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 likes | 223 Views
8 월 1 주차 채권시황회의. 투자사업부. 전주 Review. 국고 3 년 기준 3.85% 에서 3.80% 로 5bp 하락 외국인의 국채선물 매수 영향으로 발표된 지표와 상이한 방향으로 금리 변화 전구간 비슷한 하락폭 시현하여 커브상의 변화미미 금요일 국고 10-2 기준으로 80/81 거래 마감. Fundamental (Korea). 월요일 2 분기 GDP 성장률 7.2% ( 컨센서스 6.7%) 로 발표 , 한국은행은 회복국면에서 확장국면 진입 시사
E N D
8월 1주차 채권시황회의 투자사업부
전주 Review • 국고3년 기준 3.85%에서 3.80%로 5bp 하락 • 외국인의 국채선물 매수 영향으로 발표된 지표와 상이한 방향으로 금리 변화 • 전구간 비슷한 하락폭 시현하여 커브상의 변화미미 • 금요일 국고 10-2 기준으로 80/81 거래 마감
Fundamental (Korea) • 월요일 2분기 GDP 성장률 7.2% (컨센서스6.7%)로 발표, 한국은행은 회복국면에서 확장국면 진입 시사 • 6월 산업생산에서 설비가동률 83.9%로 발표, 설비투자 확대 가능성 高 •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2월 100 상회한 이후 6개월째 지속, 과거 평균 고려시 향후 경기흐름 좋을 것으로 예상 • 선행지수 하락 지속, 기저효과 사라지는 4분기 이후 회복 전망, 선행지수의 예측력에 대한 의문 제기
Fundamental (Global) • 유럽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신뢰성 의문 제기되나 시장의 예상을 상회하는 결과 도출, 시장 불확실성 제거로 수용되는 분위기 • 버냉키 의장의 “Unusually uncertain”발언 이후 경기둔화 우려 재증폭되었으나경기부양을 위한 추가조치 가능성 열어두고 더블딥 가능성 일축하면서 투자가 불안감은 완화되는 것으로 보임 • 미국 2분기 GDP 성장률 2.4%, 예상치 하회 • 좋지 않은 지표에 대한 시장의 내성이 강해지고 금리 레벨에 대한 부담이 부각되는 분위기
Policy & S-D • 기획재정부국고채 발행물량 월평균 5000억 축소 • 한은 총재의 인플레이션 발언 수위 및 횟수의 증가 • 부동산 DTI, LTV규제 완화에 따른 선제적 금리 인상 가능성 대두 • 親서민 정책 추진에 따른 고환율 정책 완화를 위해 전격적 금리 인상 가능성有
최석원 – Under • 중장기적 한국 경제에 대한 낙관, 물가 우려 • 경기선행지수 증가율 하락, 외국인 국채선물 지속적 매수에 따른 국내기관 숏포지션 부담, 주식시장의 박스권 움직임으로 단기 상승은 어려움 • 8월 금통위 금리 인상가능성有 - 정상화 과정 - 디커플링 한국 경제에 대한 긍정적 평가 (kp마켓) - 고환율유지 경상수지 흑자와 물가 부담 상존 - 부동산 시장 역시 정상화 과정
박종연 - Over • 경기선행지수 증가율 둔화를 근거, 국내경기 둔화 예상 • 글로벌 경기 둔화도 시차를 두고 수출에 영향 미칠 것 • 재고증가율 > 출하증가율 재고투자 마무리 단계 • 국채발행 감소에 따른 대기매수세 유입 가능성 高 • 8월 금통위 금리 인상 難 - 부동산 경기 위축, - 글로벌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 - 물가는 안정적일 것으로 판단
김일구- Over • 외국인 현선물 매수 지속될 듯 - 정책금리 올린다 해도 시장 별 충격 없을 듯, 그렇다면 하락할 룸은 여전히 있다. - 글로벌 자금 유입이 지속, 원달러 하락 가능성 높다 • 중장기적으로 G20 국가의 정부부채 축소에 따른 경기부양 효과 감소 성장률 저하 수출 의존도 높은 한국경제 타격 • 친서민정책 전환에 따른 고환율 정책 포기시 물가 오르기 어려울 것. • DTI, LTV규제 완화 포기시 기준금리 인상 명분 약함
8월 1주 체크리스트 • 수출, 수입, 물가 등의 지표확인 큰 영향 없을듯 • 목요일 BOE, ECB 정책금리 결정 • 지표보다는 주식시장 • 외국인 국채선물 환매도 이외 신규 매도 물량 감지 • 주말 美고용지표 다음 주 시장에 영향 미칠 것이나 경계감은 시장에 반영될 것 • 다음 주 예정된 금통위에 대한 경계감으로주후반으로 갈수록 거래량 감소될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