전환사채 230억원 상환(식품환경신문 12.14) • - 보유 전환사채(CB)중 보통주 7만5500주(5.12%) 주식으로 전환, 나머지 현금 230억원으로 상환 • - 빙그레가 지난해 10월 크라운제과 주식 37만8126주(지분율 21.29%)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사채 • 인수하면서 제기됐던 적대적 인수.합병(M&A) 논란은 일단 해소 • 대상, 휴대용 커피음료시장 진출 - 카페베네와 제휴(식품저널 12.21) • - 대상, 프랜차이즈 ‘카페베네’ 와 휴대용(RTD, Ready-To-Drink) 커피음료시장 진출 업무제휴체결 • - 내년 1/4분기 2~3품목 RTD커피음료 출시, 추후 지속 소비자니즈 파악과 제품 개발로 품목 확대 계획 • - 대상, 커피 원재료 위주 B2B 영업에서 벗어나 카페베네와 제휴 통해 미약했던 소매 유통을 확장 방침 • 카페베네의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커피전문점 이미지를 바탕, 핵심 타깃인 여성층 집중 공략예정
업 체 정 보 • SPC그룹, 모바일쿠폰 ‘해피콘’ 서비스 (식음료신문 12.21) • - 해피콘 : 온라인 홈페이지에서 상품 구입시 휴대폰으로 발송돼 전국 파리크라상, 파리바게뜨, • 배스킨라빈스, 던킨도너츠 등 매장에서 제품으로 교환(모바일쿠폰 서비스) • - 기존 기프티콘 등과 사용방법 거의 동일하며 ‘제품 교환권’과 ‘금액 교환권’ 두 가지 형태 제공 • - 향후 파스쿠찌, 리나스, 타마티 등 다른 SPC그룹 브랜드 까지 서비스와 상품 수 늘릴 계획 • 공연, 영화사 등 제휴 통한 다양한 문화패키지 상품 출시 예정 • - 국내 모바일쿠폰 시장, 연간 총 380억 규모로 추정, 매년 30% 꾸준히 성장 • 동서식품, ‘맥심 아라비카 100’ 리뉴얼(식음료신문 12.21) • - 아라비카 원두 100% 사용한 ‘맥심 아라비카 100’, 기존보다 깊은 맛과 풍부한 향, 깔끔한 끝맛 특징 • - 로스팅 후 RAP(Refined Aroma Process) 공법으로 향 보강, 아라비카원두 고유 꽃향기로 깔끔한 뒷맛 • - 제품 패키지는 원두 이미지 강조하면서 심플하고 고급스러운 디자인 변경 • 투썸플레이스, 매장 확대 박차 - 내년에 매장 150개까지 확대(식품저널 21일) • - 투썸플레이스, 12월 한 달간 총 8곳 매장 오픈하며 총 60개 점포로 매장 확대에 박차 • - 작년 12월 첫 가맹점 오픈후 올해 신규오픈 38개 중 34개가 가맹점일 정도로 활발한 가맹사업 전개 • - 가맹사업 박차 가해 내년에는 매장을 150개까지 확대 계획 • 제너시스BBQ-GS리테일, 업무 제휴(식품저널 12.22) • - BBQ 인지도와 다양한 메뉴 및 식자재, GS25 전국 유통망 결합한 ‘WIN-WIN’ 전략 수립ㆍ실행 계획 • - BBQ치킨, 다양한 고객층 확보 및 판매지역 확대 통한 브랜드 강화 효과, GS25, 외식전문 브랜드 도입 • 통한 상품 차별화 효과 기대 • - 주먹밥, 샌드위치, 햄버거 등 ‘Fresh-Food’ 공동개발, GS25 판매중. 향후 도시락, 통살버거 개발예정 • - 또한 GS25에서 치킨 주문 받고 BBQ 매장에서 조리ㆍ배송하며 향후 ‘Shop in shop’ 형태까지 계획
업 체 정 보 • 롯데마트 점포 2개 추가…국내 68개(식품환경신문 12.22) • - 전북 정읍 67호점 및 인천 마전동 68호점(검단점) • - 롯데마트, 외국 점포 86개 포함 국내외 총 154개 점포 운영 • 미스터피자, 해외시장 공략 박차- 베트남 1호점 오픈ㆍ중국 내 15호점 확보(식품저널 12.23) • - 중국 15호점 내몽고 수도인 후허하오터의 ‘하이량광장점’ 및 베트남 1호점 ‘하노이점’ • - 향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지역과 상해, 광주 등 중국 남방지역, 뉴욕 등 • 미국 동부지역, 러시아와 중앙아시아도 진출 계획 • 롯데리아, 정통 벨기에식 와플 3종- 커피와 어울리는 디저트(식음료신문 12.29) • - 플레인와플, 스트로베리 와플, 블루베리 와플 등 3종 • - 롯데리아, ‘커피&와플’ 슬로건으로 아메리카노와 함께 구성된 • ‘콤보 메뉴’ 선보이고 와플 구매 고객에 커피 전 메뉴 50% 할인 • - 와플 출시 계기로 고급 디저트 대중화 및 고품질 제품 제공으로 • 국내 외식문화 발전이끌 것
해 외 정 보 • 중국 커피 시장 기지개 - 고급 기호품 인식, 도시 중심 연간 두 자리 신장(식음료신문 12.1) • - 중국 연간 1인당 커피소비량3컵. 전체 소비량 3만~4만 톤으로 말레이시아, 태국 등 동남아 국가 • 100컵 이상, 일본 300컵에 비하면 매우 적은 수준 • - 전통적 차문화 지배적으로 커피는 아직 대중음료 개념 아니라 고급 소비문화 상징적 기호품 인식 • - 연간 10~15% 소비량 증가. 중국 거대소비인구 고려시 커피문화 정착과 함께 발전 잠재력 매우 큼 • - 도시주민 생활수준 향상 및 외국문화 유입 증가로 커피 즐기는 소비자 크게 증가 • 중국포털 바이두(百度) 설문조사, 92.2% 인스턴트커피 마신 경험 있다. 이 중 6%는 거의매일마시고 • 38.4%는 자주 마시며, 55.6%는 가끔 마심 • - 99년 중국 진출 스타벅스, 중화권 내 500여 매장 중 중국에 230 개. 중국을 제2시장 키우려노력 • - 최근 커피 대한 소비자 수요 다양화로 비타민 섭취나 에너지 보충 돕는 새로운 형태 기능성 커피출시 • - 네슬레, 맥스웰 등 국제 커피생산업체, 중국내 공장 및 지사 설립진출, 대중적 커피제품으로 시장장악 • - 네슬레, 90년 중국 합자공장 설립, 운영. 베이징 중국 본사 기점으로 상하이 등 21개 공장 운영 • - 맥스웰, 85년 중국 최초 진출 이래 네슬레와 함께 양대 커피 생산업체로 중국시장 선점 • - 중국 인스턴트커피시장진출 위해 맛, 포장, 휴대편리성, 가격, 건강 등에서 경쟁력 보유 필요 • 중국 소비자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홍보매체중 TV광고가 86.4%로 시각적 채널 압도적 선호 • - 문화적 요인 강한 소비품인 만큼 커피문화 전파 통한 수요창출이 장기적으로 가장 효과적이며 • 커피문화 정착되면 가정용 커피메이커(드립커피)등 각종 기구 및 첨가제 등 관련제품 수요 증가 예상
해 외 정 보 • [동향] 스위스, 초콜릿 시장(식품저널/KOTRA 12.2) • - 초콜릿, 스위스 대표적 소비재로 총 18개 초콜릿 제조사 보유 • - 08년 매출액 18억 스위스프랑(07년비 9.3% 증가), 해외판매 1.7% 증가 11만1,494톤 • (9억3,000만 스위스프랑) • - 주 수출대상국, 독일(08년 수출비율 14.8%), 영국(13.3%), 프랑스(9.6%), 미국(7.4%) 등 • - 초콜릿, 시계 등 스위스 제품, 소비자 대상 ‘Made in Swiss’ 고급 이미지 꾸준히 인식시킨 결과 • “스낵으로 야채를 섭취한다” (식품저널/한국무역협회12.3) • - 미 캠벨 스프사 계열의 페퍼리지 팜, 신제품 ‘골드피시 가든 체다(Goldfish Garden Cheddar)’ • - 제품 개당 실제 야채 분량 3분의 1 포함. 인공 방부제 및 트랜스지방 무포함 • - 미국 농무부(USDA), 필수 식품 야채를 매일 2½ 컵 섭취 권장 • 가공식품 세계시장 동향(2008 보건산업백서/식품저널 12월호) • - Euromonitor International, 가공식품 세계시장 규모 07년 1조6천억달러, 08년 1조7천억달러(7.4%↑) • - 지역별 가공식품 시장규모, 서유럽552십억달러로 가장 큰 규모. 서유럽 30.9%, 아시아 21.4%, • 북미20.8%, 라틴아메리카 12.1% 순(표 2) • - 품목별, 빵류 3,933억달러(22%, 6.2% 성장), 유제품 3,688억달러(20.7%), 냉장식품1,883억 달러 • (10.5%), 유지류와 이유식이 전년비 10%이상 성장하며 시장 확대(표 3) • - 판매처, 99%정도가 매장 기반으로 한 소매점 판매 이중 약 93%가 식료품 소매상에서유통 • 매장 기반 하지 않은 판매처 비중,매우 미미하였으나 인터넷 통한 판매는 해마다 조금씩 증가
해 외 정 보 표 1. 연도별 가공식품 세계시장 규모 단위 : 십억달러, % 표 2. 식품 지역별 세계시장 규모단위 : 천톤, 십억불
해 외 정 보 표 3. 품목별 가공식품 세계시장 규모단위 : 십억달러, %
해 외 정 보 • (동향과 전망) 중국 유제품시장 동향과 중국시장 진출전략(식품저널 11월호) • - 중국 유제품 생산 동향 • a. 08년 기준 젖소 1,233만두, 우유생산량 3,781만톤(인도, 미국 이어세계 3위) • b. 유제품 생산량, 1,659만톤(전세계 생산량4.6%), 치즈 등 유가공품 285만 3,000톤 • 유제품 수입, 연평균 13.1% 증가, 07년 수출량 10만톤 돌파 • - 멜라민 파동 직후 • a. 싼루, 멍니우, 이리 등 22개사 및 추가 기타 분유제조사 20개사제품서 멜라민 검출 • b. 소비자 불신 및 중국 유제품 생산량 2008년 말 기점 하락세, 올 3월 저점으로 다소 회복 • - 09년 상반기 유제품 수입, 전년비 평균 50% 이상 증가세. 수출은 예년의 30% 선 • - 중국 3대 유업체: 이리(伊利), 멍니우(蒙牛), 광밍(光明) 등으로 약 1,500여개유제품 관련 사업체중 • 3대 유업체가 시장 70%, 10대 유업체가 시장 85% 점유 • - 중국 유제품시장 트렌드 • a. 비싸도 안전한 제품이 인기 • b. 수입 브랜드 선호 • c. 대형•고급매장에서 구매 증가 • - 국내 유업체의 중국시장 진출 전략 • a. 대형 및 고급매장 진출전략 필요 • b. 고급 브랜드 이미지 구축 • c. 정상적 제품 유통과 일관된 정책 필요 • d. 중장기적 전략 수립(중저가현지 생산, 고가제품 수입하는 Two Track 전략 고려) • 中, 올리브유 시장 확대 (KOTRA/식품저널 12.8) • - 웰빙 바람으로 올리브유 수요급증 • - 선진국올리브유수요, 전체 식용유 3%로 이를 기준 중국 내 수요량, 약 60만 톤(연 식용유2,000만 톤) • - 연간 올리브유 수입량 약 1만톤. 매년 60% 증가
해 외 정 보 • 美, 2010년 프랜차이즈 트렌드 전망(KOTRA/식품저널 12.10) • - 전반적 경기둔화에도 불구, 전체 TOP 10 중 외식사업부문이 50% 이상 비중 차지 • - 가장 급성장 프랜차이즈 TOP 10 보면 청소서비스, 피트니스 등 서비스부문 인기 높아짐 • * 2009년 프랜차이즈 TOP 10 * 2009년 가장 빨리 성장한 프랜차이즈 TOP 10 • - 2010년 프랜차이즈사업 트렌드 전망: 건강관리 관심 고조로 피트니스분야 성장세 지속, • 노인층 증가 따른 실버케어시장 공략 위한 전문 실버케어 프랜차이즈 사업 유망 • * 2010년 급성장이 예상되는 프랜차이즈 사업부문 리스트 • 자료 : www.entrepreneur.com
해 외 정 보 • 태국, 기능성 커피 인기 (식품저널/KOTRA12.15) • - 태국인들의 건강 관심 증대 따라 기능성 커피 판매 증대. • - 기존 커피 대비 설탕 함유량 적고 건강에 유익한 여러 요소 첨가. 30~40% 높은 성장세 • - 태국 기능성 커피 시장규모 75억~120억 달러 추정. 이 중 80~90% 다이어트 커피 • - 주요 브랜드 Nature Gift, Nescafe Protect Proslim, Nutra, Body Shape Coffee, Coffee Wow, • Moccona Trio Plus in Shape, Fitne 등 • 일본, 가공식품 수입검사제도 변경(농수산물유통정보 kati/12.18) • - 변경사항(샘플통관제도 → 본선통관제도) • - 샘플통관제도 운용결과 샘플 통관품과 실제 수입 본선품과 동일성 확인 곤란 • - 일본 수입 모든 가공식품, 도착 즉시 보세창고 계류, 성분검사 이상 없는 경우 통관 허가되는 제도 • - 수입신고 간소화·신속화 위해 수출국 공인검사기관 사전검사 후 시험성적서 첨부시 본선검사 생략 • - 지정검사소 : 식약청, 한국식품연구소, 보건환경연구원, 국립수의과학검역원 • [동향] 일본 가공식품시장 (후지경제/식품저널 12.18) • 1. 09년 시장 개요 • - 냉동조리 즉석식품 시장, 08년 중국산 냉동만두 중독 타격 품목들의 실적 회복세 • - 절약의식 확산으로 저렴한 품목 특히 호조 • - 프라이류, 도시락 사용품목 실적 향상. 냉동 수산 프라이류는 가격 높아 수요 감소 • - 업무 용도, 크로켓 등 볼륨감 있고 저렴한 품목 호조 • - 알코올음료: 맥주맛 음료가 알코올도수 0.00% 상품으로 대히트. 시장 대폭 확대 • 위스키 성장. 맥주는 무덥지 않았던 여름으로 시장 위축
해 외 정 보 • 2. 주목 시장 • - 맥주맛 음료: 음주운전 벌칙 강화로 맥주 대기업 4사 비롯 업체신규 참가로 시장 대폭 확대 • 09년 키린빌, 알코올 0.00% ‘키린프리’ 발매 및 TV CM 등 적극 시장 공략으로 빅히트 • 맥주 대기업 3사도 알코올 0.00% 상품 발매, 09년 시장 전년비 2.5배로 급격히 확대 전망 • - 위스키 : 일본산 위스키 해외 콩쿨 수상 및 가격 저렴해져 산토리 ‘하이볼’ 붐으로 국산 위스키 부활 • - 저온 냉장 햄버거/미트볼 : 외식 꺼리고 집에서 식사 하려는 트렌드로 도시락 수요 증가 • [전망] 인도네시아 2010년 주요 농산품시장- 커피시장(KOTRA/식품저널 12.23) • - 2010년 인도네시아 커피 생산량, 09년비 약 2% 증가한 785만 60㎏ Bag 전망 • 약 90% 인스턴트커피용 Robusta, 소량의 Arabica 커피 생산 • - 서양문화 급속한 침투 및 도시화로 커피 수요 지속적 증가 전망 • 특히 따뜻한 음료 좋아하는 인도네시아 문화 특성상 인스턴트커피 수요 증가 예상 • (단위 : 천 60㎏ Bags) • 주 : 2009년 이후 수치는 전망치(자료 : BMI) • “日 기린-산토리 2011년 통합 추진” (식품저널 12.24) • - 기린홀딩스와 산토리홀딩스, 2011년 봄 통합과 동시에 새로운 회사 설립키로 • - 일본 공취위에 통합시 독점금지법 저촉 여부 문의, 공취위 내년 초 심사 착수 계획 • - 두 회사 지난해 매출액 약 3조8,200억엔으로, 음료 및 주류 회사로서 세계 최대 맥주업체 벨기에 • ‘안호이저 부시 임베브’와 미국 ‘코카콜라’ 추월. 세계 5위 식품 및 주류업체 될 전망
식 품 정 책 • “‘유해 원재료’가 영유아 먹거리 안전 위협” (식품저널 11.30) • -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매일유업과 공동으로 자녀 둔 여성 및 임신중 여성 1,100명 설문조사 결과 • - 영유아 먹거리 ‘안전하다’, 26.1% 불과. ‘안전하지 않다’ 응답 이유로 ‘유해한 원재료’, ‘유해 식품 • 첨가물’, ‘환경오염’, ‘제조과정 부주의’, ‘유통과정 부주의’ 등 • - 한편 높아진 식품안전 의식에도 불구, 가정에서 지켜져야 간단한 안전수칙 잘 모르는 경우 많음 • - 먹거리 관련 정보 얻는 경로, 친구나 이웃(29%), 인터넷(22%), 부모ㆍ친척(19%) 순 • - 유아식 원재료 대한 소비자 높은 관심 및 원산지 대한 소비자 정보 욕구 점차 증대될 것 • 식용 타르색소 뇌신경계 영향 ‘미미’ - 식약청, 혼합섭취 안전성 연구결과 (식품저널 12.01) • - 음료ㆍ사탕ㆍ빙과류 등 사용 식용 타르색소, 2종류씩 혼합 사용시 실제 섭취량의 100배 수준까지 • 뇌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미미 • - 식약청, 식용 타르색소 대한 소비자 불안감 해소위해 06년~08년 연구용역 통해 안전성 평가 결과 • - 식용색소 청색1호에 적색2호, 적색40호, 황색4호 및 황색5호 각각 혼합, 실제 섭취량의 10배, 100배, • 1,000배 투여했을 때 뇌조직검사에서 병리학적 현상 관찰되지 않음 • - 앞으로도 식품첨가물 대한 안전성 평가 지속적 수행 계획 • 식품등의 표시기준 일부 개정 고시(안) 행정예고 (식약청 12.08) • - 캔디류, 추잉껌, 초콜릿류 및 잼류 중 최소 판매단위 제품 주표시면 면적 30cm2 이하시 하나의 용기 • 포장에 진열 판매할 수 있도록 포장한 경우에는 그 용기 포장에 표시 할 수 있도록 • (표시면적 작은 경우 융통성 있게 표시할 수 있도록 규제완화) • - 주표시면에 영양성분 자율적 표시, 이에 대한 통일된 기준 마련 소비자 오인 혼동 우려 방지 • - 빵류 중 피자의 1회 제공기준량 신설, 음료류의 1회 제공기준량 조정 • - 첨부 : 식품등의 표시 일부개정고시(안).hwp
식 품 정 책 • 식품의 기준 및 규격 일부개정고시(식약청 12.09) • - 해양심층수 및 관련 제품을 식품제조용수로 사용확대(두부류, 김치류 및 절임류 등 제조 사용 가능) • - 떡류 식품유형 정의 확대(주원료로 감자가루 등 전분 사용하거나 익히지않은 반가공제품도 떡류포함) • - 김치, 튀김식품 등 보존 및 유통기준 개선 • (김치 중 살균제품, 발효음료, 튀김식품을 보존 및 유통기준 적용 대상에서 제외, 합리적 운영) • - 식품 제형완화 확대(식용유지, 식용유지가공품 의약품 오인·혼동 우려 없는 경우 캡슐형태 제조가능) • - 당시럽류의 총당 규격 및 시험방법 개정(총당 규격 검사시 탄수화물 시험법 중 자당 시험법 적용) • - 가공두부의 식품유형 정의 개정(가공두부의 식품유형 정의 두부함량 30% 이상으로 개정) • - 벌꿀의 수분, 전화당 등 규격 개정(벌꿀 주밀원 및 사양방식 다양성 고려, 국제기준과 조화) • - 식염 범위확대(해양심층수 소금을 식염 범위에 포함) • - 기준 미설정 유해물질 대한 적용기준 명확화(유해물질에 대한 안전성 확보) • - 보존료 기준 개정(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 등 4종 삭제, 발효음료류의 안식향산 삭제, 농축과즙의 • 소르빈산 사용품목 확대) • - 냉동빵류, 젓갈류 보존 및 유통기준 개정(빵류, 젓갈류 대해 냉동을 실온 또는 냉장유통 조항 개정) • - 유전자재조합식품 및 한우확인 시험법의 개정 • - 첨부 : 식품의 기준 및 규격 일부개정고시(제2009-172호) • “농식품분야도 ‘탄소 배출 표시제’ 시행해야” 주장(식품저널 12.11) • -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개최 ‘농식품분야 녹색성장 중점 전략기술과 R&D 지원 전략 심포지엄 • 식품생산 전 과정 배출 온실가스 양을 이산화탄소 양으로 환산, 표기 ‘탄소 배출 표시제’ 전면 시행 및 • 농식품업계 적극 제도 수용 위한 정부 지원 필요 주장 • - ‘푸드 마일리지’ 개념 더욱 확대 적용돼야, 식품 생산과 소비는 가급적 글로벌화 보다는 로컬화가 적절 • - 식품 녹색성장 위해 저에너지, 고효율 생산 및 관리공정 개발 통한 저탄소 국가식품시스템 구축 필요 • 첨단 융복합 식품기술, 미래형 식품 개발기술, 식품 신소재 개발 기술 등 고부가가치 기술 개발돼야 • - 정부, 녹색성장 위해 9개 실천과제에 2013년까지 24조2,700억원 투입 계획
식 품 정 책 • 소비자 식품업체 위생점검 직접 참여 - 식약청, 2010년 주요 업무계획 발표(식품저널 12.14) • 1. 식약청, ‘2010년 대통령 업무보고’ • - 사전 위해예방 기능 대폭 강화 : 국민의 식ㆍ의약품 안전 체감 • - 소비자의 감시기능 강화 : 국민의 먹을거리에 대한 안심 확보 • - 건강산업의 녹색성장 추진 : 어린이의 안전한 식생활 환경 확대 • - 의료기기 분야 강도 높은 규제개혁 : 신성장산업의 발전 지원 기능 강화 • - 바이오 주권 확보ㆍ국제협력 강화 : 대한민국 위상 강화 • 2. 식약청, 3가지 사업 중점적 추진 • - 소비자 식품위생점검 요청제, 식품업체 위생점검 참여제, 식품업체 현장체험 프로그램 등 • - 의료기기분야 국민 안전과 직결되지 않는 규제 대폭 완화, 민간자율 관리 영역 확대 • - 필수 예방백신의 안정적 공급 추진과 신종 백신의 개발 지원 • - 2010년 합성첨가물 사용하지 않은 제품 대한 ‘녹색식품’ 인증제 도입, 온실가스 배출 저감화 추진 • 제약업체 에코파마(Eco-Pharma)로 지정 인센티브 부여 • 빵굼터 등 케이크서 식중독균 검출 - 식약청, 점검 결과(식품저널 12.16) • - 식약청, 11월 25일~12월 4일 케이크 제조업체 10개소, 제과점 30개소 점검 및 관련 제품 검사 실시 • 제조업체 3개소 4건, 제과점 5개소 5건 적발, 해당 시ㆍ도에 행정처분 등 조치 • - 식품제조업자, 유통기한 경과 원료 보관·사용 2건(빵굼터ㆍ자연드림 안양), 오븐 등 위생적 취급 기준 • 위반 2건(빵굼터ㆍ신라명과), 제과점 영업자, 유통기한 경과 원료 사용 2건(빵이가득한집, 굿모닝베이 • 커리), 위생적 취급 기준 위반 2건(빠나미ㆍ프랑세즈), 건강진단 미실시 1건(마인츠돔) 등 • - 제조업체 2개 제품(자연드림 안양 ‘티라미스미니’, 빵굼터 ‘산딸기크림치즈무스케익’), 제과점 1개 • 제품(주벨베이커리 ‘생크림케익’)에서 식중독균 황색포도상구균 검출 • - 식약청, 크리스마스 등 특정일에 일시적 집중 판매되는 식품 안전관리 위해 지속적 지도ㆍ점검 계획
식 품 정 책 • ‘영양성분앞면표시제’ 소비자반응 ‘호의적’ - 식공협, 조사 결과(식품저널 12.16) • - 식공협회, 25~54세 여성 300명 대상 ‘영양성분앞면표시제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 • - 선호도 묻는 질문에 93.7% ‘좋다’, 사실성ㆍ객관성ㆍ과학성ㆍ정확성ㆍ이해도 등 5가지 속성 평가 • 60~80% 상회 높은 긍정률 • - 기존 영양성분표 불편점, 글씨가 너무 작다, 수치가 나타내는 의미 이해하기 어려움 등 • - 식품업계, 소비자 영양정보 이해 돕기 위해 식공협회 중심으로 새로운 표시제 도입 연구 진행 • - 영양성분앞면표시제 도안 • 밀가루ㆍ라면 등 생필품 판매가 정보 제공 - 소비자원 홈페이지 통해(식품저널 12.18) • - 기획재정부, 공정거래위, 소비자원, 주요 유통업체 판매 주요 생필품 가격정보를 소비자원 홈페이지 • 통해 1주 단위 제공 • - 11개 유통업체 판매중인 신선식품 3개품목(두부, 콩나물, 쇠고기), 가공식품 11개 품목(햄류, 밀가루, • 라면, 설탕, 식용유, 커피, 소주, 생수, 콜라, 사이다, 통조림), 일반 공산품 6개 품목(화장지, 치약, • 샴푸, 위생대, 기저귀, 세제) 등 총 20개 품목 가격정보 제공 • - 내년 4월부터는 전국 100여 개 유통업체 80여개 주요 생필품 판매가격 정보 제공 예정 • - 소비자원, 가격정보 제공 통해 소비자 선택권 강화, 유통업체간 경쟁 촉진 기대
식 품 정 책 • 소비자, 농산물 선택기준 ‘원산지’”- 농관원, 1,000명 대상 조사(식품저널 12.19) •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소비자 1,000명 대상 농식품 품질관리 및 농관원 업무 인지도를 조사 결과 • - 농산물 구입시 선택기준 원산지(39.2%), 안전성(34.9%), 가격(10.1%), 맛(8.4%), 외관(2.5%) 등 • - 가장 위험하다고 인식 유해물질, 농약(48.3%), 중금속(41.9%), 식중독균(4.0%), 곰팡이독소(2.2%) • - 소비자 76.7%, 국내산 농산물 안전성 신뢰, 소비자 96.4%, 수입보다 우리 농산물 더욱 안전 인식 • 유기가공식품 세부표시기준 마련 - ‘유기가공식품 인증제도 운영지침’ 개정고시(식품저널 12.21) • - 농림수산식품부, 유기가공식품 세부표시기준 마련한 ‘유기가공식품 인증제도 운영지침’ 고시 • - 유기가공식품 : 해당 식품 제조ㆍ가공에 사용한 원재료(정제수와 염화나트륨 제외)의 95% 이상이 • 유기 농림산물 및 유기축산물 인증 받은 농ㆍ축ㆍ임산물이어야 함 • 동일 원재료 대해 유기농산물과 비 유기농산물 혼합 사용해서는 안되며, 용기ㆍ포장은 재활용 가능 • 하거나 생물분해성 재질이어야 함 • - 유기가공식품 종류 • a. 유기농산물 100%사용 식품 : 유기농산물 외 어떠한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도 최종 제품에 남아있지 • 않아야 하며, 제품명에 ‘유기 100%’ 용어 사용 가능, 유기인증 표시와 로고 등 표시 • b. 95% 이상 유기농산물 식품 : 최종 제품에 남아 있는 원재료 95% 이상이 유기농산물. 제품명에 • ‘유기’ 용어 사용 가능. 유기인증 표시와 로고 등 표시가능. 원재료명 및 함량 표시란에 유기농산물 • 함량 백분율(%) 표시 • c. 70% 이상 95% 미만 유기농산물 식품 : 최종 제품에 남아 있는 원재료의 70% 이상 95% 미만이 • 유기농산물. ‘유기’ 용어 앞에 70% 이상에 해당 원재료명과 함량 함께 표시 방법으로, 제품명 또는 • 제품명의 일부로 사용 가능. 유기인증 표시와 로고 등은 표시 불가. 원재료명 및 함량 표시란에 • 유기농산물 함량 백분율(%)로 표시 • d. 70% 미만 유기농산물식품 : 유기농산물 사용했지만 비율이 물과 소금 제외한 원재료 함량의 70% • 미만. 해당 원재료명 일부로 ‘유기’ 용어 표시 할 수 있으나 표시는 원재료명 및 함량 표시란에만 • 표시. 유기인증 표시와 로고 등 표시 불가. 원재료명 표시란에 유기농산물 함량 백분율(%) 표시
식 품 정 책 • 내년부터 영양표시 대상 식품 확대 - 복지부, 2010년 달라지는 주요 제도 발표(식품저널 12.28) • - 보건복지가족부 발표 2010년 달라지는 주요 제도 • - 영양표시 대상식품, 빙과류, 어육가공품중 어육소시지, 즉석섭취식품중 김밥·햄버거·샌드위치등 확대 • - 식품 등에 민간 협회ㆍ학회 등 ‘인증’ 또는 ‘보증’ 받았다는 내용 또는 유사 내용 표현광고 금지 • - 어린이 기호식품 조리ㆍ판매 식품접객업 중 100개 이상 매장 보유 업체, 열량 등 영양성분 표시해야 • - 고열량ㆍ저영양 식품 텔레비전 광고, 오후 5시부터 8시까지 제한 • 내년부터 지자체서 연 6회 식품안전 합동점검 (식약청 12.29) • - 식약청, 2010년도 식품안전관리지침 마련, 시ㆍ도 등 관계기관 배포 • - 식품안전관리 전국합동점검, 지방식약청 중심에서 지방자치단체 위주로, 년 4회에서 6회로 강화 • - 식품 바코드 정보 이용, 소비자가 판매금지 식품 구매 못하도록 하는 ‘부적합식품 긴급통보 시스템’에 • 수거ㆍ검사기관이 부적합제품 정보를 신속히 입력 위한 절차 명확화 • - 수입식품 안전관리 강화 위해 거래내역 식약청 판매보고 시스템에 입력, 주문자 상표부착 방식 수입 • 식품(OEM 제품), ‘위탁생산제품’ 표시 여부 확인 • - 식품제조ㆍ가공업체와 음식점 등 일상적 식품수거ㆍ검사 및 지도ㆍ단속 업무, 식약청에서 지방자치 • 단체로 이관, 식품안전관리 업무 효율성 극대화 • - 중앙행정기관은유해물질 위주, 기초자치단체는 위생취약지역 중심 기초위생관리 위주로 업무 분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