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 likes | 273 Views
ì² ê°•ìž¬ ( íŒìž¬ë¥˜ ) ’ 06. 2 ì›”ë§ ìœ í†µìž¬ê³ í˜„í™©. 한êµì² 강협회 ì¡°ì‚¬ì •ë³´íŒ€. 건설. ìžë™ì°¨. ì¡° ì„ . 수요산업. â—† 1 ì›” 건축허가면ì ì€ 8,622 천㎡ 로 ì „ë…„ë™ì›”대비 2.6% (8,402㎡) ì¦ê°€í•˜ì˜€ìŒ . â—† 건설경기실사지수 (CBSI) 는 77.2 를 기ë¡í•˜ì—¬ 지난달 1 ì›” (70.1) 보다 7.1p ìƒìй - 8.31 대책ì´í›„ ëŒ€í˜•ì—…ì²´ì˜ ì²´ê°ê²½ê¸°ê°€ ìƒìŠ¹ì„¸ë¥¼ ë³´ìž„. â—† 2 ì›” ìƒì‚°ì€ ì¸ê¸°ì°¨ì¢… 중심으로 한 내수회복세와 수출 ì´ ì¦ê°€ì„¸ë¡œ ë°˜ì „ .
E N D
철강재(판재류) ’06. 2월말 유통재고 현황 한국철강협회 조사정보팀
건설 자동차 조 선 수요산업 ◆ 1월 건축허가면적은 8,622천㎡ 로 전년동월대비 2.6% (8,402㎡) 증가하였음. ◆건설경기실사지수(CBSI)는 77.2를 기록하여 지난달 1월(70.1)보다 7.1p상승 - 8.31대책이후 대형업체의 체감경기가 상승세를 보임. ◆ 2월 생산은 인기차종 중심으로 한 내수회복세와 수출 이 증가세로 반전. - 전년동월대비(23만4천)30.9% 증가한 30만 6천대 전년동기비(56만7천대)10.2% 증가한 62만5천대 기록 • ◆ 2005년 국내조선사 수주실적 : 1,197만CGT를 기록. • 전년동기대비(1631만CGT) 26.6% 감소했으나, 건조실 • 적은 1,021만CGT를 기록. 전년동기대비 (888만CGT) • 15.0% 증가.
2월말 유통재고 • 재고지수 : 172.3(전월대비 4.6p 증가) (’04.1)100.0→(’05.1)111.8→(05.9)190.8→ (’05.12)167.2 →(’06.1)167.7 • 재고량 : 102만8천톤(전월보다 28천톤 증가) (04.1)597천톤→(05.1)667천톤→(05.9)1,138천톤→(’05.12)997천톤→(’06.1)1,000천톤 • 증가품목 : 용융아연도강판(17천톤↑), 중후판(10천톤↑) 냉연강판(8천톤↑), 전기아연도강판(9천톤↑) • 감소품목 : 열연강판(15천톤↓), PO강판(2천톤↓) (전월비) (전월비)
증감요인 분석 • 증가 품목 • 용융아연도강판 :건설경기 침체로 인한 HGI재고 증가. • 전기아연도강판 :설비 신증설과 실수요자의 판매부진. • 중후판: 일본(1월 155천톤→2월 171천톤), 중국(1월 79천톤→2월 99천톤), 브라질, 남아프리카등에서 수입이 증가로 인한 수입재 재고 증가 • 감소품목 • 열연강판 : 포스코의 포항 제2열연공장 합리화(3~5월)로 인한 실수요향 수요 증가로 유통공급량 감소.
2월 판재류 수입 현황 • 수입실적 : 798천톤, 전월(714천톤)보다 84천톤 증가 (04.1)736천톤→(04.12)796천톤→(05.1)811천톤→ (05.12)697천톤 • 증가품목 : 열연강판 (65천톤↑), 중후판(32천톤↑), PO강판(2천톤↑) ․ 포스코 열연공장 합리화(3~4월) 대비 유통점들의 수입증가 ․환율 하락에 따른 가격 경쟁력 회복과 일본 고로사들의 가격 할인으로 일본산 수입증가 • 감소품목 : 냉연강판(9천톤↓),용융아연도강판(6천톤↓) (전월비)
향후전망 • 향후 전망 • 포스코의 포항 제2열연공장 합리화에 따라 고로재 부족으로 인한 재고 감소 전망. • 중국산의 철강재 가격 인상 지속 반면 일본산 가격 인하에 따라 일본산 수입은 늘어날 것으로 예상. • 3~5월 성수기에 접어들면서 유통판매 가격 안정세를 보이며, 점차적으로 수요가 늘어 재고소진을 보일 것으로 예상.
품목별 유통재고 <전체> (단위 : 천톤,%)
열연강판 ㈜ 1. 유통재고 : 87개 대형유통점 기준 2. 재고 수준(%) : 유통재고/공급 X 100
PO강판 ㈜ 1. 유통재고 : 57개 대형유통점 기준 2. 재고 수준(%) : 유통재고/공급 X 100
중후판 ㈜ 1. 유통재고 : 31개 대형유통점 기준 2. 재고 수준(%) : 유통재고/공급 X 100
냉연강판 ㈜ 1. 유통재고 : 76개 대형유통점 기준 2. 재고 수준(%) : 유통재고/공급 X 100
용융아연도강판 ㈜ 1. 유통재고 : 87개 대형유통점 기준 2. 재고 수준(%) : 유통재고/공급 X 100
전기아연도강판 ㈜ 1. 유통재고 : 71개 대형유통점 기준 2. 재고 수준(%) : 유통재고/공급 X 100
칼라강판 ㈜ 1. 유통재고 : 46개 대형유통점 기준 2. 재고 수준(%) : 유통재고/공급 X 100