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 likes | 908 Views
과정명 : 국제금융 환율 , 이자율 및 물가상승률의 상호관계. : 현재환율 ( 방화표시 , 즉 외국통화 1 단위를 얻기 위 하여 지급해야 하는 자국통화의 단위수로 표시 ) : 특정상품의 국내가격 : 그 특정상품의 외국에서의 외국통화 표시가격. 1. 구매력 평가설. 1) 일물일가의 법칙. 일물일가의 법칙 (law of one price) 은 동일한 상품은 어떤 시장에서든지 그 가격이 같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 따라서 일물일가의 법칙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E N D
과정명:국제금융환율, 이자율 및 물가상승률의 상호관계
: 현재환율(방화표시, 즉 외국통화 1단위를 얻기 위 하여 지급해야 하는 자국통화의 단위수로 표시) : 특정상품의 국내가격 : 그 특정상품의 외국에서의 외국통화 표시가격 1. 구매력 평가설 1) 일물일가의 법칙 일물일가의 법칙(law of one price)은 동일한 상품은 어떤 시장에서든지 그 가격이 같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따라서 일물일가의 법칙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국제적 상품재정거래Int’l Commodity Arbitrage 가격이 낮은 국가에서 상품을 매입하고 가격이 높은 국가 에서 상품을 매도하여 그 상품의 국제적 가격차이에 해당 하는 이익을 얻는 거래 P < S · P * 900원 < 10원/ 엔 100엔 사과가격(한국) 환율 사과가격(일본) 사과수요증가(한국) 사과공급증가(일본) 사과가격상승(한국) 사과가격하락(일본)
일물일가의 법칙으로부터의 괴리 • 1. 운송비 • 2. 관세 및 비관세 장벽 • 3. 제품차별화
금융거래의 세가지 유형 • Arbitrage:가격변동위험이 없이 확실한 이익을 얻기 위하여 행하는 거래 • Hedging:이미 가지게 된 가격변동위험을 제거하기 위하여 행하는 거래 • Speculation:이익을 예상하고 자기 스스로를 가격변동위험에 노출시키는 행위
: 현재환율 : 국내물가수준 : 해외물가수준 2) 절대적 구매력 평가설 절대적 구매력 평가설(purschasing power parity theory-absolute version)은 일물일가의 법칙을 하나의 상품가격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물가수준에 적용시킨 것이다.
: t 시점에서의 현물환율(방화표시) : t 시점에서 예상하는 (t+n) 시점에서의 환율에 대한 기대치 : 국내예상물가상승률(%로 표시) : 해외예상물가상승률(%로 표시) : 해당기간의 개월수 3) 상대적 구매력평가설 상대적 구매력평가설(purschasing power parity theory-relative version)은 환율의 상대적 변화율은 국내와 해외의 물가상승률의 차와 같게 된다는 주장 이다
상대적 구매력평가설 만약, 여기서 π = 10% , π* = 5% , n = 12개월이라면 상대적으로 고인플레국의 통화는 평가절하가 예상되어야 함
상대적 구매력평가설 = 700원 1원 = 1/700 쪽 = 800원 1원 = 1/800 쪽 사과가격의 상승은 원화의 가치 하락을 의미함. 따라서 인플레이션은 물가의 상승을 말하지만 동시에 통화가치의 하락을 의미함.
10% 5% W화가치 $화가치 10% 하락 5%하락 상대적으로 고인플레국의 통화는 평가절하가 예상되어야 함 원화의 달러화에 대한 평가절하 (5%)
: t 시점에서의 현물환율(방화표시) : t 시점에서 예상하는 (t+n) 시점에서의 환율에 대한 기대치 : 국내명목이자율(%로 표시) : 해외명목이자율(%로 표시) : 해당기간의 개월수 2. 국제피셔효과 환율의 상대적 변화율에 대한 예상은 국내와 해외의 명목이자율의 격차와 같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국제피셔효과 만약, 여기서 i = 8% , i* = 3% , n = 12개월이라면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국가의 통화는 평가절하가 예상되어야 함
국제피셔효과 원화의 평가절하 예상 ==== 원화의 상대적 고금리 외환시장(환율)시장균형조건 금융시장( 금리)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국가의 통화는 평가절하가 예상되어야 함
: t 시점에서 계약할 수 있는 n개월 선도환계약에 적용되는 선도환율(방화표시) : t 시점에서의 현물환율(방화표시) : 국내명목이자율(%로 표시) : 해외명목이자율(%로 표시) : 선도환계약의 계약기간 3. 이자율 평가설
3. 이자율 평가설 만약, 여기서i(₩) > i*($)즉, i - i* > 0 이라면 등식의 좌변도 양수가 되어야 함. 즉, (Forward Premium) (Spot 에 비하여 Forward 에서 $가 더 비싸다) 금리가 상대적으로 불리한 $화의 환율은 Forward Premium이 되어야 한다
π - π* 인플레율 P P P ? 환율 I F E I R P T i – i* 이자율
: 명목이자율 : 실질이자율 : 예상물가상승률 4. 피셔 효과 피셔효과(the Fisher effect)는 명목이자율이 실질이자 율과 예상물가상승률의 합과 같다는 주장이다. 예를 들어, 투자자들이 물가상승률이 연간 5%이라고 예상할 때 명목이자율이 실질이자율보다 5%(연간)가 더 높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는 해외변수를 표시한다. ) 한편 외국에 있어서의 명목이자율, 실질이자율 및 예상물가상승률간의 관계도 또한 피셔효과로써 표현할 수 있다. 이제 처음 식에서 나중 식을 빼면 다음을 얻는다.
가 성립한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국내와 해외의 명목이자율의 차이는 국내와 해외의 실질이자율의 차이와 예상물가상승률의 차이를 합한 것과 같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런데 장기에 있어서는 국내와 해외의 실질이자율이 서로 같아지는, 즉 r – r* = 0 이 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국내와 해외의 명목이자율의 차이가 국내와 해외의 예상물가상승률의 차이와 같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장기에 있어서는
π - π* 인플레율 P P P 장기적 ( = ) 단기적 ( ≠ ) 환율 I F E I R P T i – i* 이자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